- 3
HPLC 분석시에 UV에 CHCl3, MC 등이 detection 되나요??
파장은 205nm 입니다.
이동상이 역상인 ACN과 water 인데, 샘?에 미량 섞여 있는듯 한데
NMR을 분석하여 CHCl3, MC peak 이 있는지 확인을 할것이지만
혹시 UV 에 detection 되는지 궁금합니다.
- UV
- CHCl3
- MC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1-09-19- 2
HPLC분석 시 사용한 용매가 UV검출기에서 검출이 되는가는 용매의 농도, 흡수극대파장, 이동상의 UV cutoff 등의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사용하시는 분석법의 검출파장이 205nm이고, 이동상의 경우 ACN과 물 혼합물을 사용하셨으므로 UV cutoff는 210nm이하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동상의 조성에 따라 UV cutoff 파장이 달라지겠지만 205 nm를 검출파장으로 사용하시는 것으로 미루어 볼때 이동상의 UV cutoff는 200nm이하일 것으로 예상되네요.
지방족할로겐 분자의 경우 흡수극대가 대략 200nm이하에서 나타나므로 이동상의 UV cutoff 영역에 뭍이게 되어 HPLC 분석에서 검출되기는 어렵다고 판단됩니다.
-------------------------------------질문-------------------------------------
HPLC 분석시에 UV에 CHCl3, MC 등이 detection 되나요??
파장은 205nm 입니다.
이동상이 역상인 ACN과 water 인데, 샘?에 미량 섞여 있는듯 한데
NMR을 분석하여 CHCl3, MC peak 이 있는지 확인을 할것이지만
혹시 UV 에 detection 되는지 궁금합니다.
-
답변
황인성님의 답변
2011-09-19- 2
첨부파일
섞여 있는 양에 따라 검출 될 수도 있겠습니다.조윤환(brmdolee) 2011-09-21Water - AcCN gradient 에서 injection peak으로 나온다면 MC, CHCL3이 컬럼과 거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이야긴데.....혹시 관련자료를 가지고 계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황인성(tinceo) 2011-09-21제가 착각을 했습니다. polarity가 높은 게 아니라 물에 비해 낮은 것이고, 낮을 수록 컬럼과 상호작용을 많이 하겠죠. 지적해 주시지 않았다면 큰일 날 뻔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은 수정하겠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09-20- 2
-------------------------------------질문-------------------------------------
HPLC 분석시에 UV에 CHCl3, MC 등이 detection 되나요??
파장은 205nm 입니다.
이동상이 역상인 ACN과 water 인데, 샘?에 미량 섞여 있는듯 한데
NMR을 분석하여 CHCl3, MC peak 이 있는지 확인을 할것이지만
혹시 UV 에 detection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동상은 190 nm 이하의 cutoff를 가지는 반면에 CHCl3와 MC는 각각 245 nm와 232 nm의 UV cutoff를 갖습니다. 원칙적으로는 UV로 detection이 될 것이지만 미량 섞여 있다면 205 nm에서 시료 분석에는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조윤환(brmdolee) 2011-09-21UV cutoff는 이동상의 특성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처럼 MC 와 CHCl3가 이동상이 아닌 analyte일 경우 흡수극대파장을 고려해서 검출 여부를 판단해야하지 않을까요?
이상후(sprout30) 2011-09-21UV cutoff가 이동상 특성인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지요..질문자분께서는 샘플 분석 파장 205 nm에서 샘플속에 섞여 있는 MC와 CHCl3가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알고 싶어 하시는 거 같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