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16
org.kosen.entty.User@4731f31e
김동원(woniii3535)
- 1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어서 글을 올립니다.
질문은 일반 PET 와 혼화성을 가지는 고분자를 찾아 물리적으로 섞어 볼려고 하는데
이 PET와 혼화성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을 찾아내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일단 고분자끼리 혼화성이 있는 것을 찾기 위해서는 고분자 구조를 비교하면 알 수 있다고 하는데
요. 그럼 PET의 기본 에스테르 결합을 가지고 있는 고분자들이 혼화성이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죠?그럼 케톤 그룹을 가진 놈들도 혼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건가요?
음.. PET와 블렌딩 가능한 고분자 종류를 좀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왜 혼화성이 있는지 간단히 코멘트를 달아주시면 정말 공부가 많이 되겠구요 앞으로도 참조하여 공부하기에 좋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고분자간에 혼화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적인 방법들도 함께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혼화성
- PET
- miscibil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경일님의 답변
2013-10-16- 0
혼화성은 말씀하신대로 기능기가 비슷하면 화학결합때문에 혼화성이 높을 수 있습니다. 고분자 메인 사슬 말단기가 결합을 할 수 있는 라디칼이 생성되는 부분인데 이 말단기부분이나 곁사슬(Side chain)의 기능기부분이 화학결합을 하게 되는 거죠. 고분자 고유특성인 Tg, Tc, Tm, 점도 등이 비슷하면 혼화성이 높아집니다.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시점이 비슷하기 때문에 외부에너지에 의해 서로 다른 고분자 체인의 분자운동이 비슷해집니다. 고분자블랜드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도와 관련된 수식인 캐필러리번호 Ca로 혼화성을 볼 수 있는데 Ca>>Ca crit 일때 분배혼합이 일어나는 조건이고 Ca와 Ca crit 이 비슷할 때 분산혼합이 일어나는 조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리적 혼합이라면 이부분을 참고하셔서 혼합을 하시면 상용성이 좋은 결과를 얻을 것입니다. Ca와 관련된 정의와 수식은 인터넷검색과 고분자 블랜드 참고문헌에 잘 나와 있습니다. 참고문헌을 한가지 추천드리면 Mixing and Compounding of Polymers (Warren E. Baker 저)란 책의 4장 Mixing of Immiscible Liqiuids 를 참조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