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16
org.kosen.entty.User@54d7c399
길명철(kmch88)
- 1
안녕하세요. 실험 도중 궁금한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nanoparticle을 만들때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물체를 물에 넣을때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PBS buffer에 넣어도 물처럼 nanoparticle이 생성 될까요? PBS buffer도 물과 같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너무나 궁금합니다 . PBS buffer도 거의 물과 같다고 생각해도 괜찮을까요? |
- PB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10-17- 0
-------------------------------------질문-------------------------------------
안녕하세요.
실험 도중 궁금한것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nanoparticle을 만들때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물체를
물에 넣을때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PBS buffer에 넣어도 물처럼 nanoparticle이 생성 될까요?
PBS buffer도 물과 같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너무나 궁금합니다 .
PBS buffer도 거의 물과 같다고 생각해도 괜찮을까요?우선, 친수성/소수성 부분으로 이루워진 물체가 계면활성제를 의미하는 거 같은데, 계면활성제가 없어도 여러가지 환원제에 의해서도 나노입자가 만들어 질 수도 있으며 이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도 나노입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아뭏튼 물과 버퍼의 효과는 분명히 다릅니다. 하지만 친수적인 특징이 있다는 점에서는 유사한 성질을 갖는 매질로 봐도 괜찮습니다. 다만, 물과 버퍼에서 나노입자는 분명 입자크기나 균일성 등에서는 분명 차이가 날 것 같습니다. 단편적인 예로 HAuCl4와 HEPES 버퍼의 조성비를 따라서 계면활성제가 있거나 없을 때 분명히 다른 morphology로 만들어 질 수 있습니다.
(ref. RARE METALS, Vol. 29, No. 2, Apr 2010, p.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