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열수에 녹는 섬유 어디에 쓰면 좋을까요?

끓는 물에 녹는 섬유가 있다면


 


어디에 적용 가능할까요?


 


가볍게 생각하시고 여러의견 부탁드립니다

  • 물에녹는 섬유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형근님의 답변

     혹시, 그 섬유가 끓는 물에 녹는다면, 대기중에서 고온에서도 녹을 수 있는것인가요?

    어떻게든 그렇게 녹는다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것이 세라믹과 섞어서 다공성 세라믹 재료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그 예로는 아마 세라믹 필터가 될것 같은데, 더 자세히 한 예로는 자동차 catalitic converter (아마도 머플러라 하나요?^^)에도 응용이 될것 같습니다. Cat. Converter를 뜯어 보시면, 하니컴 구조로 세라믹 필터가 있습니다. 물론 그 모든 기공은 서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할 것 같구요.

     

    또다른 예론, 예전에 제 대학원 실험실에서 물에 녹는 유리섬유를 전공 하신분이 인공 뼈구조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유리 섬유와 hydroxyapatite를 섞은후 가공후 , 유리섬유를 녹여 3차원 기공을 가진 뼈 구조를 재현하신적이 있었습니다. 아시겠지만, 뼈를 단면으로 보면, 많은 기공들이 있으며, 이기공들은 3차원적으로 서로 얽혀 있습니다. 그 기공들을 유리섬유로 재현했던 것이지요.

     

    이외에도 세라믹재료에는 많은 부분에 다공성 재료를 필요로 하는곳이 많이 있습니다.

    링크되어 있는 회사 웹사이트를 보면 그 응용도가 많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pmiapp.com/industries/filtration.html

     

    감사합니다.

     

     -------------------------------------질문-------------------------------------

    끓는 물에 녹는 섬유가 있다면

     

    어디에 적용 가능할까요?

     

    가볍게 생각하시고 여러의견 부탁드립니다

     혹시, 그 섬유가 끓는 물에 녹는다면, 대기중에서 고온에서도 녹을 수 있는것인가요?

    어떻게든 그렇게 녹는다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것이 세라믹과 섞어서 다공성 세라믹 재료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그 예로는 아마 세라믹 필터가 될것 같은데, 더 자세히 한 예로는 자동차 catalitic converter (아마도 머플러라 하나요?^^)에도 응용이 될것 같습니다. Cat. Converter를 뜯어 보시면, 하니컴 구조로 세라믹 필터가 있습니다. 물론 그 모든 기공은 서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할 것 같구요.

     

    또다른 예론, 예전에 제 대학원 실험실에서 물에 녹는 유리섬유를 전공 하신분이 인공 뼈구조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유리 섬유와 hydroxyapatite를 섞은후 가공후 , 유리섬유를 녹여 3차원 기공을 가진 뼈 구조를 재현하신적이 있었습니다. 아시겠지만, 뼈를 단면으로 보면, 많은 기공들이 있으며, 이기공들은 3차원적으로 서로 얽혀 있습니다. 그 기공들을 유리섬유로 재현했던 것이지요.

     

    이외에도 세라믹재료에는 많은 부분에 다공성 재료를 필요로 하는곳이 많이 있습니다.

    링크되어 있는 회사 웹사이트를 보면 그 응용도가 많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www.pmiapp.com/industries/filtration.html

     

    감사합니다.

     

     -------------------------------------질문-------------------------------------

    끓는 물에 녹는 섬유가 있다면

     

    어디에 적용 가능할까요?

     

    가볍게 생각하시고 여러의견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친수성이고 열수에 용해되는 섬유라면  물질자체가 그러한 성질을 띠고 있다는 뜻이니 수용액 상태로 만든다면 다양한 수성도료나 수성코팅제로 활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열수에 녹여서 사용해야 하므로 좀 불편하긴 하겠지만...... 나중에 도막을 제거한다거나 할때 열수를 사용하면 되니까 오히려 더 환경친화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또 그 섬유로 직물이나 기타 다른 용기를 만들면 사용 후 재활용 할 때 손쉽게 회수할 수 있겠네요

     

    앞서 의견을 주신 분의 말씀처럼 다양한 주형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겠습니다. 만약 광가교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가교화전의 물질과 물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면 반도체 공정에도 활용 가능할 듯 합니다.  

    -------------------------------------질문-------------------------------------

    끓는 물에 녹는 섬유가 있다면

     

    어디에 적용 가능할까요?

     

    가볍게 생각하시고 여러의견 부탁드립니다

    친수성이고 열수에 용해되는 섬유라면  물질자체가 그러한 성질을 띠고 있다는 뜻이니 수용액 상태로 만든다면 다양한 수성도료나 수성코팅제로 활용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열수에 녹여서 사용해야 하므로 좀 불편하긴 하겠지만...... 나중에 도막을 제거한다거나 할때 열수를 사용하면 되니까 오히려 더 환경친화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또 그 섬유로 직물이나 기타 다른 용기를 만들면 사용 후 재활용 할 때 손쉽게 회수할 수 있겠네요

     

    앞서 의견을 주신 분의 말씀처럼 다양한 주형으로도 활용이 가능하겠습니다. 만약 광가교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가교화전의 물질과 물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면 반도체 공정에도 활용 가능할 듯 합니다.  

    -------------------------------------질문-------------------------------------

    끓는 물에 녹는 섬유가 있다면

     

    어디에 적용 가능할까요?

     

    가볍게 생각하시고 여러의견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