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OTFT의 출력특성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OTFT에 대해서 공부중인데..


질문이 있습니다.


 


펜타센을 반도체로 사용하고 다른 절연체를 이용해서 OTFT 소자를 만들었는데..


Output characteristics에서 같은 VGS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IDS 값을 보여주는데..


 


이런거 어떤 차이 때문에 그런가요?  

  • OTFT
  • Outpu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진혁님의 답변

     Output 곡선에서 같은 Vgs 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Ids 가 얻어졌다고 하셨는데,

    무엇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Ids 가 얻어졌는지에 대해서 정보가 없어서

    정확하게 말씀드릴수는 없으나,

     

    SiO2 를 절연막으로 하고, 펜타센을 유기반도체층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OTFT 소자와

    polymeric 절연막과 펜타센을 사용하여 제작된 OTFT 를 비교하였을때

     

    대체적으로 후자의 경우가 같은 측정조건에서 낮은 Ids 값이 얻어집니다.

    (최근에서는 PVP 절연막을 사용, 펜타센 기반 소자에서 SiO2 경우보다 더 높은 이동도가 측정되고 있습니다.)

    이는 polymeric 절연막과 펜타센 계면과 SiO2 절연막과 펜타센 사이 계면에서

    interface trap density 를 계산해보시면, SiO2 계면이 trap density 가 매우적기 때문입니다.

     

    계면에서의 trap density는 문턱전압값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전하 이동에 있어 장애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류값 , 전하 이동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비교대상이 무엇인지 모르겠으나, 계면의 상태에 대해 분석해 보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절연막의 roughness 나 surface energy 등 뿐만 아니라, 펜타센의 grain size 및 초기 펜타센 성장에 있어 packing density 도 조사해보시고, 위에서 언급한 interface trap density 도 계산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Output 곡선에서 같은 Vgs 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Ids 가 얻어졌다고 하셨는데,

    무엇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Ids 가 얻어졌는지에 대해서 정보가 없어서

    정확하게 말씀드릴수는 없으나,

     

    SiO2 를 절연막으로 하고, 펜타센을 유기반도체층으로 사용하여 제작된 OTFT 소자와

    polymeric 절연막과 펜타센을 사용하여 제작된 OTFT 를 비교하였을때

     

    대체적으로 후자의 경우가 같은 측정조건에서 낮은 Ids 값이 얻어집니다.

    (최근에서는 PVP 절연막을 사용, 펜타센 기반 소자에서 SiO2 경우보다 더 높은 이동도가 측정되고 있습니다.)

    이는 polymeric 절연막과 펜타센 계면과 SiO2 절연막과 펜타센 사이 계면에서

    interface trap density 를 계산해보시면, SiO2 계면이 trap density 가 매우적기 때문입니다.

     

    계면에서의 trap density는 문턱전압값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전하 이동에 있어 장애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류값 , 전하 이동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비교대상이 무엇인지 모르겠으나, 계면의 상태에 대해 분석해 보시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절연막의 roughness 나 surface energy 등 뿐만 아니라, 펜타센의 grain size 및 초기 펜타센 성장에 있어 packing density 도 조사해보시고, 위에서 언급한 interface trap density 도 계산해 보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