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세미나 준비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이해가 긴가 민가 해서 여쭈어봅니다.
그래프 분석 좀 부탁드립니다.
- 생명과학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김두헌님의 답변
2011-11-17- 2
첨부파일
먼저 이해가 안가는 내용이나 본인의 해석으로 알려주면
분석해서 설명해 주는 게 효과적일 것 같습니다.
두 그래프는 간단하게 Dox release의 양과 cell viability를 다른 조건마다 측정한 것입니다.
무엇이 어렵게 생각되나요?
-------------------------------------질문-------------------------------------
안녕하세요. 세미나 준비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이해가 긴가 민가 해서 여쭈어봅니다.
그래프 분석 좀 부탁드립니다.
-
답변
김두헌님의 답변
2011-11-17- 0
구체적인 논문의 내용은 파악하기 어려우나
(a)는 Dox의 release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조건은 ?는 실험으로 생각됩니다.
그림에서 Dox/oleic acid-loaded PMA capsule이 아주 좋은 효능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때, 항상 glutathion이 존재해야하고 pH 5.0조건이 7.2보다 우수하군요. 하지만 둘다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glutathion을 사용하지 않거나 PSS/PAH capsule은 거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군요.
(b)는 각각의 조건에서 동물세포, (암세포로 생각되는 군요)을 죽이는 비율을 MTT assay로 알아본 실험입니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을때가 100%이고, 다 죽으면 0%겠죠. Dox/oleic acid-loaded PMA capsule은 Dox release로 세포를 죽이는 데 상당히 효과가 있군요. 특히, 0.5um의 크기가 1um의 크기보다 효과적입니다. 5FU도 Dox만큰 효과적이지만 capsule에 들어있지 않으면 효과가 많이 줄어드는 군요. 나머지 조건들은 거의 효과가 별로 없군요.
궁금한 사항은 더 게시판에 올리세요.
-------------------------------------질문-------------------------------------
안녕하세요. 세미나 준비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이해가 긴가 민가 해서 여쭈어봅니다.
그래프 분석 좀 부탁드립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12-30- 0
-------------------------------------질문-------------------------------------
안녕하세요. 세미나 준비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논문을 읽다가 이해가 긴가 민가 해서 여쭈어봅니다.
그래프 분석 좀 부탁드립니다.
-세포의 생존율에서 DOX는 항암제로 항암제 내성에 의해 세포외로 배출되는 MDR유전자에 의해 방출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캡슐에 넣어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본 결과로 결국 캡슐에 의해 세포내로 들어가 서 세포사멸을 유도한다는 의미임
Dox release의 경우, 변동이 많아야 좋은 효능을 나타내는 것인지 궁금하구요, 두번째 cellviability의 경우는 A가 Living cell인데 반해 다른 것들은 각각 조건이 다릅니다. A에 반해 막대 그래프가 줄어야 좋은 효능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