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고분자를 녹이고 충전제를 혼합해서 시료를 얻어낸 다음
단면을 sem을 촬영해서 충전제의 분산도를 평가 해야 하는데요
분산도의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하고 어떻게 평가 해야 하는지 도통 모르겠네요.
분산이 어떻게 되면 분산도가 좋은 건가요? 그리고 그걸 어떻게 객관적으로 평가 해야 할까요?
입자간 거리 이런걸 쟤서 해야 하나요? 구체적으로 방법좀 알려주세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가 있다던데 혹시 그런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 분산도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송준희님의 답변
2011-11-25- 0
-------------------------------------질문-------------------------------------
고분자를 녹이고 충전제를 혼합해서 시료를 얻어낸 다음
단면을 sem을 촬영해서 충전제의 분산도를 평가 해야 하는데요
분산도의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하고 어떻게 평가 해야 하는지 도통 모르겠네요.
분산이 어떻게 되면 분산도가 좋은 건가요? 그리고 그걸 어떻게 객관적으로 평가 해야 할까요?
입자간 거리 이런걸 쟤서 해야 하나요? 구체적으로 방법좀 알려주세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가 있다던데 혹시 그런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
충전제가 골고루 퍼져있으면 분산이 잘된 것입니다.
뭉쳐있는 부분이 적으면 분산이 좋은 것입니다.
이미지 프로세서를 통해 뭉친 영역(콘트라스트로 영역 대비)이 적으면 좋지요.
답변이 적합할지 모르겠군요.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2011-11-25- 0
첨부파일
참고문헌 하나올립니다.
-------------------------------------질문-------------------------------------
고분자를 녹이고 충전제를 혼합해서 시료를 얻어낸 다음
단면을 sem을 촬영해서 충전제의 분산도를 평가 해야 하는데요
분산도의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하고 어떻게 평가 해야 하는지 도통 모르겠네요.
분산이 어떻게 되면 분산도가 좋은 건가요? 그리고 그걸 어떻게 객관적으로 평가 해야 할까요?
입자간 거리 이런걸 쟤서 해야 하나요? 구체적으로 방법좀 알려주세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가 있다던데 혹시 그런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
SEM 으로 보려면 도체로 코팅이되던가 전기가 통하는 물질인 금속이 존재해야 볼수있는데 고분자만으로 이루어진것을 녹여서 다시 굳게한다음 굳은것이 결정성으로 되면서 존재해야될것같은생각이 드는데요.. 잘될지는 모르겠어요..
stm으로 맵핑하여 현광분석하는 방법이 있는데 고분자 물질이 적절한지에 관해서는 STM을 잘 찾아보셔요..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1-12-15- 0
보통 입자의 분산도의 좋고 나쁨을 나누는 기준은, 퍼져 있는 입자의 평균적인 크기가 중요한 경우
와 퍼지지 않고 뭉쳐있는 큰 입자의 잔량이 중요한 경우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충전제라면 전자가 맞을 거 같군요..그렇다면, 적절하게 매질에서 분산이 되면서 입자크기도 균일한 것이 분산도가 좋은 것으로 볼 수 있겠는데요, 이럴 경우 입자크기 측정법으로 균일한 입자가 얻어졌는지가 중요할 거 같구요..측정법은 particle size analyzer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침강법을 사용하게 되면 입자크기별로 층이 생기게 되는데 이 층이 작을수록 보다 더 균일한 입자가 얻어진 것으로 판단하면 되겠습니다. 이 외에도 여과 속도법등도 있는데 판단 기준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질문-------------------------------------
고분자를 녹이고 충전제를 혼합해서 시료를 얻어낸 다음
단면을 sem을 촬영해서 충전제의 분산도를 평가 해야 하는데요
분산도의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하고 어떻게 평가 해야 하는지 도통 모르겠네요.
분산이 어떻게 되면 분산도가 좋은 건가요? 그리고 그걸 어떻게 객관적으로 평가 해야 할까요?
입자간 거리 이런걸 쟤서 해야 하나요? 구체적으로 방법좀 알려주세요^^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가 있다던데 혹시 그런게 있다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