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이차전지 슬러리만드는데 들어가는 바인더

이차전지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 현재는 PVDF를 주로 쓴다고 알고있습니다.

 

다른 고분자로 연구되고 있는 내용이나 이차전지 바인더에 관련된 총론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이차전지
  • 바인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질문-------------------------------------

    이차전지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 현재는 PVDF를 주로 쓴다고 알고있습니다.

     

    다른 고분자로 연구되고 있는 내용이나 이차전지 바인더에 관련된 총론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미국 특허 US 5,380,606호에는 전극의 바인더로서, 폴리아믹 애시드(polyamic acid)와, 폴리아마이드 레진(polyamide resin),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그리고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즈(hydroxyalkylcellulose)로 된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제안하여, 전지의 수명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음.

    이럴경우의 문제점: 극판의 건조 공정시 추가된 폴리아믹 애시드를 제거하기 위해 200∼400℃에서 고온 열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공정의 운영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열처리시 전극의 물성이 변화하는 문제점이 발생.
    윗사항은 전극의 바인더의 예이며,

     전지의 바인더로는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 접착력이 강한 바인더로는 스틸렌 부타디엔 러버(SBR)가 사용됨.

    예전자료이나 전지용 자료 하나 첨부합니다.

     

    -------------------------------------질문-------------------------------------

    이차전지를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 현재는 PVDF를 주로 쓴다고 알고있습니다.

     

    다른 고분자로 연구되고 있는 내용이나 이차전지 바인더에 관련된 총론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미국 특허 US 5,380,606호에는 전극의 바인더로서, 폴리아믹 애시드(polyamic acid)와, 폴리아마이드 레진(polyamide resin), 폴리비닐 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그리고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즈(hydroxyalkylcellulose)로 된 하나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혼합 바인더를 제안하여, 전지의 수명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음.

    이럴경우의 문제점: 극판의 건조 공정시 추가된 폴리아믹 애시드를 제거하기 위해 200∼400℃에서 고온 열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공정의 운영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열처리시 전극의 물성이 변화하는 문제점이 발생.
    윗사항은 전극의 바인더의 예이며,

     전지의 바인더로는 이차전지의 전극 제조에 사용하는 것으로 접착력이 강한 바인더로는 스틸렌 부타디엔 러버(SBR)가 사용됨.

    예전자료이나 전지용 자료 하나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문규님의 답변

    양극에는 PVdF, 음극에는 SBR이 양산업체에서 쓰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양극에는 PVdF, 음극에는 SBR이 양산업체에서 쓰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