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의 실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erceptin(tratuzemab)과 NK 세포를 가지고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논문에서 보면 con과 ADCC그룹은 큰 차이의 세포 독성 결과를 보이는데
실험을 해본 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거 같습니다.
her2가 발현이 잘되는 세포를 사용하고 있고 암치료에 쓰고 있는 herceptin을 시약으로 쓰고 있으며
NK 세포는 NK receptor가 잘발현되고 있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잘 판단이 안됩니다.
혹시 실험을 해보셨거나 도움이 될만한 말씀이 있으시면
답을 주셨으면 합니다. 메일은 mobokoco@gmail.com입니다.
부탁드립니다.
- ADCC
- antibody
- cytotoxicity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
답변
김상태님의 답변
2011-12-30- 0
-------------------------------------질문-------------------------------------
antibody dependent cellular cytotoxicity 의 실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herceptin(tratuzemab)과 NK 세포를 가지고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논문에서 보면 con과 ADCC그룹은 큰 차이의 세포 독성 결과를 보이는데
다바글
실험을 해본 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거 같습니다.
her2가 발현이 잘되는 세포를 사용하고 있고 암치료에 쓰고 있는 herceptin을 시약으로 쓰고 있으며
NK 세포는 NK receptor가 잘발현되고 있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잘 판단이 안됩니다.
혹시 실험을 해보셨거나 도움이 될만한 말씀이 있으시면
답을 주셨으면 합니다. 메일은 mobokoco@gmail.com입니다.
부탁드립니다.
-제가 보긴 이 수용체의 반응성과 리간드간의 결합친화도가 그리 좋진 않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