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청색 유기발광물질 (OLED관련)

OLED 유기발광물질에 대해서 연구를 시작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청색이 수명이 짧고 효율이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1. 청색 유기발광물질의 연구에 대한 미래 전망이 궁금합니다
2. 이전까지 청색 유기발광물질의 평균수명과 평균효율(양자효율)이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수고하세요 ^^
  • OLED
  • 유기발광물질
  • 청색 발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일구님의 답변

    청색 OLED 발광 물질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어 집니다.

    1. flu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2.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HOLEDs)

    여기에서, OLED 는 singlet exciton 을 이용하지만, PHOLED는 singlet 과
    triplet extciton 을 모두 이용하므로 양자 효율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HOLED는 일반적인 OLED 에 비하여 약 4배 이상의 양자효율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 PHOLED에서는 약 20% 이상의 양자효율을 얻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Overview는 Adv. Mater. 2012, 24, 3169–3190를 참조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각 물질의 특성 및 원하시는 정보들에 대한 Review paper 입니다.

    또한, Adv.Mater.2005,17,2493–2497를 참조하시면, Blue OLED에 대한 시간
    특성에 따른 광량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보여 주었습니다. 청색 물질 자체에 대한 특성도
    중요하지만, device fabrication 에서 제어 해야 할 요소들도 많이 있습니다.
    Half life time 을 10,000hr까지 demonstration 하였습니다만, 어디까지나
    부분적인 결과 이므로, 전체적인 윤곽은 좀더 literature review 를 통하여
    잡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또한, 청색 유기 발광 물질의 연구에 대한 미래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90년대말 청색 LED에 대한 획기적인 결과가 일본 니치아 화학의 슈지 나카무라 박사에
    의하여 발표 된것과는 비교 할 수 없습니다만, 색의 3원색인 R,G,B 의 안정적인 구현을
    위하여는 반드시 필요한 연구가 되겠지요.

    참고문헌
    1. Adv. Mater. 2012, 24, 3169–3190
    2. Adv.Mater.2005,17,2493–2497
    청색 OLED 발광 물질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뉘어 집니다.

    1. flu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2.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HOLEDs)

    여기에서, OLED 는 singlet exciton 을 이용하지만, PHOLED는 singlet 과
    triplet extciton 을 모두 이용하므로 양자 효율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PHOLED는 일반적인 OLED 에 비하여 약 4배 이상의 양자효율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 PHOLED에서는 약 20% 이상의 양자효율을 얻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Overview는 Adv. Mater. 2012, 24, 3169–3190를 참조하시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각 물질의 특성 및 원하시는 정보들에 대한 Review paper 입니다.

    또한, Adv.Mater.2005,17,2493–2497를 참조하시면, Blue OLED에 대한 시간
    특성에 따른 광량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보여 주었습니다. 청색 물질 자체에 대한 특성도
    중요하지만, device fabrication 에서 제어 해야 할 요소들도 많이 있습니다.
    Half life time 을 10,000hr까지 demonstration 하였습니다만, 어디까지나
    부분적인 결과 이므로, 전체적인 윤곽은 좀더 literature review 를 통하여
    잡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또한, 청색 유기 발광 물질의 연구에 대한 미래 전망은 매우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90년대말 청색 LED에 대한 획기적인 결과가 일본 니치아 화학의 슈지 나카무라 박사에
    의하여 발표 된것과는 비교 할 수 없습니다만, 색의 3원색인 R,G,B 의 안정적인 구현을
    위하여는 반드시 필요한 연구가 되겠지요.

    참고문헌
    1. Adv. Mater. 2012, 24, 3169–3190
    2. Adv.Mater.2005,17,2493–2497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