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운동화를 디자인할때 생체역학적으로 바라볼경우..

생체역학 관점에서 운동화를 디자인할때 어떻게디자인하면 성능 과 안전을 보다 향상시킬수 있을까요???
  • 생체역학
  • 역학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강광철님의 답변

    답변이 없어서 상식수준에서 답변을 하면...
    역학적으로 다리는 몸을 지탱하니 운동화가 전체의 몸무게를 골고루 분산되도록 설계하시면 성능이 좋을것 같구요. 안전또한 무게의 분산 개년으로 설계하시면 안전한 신발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 되네요..
    답변이 없어서 상식수준에서 답변을 하면...
    역학적으로 다리는 몸을 지탱하니 운동화가 전체의 몸무게를 골고루 분산되도록 설계하시면 성능이 좋을것 같구요. 안전또한 무게의 분산 개년으로 설계하시면 안전한 신발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 되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성일님의 답변

    생체역학은 생체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역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학문 분야로서 재료역학, 정역학, 역학, 유체역학의 원리와 방법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학문입니다. 단적으로 향상된 성능과 안전을 위한 운동화 개발이라는 질문에 바로 접근하기에는 난해한 부분이 있습니다. 운동화라는 것이 신는 사람의 몸무게 (질량, 가속도, 모멘트...), 걷는 습관 (관성, 모멘트...), 일반인 혹은 스포츠인을 위한 운동화인지에 따라 모든 인자들이 바뀌기 때문입니다.오래된 기억이라 가물가물 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오래전 다큐멘터리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유전 적으로 서양인과 비교하여 physical에서 오는 핸디켑을 과학기술을 통해 극복하는 내용의 다큐맨터리입니다. 올림픽 특집으로 마라톤 선수와 단거리 육상선수의 운동화 개발이 주요 내용이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 역시 마라톤, 단거리 인지에 따라 운동화의 디자인 및 역학적 접근 방식 자체가 달랐 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 분야에서 세계 탑은 일본입니다. 지금은 일본 뿐만아니라 한국, 중국도 체형의 서구화가 많이 이루어져 육상이나, 수영에서 세계적인 선수가 배출되고 있으나 10여년 전만에도 동양권에서 수영이나 육상 종목에서는 일본이 단연 위 였습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고자 하신다면 일본관련 자료를 찾으심이 좋을 듯 합니다.
    생체역학은 생체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역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학문 분야로서 재료역학, 정역학, 역학, 유체역학의 원리와 방법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학문입니다. 단적으로 향상된 성능과 안전을 위한 운동화 개발이라는 질문에 바로 접근하기에는 난해한 부분이 있습니다. 운동화라는 것이 신는 사람의 몸무게 (질량, 가속도, 모멘트...), 걷는 습관 (관성, 모멘트...), 일반인 혹은 스포츠인을 위한 운동화인지에 따라 모든 인자들이 바뀌기 때문입니다.오래된 기억이라 가물가물 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오래전 다큐멘터리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유전 적으로 서양인과 비교하여 physical에서 오는 핸디켑을 과학기술을 통해 극복하는 내용의 다큐맨터리입니다. 올림픽 특집으로 마라톤 선수와 단거리 육상선수의 운동화 개발이 주요 내용이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이 역시 마라톤, 단거리 인지에 따라 운동화의 디자인 및 역학적 접근 방식 자체가 달랐 던 걸로 기억합니다. 이 분야에서 세계 탑은 일본입니다. 지금은 일본 뿐만아니라 한국, 중국도 체형의 서구화가 많이 이루어져 육상이나, 수영에서 세계적인 선수가 배출되고 있으나 10여년 전만에도 동양권에서 수영이나 육상 종목에서는 일본이 단연 위 였습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고자 하신다면 일본관련 자료를 찾으심이 좋을 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연령, 나라별 (동양과 서양), 남녀에 따른
    발의 구조를 삼차원으로 평균하여 모델하여 
    신발을 설계하는 것이 맞춤형 신발에 가깝게 제조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연령, 나라별 (동양과 서양), 남녀에 따른
    발의 구조를 삼차원으로 평균하여 모델하여 
    신발을 설계하는 것이 맞춤형 신발에 가깝게 제조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채형님의 답변

    발모양의 뼈구조 조형물을 만들어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달고 사람이 걷는 모드, 달리는 모드로 시험을 하면 발바닥의 각 부위에 어떤 하중을 받는지 자료가 나올겁니다. 최대한 하중을 분산해서 발바닥이나 관절의 특정 부위에 힘이 가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것이 발건강이나 균형잡힌 걷기, 달리기에서 좋습니다. 모션캡쳐를 이용해서는 발운동 패턴 자료를 토대로 발운동에 최대한 방해가 되지 않고 오히려 증진할 수 있도록 운동화의 구조나 재질 선택을 바꾸면서 디자인할 수도 있고요.
    발모양의 뼈구조 조형물을 만들어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달고 사람이 걷는 모드, 달리는 모드로 시험을 하면 발바닥의 각 부위에 어떤 하중을 받는지 자료가 나올겁니다. 최대한 하중을 분산해서 발바닥이나 관절의 특정 부위에 힘이 가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것이 발건강이나 균형잡힌 걷기, 달리기에서 좋습니다. 모션캡쳐를 이용해서는 발운동 패턴 자료를 토대로 발운동에 최대한 방해가 되지 않고 오히려 증진할 수 있도록 운동화의 구조나 재질 선택을 바꾸면서 디자인할 수도 있고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