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25
org.kosen.entty.User@7c62e5ff
김성수(zero1521)
- 3
실험에서 purification을 위해 컬럼을 진행하였는데 프로덕트의 RF값이 MC30에서 0.6정도입니다.
MC 5로 로딩해서 10, 15로 점차 높여서 컬럼을 진행하고 프로덕트만 분리해내었는데 아래의 다른스팟은 안나오지만 로딩선이 딸려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왜 이런지 알수있을까요?
패킹도 잘 되었고 로딩선도 일정하게 잘 되어있습니다.
실리카 패킹도 잘되어있고 프로덕트가 깨지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MC 5로 로딩해서 10, 15로 점차 높여서 컬럼을 진행하고 프로덕트만 분리해내었는데 아래의 다른스팟은 안나오지만 로딩선이 딸려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왜 이런지 알수있을까요?
패킹도 잘 되었고 로딩선도 일정하게 잘 되어있습니다.
실리카 패킹도 잘되어있고 프로덕트가 깨지거나 하지는 않았습니다.
- purific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17-02-26- 1
오버 로딩이 원인으로 추정됨니다 실릭카 양이 적은 경우 흔이 나타납니다조윤환(brmdolee) 2017-02-27컬럼크로마토그래피 기초 이론에 보면 Capacity factor 라는 것이 있습니다. retention factor 라고도 하는데 그 의미만 말씀드리면 일정량의 실리카겔로 분리할 수 있는 샘플의 양이 정해져 있다는 겁니다. 즉 실리카가 감당할 수 있는 양 이상으로 너무 많이 로딩을 하면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섞여 나오게 된다는 거죠.
-
답변
김병관님의 답변
2017-03-02- 1
컬럼할 때 로딩선이나 다른 spot 물질이 섞여나오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로딩 시 많은 전개액을 사용하거나
MC가 적은 양에서도 RF값이 크거나
샘플양에 비해 관 두께가 얇아 샘플 라인이 두껍거나
샘플양에 비해 관 길이가 짧거나
사용한 전개액의 물질 RF 값이 크거나
윗 분 답변대로 오버 로딩 등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답변
김성수님의 답변
2017-08-25- 1
컬럼할 때 로딩선이나 다른 spot 물질이 섞여나오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로딩 시 많은 전개액을 사용하거나
MC가 적은 양에서도 RF값이 크거나
샘플양에 비해 관 두께가 얇아 샘플 라인이 두껍거나
샘플양에 비해 관 길이가 짧거나
사용한 전개액의 물질 RF 값이 크거나
윗 분 답변대로 오버 로딩 등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오버로딩이 실리카 양에 비해 로딩한 양이 많다는 건가요?
혹시 원리?도 알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