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intercellular fluid에 PR protein 이 많다는데 어떤 물질을 첨가하면 배양이 잘될까요

제가 배양하고 있는 식물세포가 자꾸만 죽어서 논문을 다시 찾아보니
이 식물체 특징 상 intercellular fluid 에  pr protein 이 많다고 합니다
또 배지도 자꾸만 갈색이 되어서 왜 그런지 원인을 몰랐는데
다른 연구를 검색해 보니 이 식물세포 배양 배지에 pr protein 이 분비되어 있다네요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을 혼합한 항산화제 첨가는 진행해 봤으나 별 재미를 못봤습니다

혹시  PVP  를 적용하면 pr protein들의 작용 내지는 갈변 내지는 2차 대사 억제를 하고 1차 대사를 활발하게 할 수 있을까요?

1차 대사를 좀 더 활발하게 해 주고 싶은데 어떤 물질을 첨가하면 좋을까요?
  • intercellular fluid
  • pr protein
  • plant cell cultu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0.2% (w/v) PVP and 10 mM DTT 를 배지에 첨가하여 tissue browning을 줄일 수 있다는 논문도 있더군요 (Plant Physiol. (1995) 108: 949-960).
     
    0.2% (w/v) PVP and 10 mM DTT 를 배지에 첨가하여 tissue browning을 줄일 수 있다는 논문도 있더군요 (Plant Physiol. (1995) 108: 949-96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미옥님의 답변

    참고문헌 감사드립니다

     tissue browning에 PVP, DTT  함께 사용했던데
    PVP는 분자량이 커서 세포 내로 침투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1) DTT는 세포 내 침투가 가능할까요?

    2) PVP는 많은 경우 protein stabilizer 로 사용되던데요 단백질을 안정하게 한다는 것이 PVP가 단백질의 3차 구조 상에서 밖으로 드러나 양이온들과 결합을 한다는 것이겠죠? 

    3) DTT 는 reducing agent 라서 단백질을 불활성화 시킬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  reducing 이라는 것의 범위가 어디까지 일까요? 즉, 어떤 효소 범위까지 reducing 시킬까요? 
    참고문헌 감사드립니다

     tissue browning에 PVP, DTT  함께 사용했던데
    PVP는 분자량이 커서 세포 내로 침투하지 않을 것 같은데요
    1) DTT는 세포 내 침투가 가능할까요?

    2) PVP는 많은 경우 protein stabilizer 로 사용되던데요 단백질을 안정하게 한다는 것이 PVP가 단백질의 3차 구조 상에서 밖으로 드러나 양이온들과 결합을 한다는 것이겠죠? 

    3) DTT 는 reducing agent 라서 단백질을 불활성화 시킬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  reducing 이라는 것의 범위가 어디까지 일까요? 즉, 어떤 효소 범위까지 reducing 시킬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제가 발효분야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정확한 답변을 못드리네요.

    아래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고,

    https://www.researchgate.net/post/How_do_I_reduce_the_Browning_in_Tissue_culture_media

    첨부한 리뷰 논문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VP도 모든 대사산물 또는 단백질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더군요.
    제가 발효분야 전문가가 아니다 보니 정확한 답변을 못드리네요.

    아래 웹사이트를 참고하시고,

    https://www.researchgate.net/post/How_do_I_reduce_the_Browning_in_Tissue_culture_media

    첨부한 리뷰 논문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VP도 모든 대사산물 또는 단백질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더군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미옥님의 답변

    답변 감사드립니다 분명 제 논리대로라면 PVP가 제대로 working을 해서 갈변이 억제되어야 맞는데 이상하게도 세포의 갈변은 잘 모르겠으나 배지가 자꾸만 갈변이 되더라고요 그래서 PVP가 적용되는 단백질이나 대사산물 종류가 있고 그 종류가 내 cells과 맞지 않는가 보다 라고 생각이 됐습니다 그렇다면, 차후의 실험을 위해
    PVP나 DTT가 적용되는 단백질들은 어떤 종류들이 있을까요?
    어찌됐건 이번 실험에서는 큰 재미를 보지 못했지만
    차후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은 필요한 것으로 보여져서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분명 제 논리대로라면 PVP가 제대로 working을 해서 갈변이 억제되어야 맞는데 이상하게도 세포의 갈변은 잘 모르겠으나 배지가 자꾸만 갈변이 되더라고요 그래서 PVP가 적용되는 단백질이나 대사산물 종류가 있고 그 종류가 내 cells과 맞지 않는가 보다 라고 생각이 됐습니다 그렇다면, 차후의 실험을 위해
    PVP나 DTT가 적용되는 단백질들은 어떤 종류들이 있을까요?
    어찌됐건 이번 실험에서는 큰 재미를 보지 못했지만
    차후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은 필요한 것으로 보여져서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