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커패시터에 사용되는 유전체의 유전 상수

안녕하세요,

capacitor에 관련한 모든 분야(유전상수, 유전체 등등)에 대해 문외한이라

요즘 프로젝트 관련하여 capacitor 관련 논문을 보고 있는데 내용 이해가 쉽게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1. 470V/㎛에서 9.7J/cm3, ~ 600V/㎛ 에서 27J/cm3 정도의 에너지 밀도를 갖는 커패시터는 용량이 큰편에 속하는것인지 이정도의 밀도라면 일반적으로 어디에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자동차용이나, ESS와 같은 대용량에 사용되는 것인지,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2. capacitor의 유전체의 유전상수가 77±10 (@ 1kHz)이면 개발된 고분자 유전체의 유전율이 일반적으로 현재 개발되어 사용중인 것보다 우수한 편인지 궁금합니다.

3. Capacitor와 Super capacitor의 구분을 용량 관점에서 볼때 Super capacitor는 어느 정도의 에너지 밀도 또는 용량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이 분야에 대해 배경 지식이 부족하여 이렇게 질문을 드려도 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시간 내주셔서 읽어 주시고 답변 주시면 진심으로 감사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커패시터
  • 유전상수
  • 유전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병관님의 답변

    보통 저희 분야 쪽에서는 capacitor의 지표로 specific capacitance (C/g or C/cm2 or C/cm3)를 사용하고, power density와 energy density에 따라 사용처를 구분합니다.
    참고 그림 링크 첨부합니다.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ower_vs_energy_density.png

    고분자 유전율 치고는 엄청 높은 편인 것 같습니다.
    Supercapacitor는 100 Wh/kg 에너지 밀도이상과 1000 W/kg의 파워 밀도 정도를 가지는 전지와 capacitor 두 가지의 좋은 특성을 모두 가지면 되는데 정확하게 나누는 기준은 없습니다.
    재작년 정도부터 위의 특성을 만족하는 재료가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저희 분야 쪽에서는 capacitor의 지표로 specific capacitance (C/g or C/cm2 or C/cm3)를 사용하고, power density와 energy density에 따라 사용처를 구분합니다.
    참고 그림 링크 첨부합니다.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ower_vs_energy_density.png

    고분자 유전율 치고는 엄청 높은 편인 것 같습니다.
    Supercapacitor는 100 Wh/kg 에너지 밀도이상과 1000 W/kg의 파워 밀도 정도를 가지는 전지와 capacitor 두 가지의 좋은 특성을 모두 가지면 되는데 정확하게 나누는 기준은 없습니다.
    재작년 정도부터 위의 특성을 만족하는 재료가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