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우스 eosinophil과 neutrophil도 CD16으로 구분할 수 있나요?
마우스 eosinophil과 neutrophil도 CD16으로 구분할 수 있나요?
human의 경우에는 CD16 발현 여부에 따라 FACS 상에서 구분 가능한데, 마우스의 경우에도 그러한가요? 여기저기 찾아봐도 human의 경우에 대한 논문 밖에 찾을 수가 없네요... 혹시 참고할 만한 논문 있으면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자세히 보기- eosinophil
- neutrophil
- marker
2006-11-16 김동현(uri97)- 1
-
반도체용 postivie PR에 대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반도체용 postivie PR에 대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반도체에서 패터닝에 사용되는 photoresist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합니다. 현재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입니다. 저는 반도체용 posi PR로 쓰이는 고분자의 구조적 특성을 알고 싶습니다. 관련 자료나 유용한 웹사이트 등등 어떠한 형태의 도움이건 기쁘게 받아보겠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photoresist
2006-11-16 오동현(dream91)- 5
-
파장과 파수
파장과 파수
파장과 파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적외선 분광기나 라만 분광기를 사용할경우.. 스펙트럼은 wave number 즉 파수에 대한 intensity를 나타냅니다. 특히 라만의 경우 일정한 파장 (nm단위)을 사용하여 파수(cm-1단위)의 결과를 얻게 되는데요. 이 단위를 왜 nm 같은 파장 단위가 아닌 파수로 나타내는지 궁금합니다. 분자의 진동 모드는 주로 적외선 영역에서 나타나는데 이 영역은 파장단위로 표시될 수 있을텐데 말이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wave number
2006-11-15 전희진(otakijun)- 3
-
- micro
- isolated
- membrane
2006-11-15 김홍일(jhr0523)- 1
-
휴대용 fluorometer 추천요~ 필터타입 원합니다.
휴대용 fluorometer 추천요~ 필터타입 원합니다.
휴대용 fluorometer 추천요~ 필터타입 원합니다. 1. 측정물질 - DNA Quant(Hoechst 33258, PicoGreen) - Oligo Quant(OliGreen) - Protein Quant(NanoOrange) - RNA Quant(RiboGreen)
자세히 보기- fluorometer
2006-11-15 김병렬(env21)- 0
-
Gap junction 실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Gap junction 실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Gap junction에 대한 실험 중 Scrape loading/dye transfer(SL/DT) 실험을 해보고 싶습니다. 논문에 나온 method를 봐서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실제 실험에 쓰이는 protocol을 얻을 수가 있을까요? Gap junction에 관련된 실험들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은데 어떻게 하여야 할련지 알려주세요. 바쁘신데, 이런 부탁드려서 죄송하며, 하시는 일 잘되시길 바랍니다.
자세히 보기- gap junction
- scrap loading
2006-11-15 박재홍(gostudy)- 0
-
경피흡수 실험관련
경피흡수 실험관련
경피흡수 실험에 관련하여 질문좀 드리려고 합니다.. 이분야에 대해선 잘몰라서요! 일단 자료조사를 좀 해보았는데 주로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많이 사용하고 사용하는 membrane은 mouse skin, porcine skin, human cadaver skin등 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경피흡수 실험에 사용할 시료가 많아서 일단 screening 수준에서 위와같은 동물모델의 피부를 사용하지 않고 대체로 사용할 다른 방법...
자세히 보기- skin penetration
2006-11-15 심관섭(gwansub)- 1
-
- Cu
- Zn Analysis
2006-11-15 임석묵(johnlim7)- 2
-
강관열처리(normalizing)중 내면 탈탄층 최소화 방안 문의
강관열처리(normalizing)중 내면 탈탄층 최소화 방안 문의
강관열처리와 관련하여 무산화소둔공정후 강관의 탈탄층을 30미크론미만으로 관리해 달라는 고객요구로 질의합니다. 몇차례시험하여 강관외면의 탈탄층은 규격에 만족하나 관의 내면 탈탄층을 최소화하기가 힘드네요. 관내면으로 산소가 유입되기때문인거 같습니다. 탄소함유량 0.2%이며,열처리온도는 900도입니다. DX가스분위기도 만족합니다. 고수님들의 의견바랍니다. 어떻게 해야만 관의 내면에 탈탄층을 최소화시킬수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decarbulized layer
- normalizing
- decabulization
2006-11-14 유철승(antonioycs)- 1
-
- PI PILM
2006-11-14 임석묵(johnlim7)- 2
-
eosinophil과 neutrophil 구분법
eosinophil과 neutrophil 구분법
eosinophil과 neutrophil 구분법을 알고 싶습니다. 특히 FACS에 사용할 수 있는 cell surface marker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eosinophil
- neutrophil
2006-11-14 김동현(uri97)- 1
-
- 부식방지
- SAMs
- 금속
2006-11-13 한희(hanheekr)- 1
-
PDGFR inhibitor인 ag1295의 작용기전을 아시는분?
PDGFR inhibitor인 ag1295의 작용기전을 아시는분?
ag1295는 pdgfr를 inhibition시키는 물질입니다. 혹시 ag1295의 작용원리에 대해 아시는 분 있나요? 인터넷상에서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pdgfr의 어느부분에 결합을 해서 어떻게 pdgfr가 억제되는지 알고싶습니다. pdgfr의 cytosolic부분만을 가지고 in-vitro kinase assay를 하고 있는데, ag1295가 이 kinase를 inhibition시키지 못합니다.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ag1295
- pdgfr
2006-11-13 배점일(behonest)- 1
-
제올라이트(zeolite)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올라이트(zeolite)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올라이트의 합성을 배우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1. 제올라이트를 (개인적으로) 공부하다보니 A형, P형, X형 등.. 많은 형태가 있는데 이런 형태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이러한 제올라이트에 6개의 링이 붙어 있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는데 6개의 링이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다음의 논문을 읽어 보았는데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습니다. http://www.kosen21.org/pls/kosendev/menu.report_index?vc_url=/pls/ko...
자세히 보기- zeolite
2006-11-12 엄재범(ald45)- 1
-
전극으로 ITO의 사용이 가능한가요?
전극으로 ITO의 사용이 가능한가요?
강유전체 PZT로 메모리를 만들때 산소공공을 보상하려고 산화물전극을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IrO2를 쓰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ITO를 쓰면 안되는건가요? ITO를 쓰면 어떤 문제가 발생을 하는건가요?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ITO
2006-11-11 김형섭(gtool77)- 2
-
전자기 렌즈에 관한 자료
전자기 렌즈에 관한 자료
전자나 이온들을 집속시키는 전자기렌즈에 관한 자료나 논문을 찾습니다. 전자현미경이나 집속이온빔 장치에 사용되는 렌즈에 대한 자료두요..
자세히 보기- electromagnetic
2006-11-11 박만진(jinman)- 1
-
- secondary battery
- seperate film
- thin film
2006-11-11 김홍일(jhr0523)- 1
-
폴리이미드제 다공질막에 관하여
폴리이미드제 다공질막에 관하여
2차전지용 내열성 분리막에 쓰이는 폴리이미드제 다공질막에 관한 최신 리뷰논문이나 동향을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여~~~
자세히 보기- secondary battery
- polyimide
- leachy film
2006-11-11 김홍일(jhr0523)- 1
-
living polymerization(리빙 중합)의 종류에는 무엇인 있나요??
living polymerization(리빙 중합)의 종류에는 무엇인 있나요??
living polymerization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고 각각의 중합에 대해서 설명좀 해주세요..^^
자세히 보기- living polymerization
2006-11-10 강호연(3kang3)- 1
-
미국에서 기계번역 분야를 연구하시는 한인 교수님
미국에서 기계번역 분야를 연구하시는 한인 교수님
미국에서 박사과정에 진학하려고 하는 분의 부탁을 받았습니다. 기계번역, 자연어처리 분야를 전공하고 가능하면 한인 교수님이 계시는 곳을 선호한다는군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
자세히 보기- 기계번역
- machine translation
- artificial intelligence
2006-11-10 한선화(shhahn)- 1
전체 17558개
-
마우스 eosinophil과 neutrophil도 CD16으로 구분할 수 있나요?
마우스 eosinophil과 neutrophil도 CD16으로 구분할 수 있나요?
human의 경우에는 CD16 발현 여부에 따라 FACS 상에서 구분 가능한데, 마우스의 경우에도 그러한가요? 여기저기 찾아봐도 human의 경우에 대한 논문 밖에 찾을 수가 없네요... 혹시 참고할 만한 논문 있으면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자세히 보기- eosinophil
- neutrophil
- marker
2006-11-16 김동현(uri97)- 1
-
반도체용 postivie PR에 대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반도체용 postivie PR에 대한 자료 부탁드립니다.
반도체에서 패터닝에 사용되는 photoresist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합니다. 현재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입니다. 저는 반도체용 posi PR로 쓰이는 고분자의 구조적 특성을 알고 싶습니다. 관련 자료나 유용한 웹사이트 등등 어떠한 형태의 도움이건 기쁘게 받아보겠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photoresist
2006-11-16 오동현(dream91)- 5
-
파장과 파수
파장과 파수
파장과 파수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적외선 분광기나 라만 분광기를 사용할경우.. 스펙트럼은 wave number 즉 파수에 대한 intensity를 나타냅니다. 특히 라만의 경우 일정한 파장 (nm단위)을 사용하여 파수(cm-1단위)의 결과를 얻게 되는데요. 이 단위를 왜 nm 같은 파장 단위가 아닌 파수로 나타내는지 궁금합니다. 분자의 진동 모드는 주로 적외선 영역에서 나타나는데 이 영역은 파장단위로 표시될 수 있을텐데 말이죠..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wave number
2006-11-15 전희진(otakijun)- 3
-
- micro
- isolated
- membrane
2006-11-15 김홍일(jhr0523)- 1
-
휴대용 fluorometer 추천요~ 필터타입 원합니다.
휴대용 fluorometer 추천요~ 필터타입 원합니다.
휴대용 fluorometer 추천요~ 필터타입 원합니다. 1. 측정물질 - DNA Quant(Hoechst 33258, PicoGreen) - Oligo Quant(OliGreen) - Protein Quant(NanoOrange) - RNA Quant(RiboGreen)
자세히 보기- fluorometer
2006-11-15 김병렬(env21)- 0
-
Gap junction 실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Gap junction 실험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Gap junction에 대한 실험 중 Scrape loading/dye transfer(SL/DT) 실험을 해보고 싶습니다. 논문에 나온 method를 봐서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많습니다. 실제 실험에 쓰이는 protocol을 얻을 수가 있을까요? Gap junction에 관련된 실험들에 대한 정보를 얻고 싶은데 어떻게 하여야 할련지 알려주세요. 바쁘신데, 이런 부탁드려서 죄송하며, 하시는 일 잘되시길 바랍니다.
자세히 보기- gap junction
- scrap loading
2006-11-15 박재홍(gostudy)- 0
-
경피흡수 실험관련
경피흡수 실험관련
경피흡수 실험에 관련하여 질문좀 드리려고 합니다.. 이분야에 대해선 잘몰라서요! 일단 자료조사를 좀 해보았는데 주로 Franz diffusion cell system을 많이 사용하고 사용하는 membrane은 mouse skin, porcine skin, human cadaver skin등 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경피흡수 실험에 사용할 시료가 많아서 일단 screening 수준에서 위와같은 동물모델의 피부를 사용하지 않고 대체로 사용할 다른 방법...
자세히 보기- skin penetration
2006-11-15 심관섭(gwansub)- 1
-
- Cu
- Zn Analysis
2006-11-15 임석묵(johnlim7)- 2
-
강관열처리(normalizing)중 내면 탈탄층 최소화 방안 문의
강관열처리(normalizing)중 내면 탈탄층 최소화 방안 문의
강관열처리와 관련하여 무산화소둔공정후 강관의 탈탄층을 30미크론미만으로 관리해 달라는 고객요구로 질의합니다. 몇차례시험하여 강관외면의 탈탄층은 규격에 만족하나 관의 내면 탈탄층을 최소화하기가 힘드네요. 관내면으로 산소가 유입되기때문인거 같습니다. 탄소함유량 0.2%이며,열처리온도는 900도입니다. DX가스분위기도 만족합니다. 고수님들의 의견바랍니다. 어떻게 해야만 관의 내면에 탈탄층을 최소화시킬수 있을까요?
자세히 보기- decarbulized layer
- normalizing
- decabulization
2006-11-14 유철승(antonioycs)- 1
-
- PI PILM
2006-11-14 임석묵(johnlim7)- 2
-
eosinophil과 neutrophil 구분법
eosinophil과 neutrophil 구분법
eosinophil과 neutrophil 구분법을 알고 싶습니다. 특히 FACS에 사용할 수 있는 cell surface marker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eosinophil
- neutrophil
2006-11-14 김동현(uri97)- 1
-
- 부식방지
- SAMs
- 금속
2006-11-13 한희(hanheekr)- 1
-
PDGFR inhibitor인 ag1295의 작용기전을 아시는분?
PDGFR inhibitor인 ag1295의 작용기전을 아시는분?
ag1295는 pdgfr를 inhibition시키는 물질입니다. 혹시 ag1295의 작용원리에 대해 아시는 분 있나요? 인터넷상에서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찾을 수가 없었습니다. pdgfr의 어느부분에 결합을 해서 어떻게 pdgfr가 억제되는지 알고싶습니다. pdgfr의 cytosolic부분만을 가지고 in-vitro kinase assay를 하고 있는데, ag1295가 이 kinase를 inhibition시키지 못합니다.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자세히 보기- ag1295
- pdgfr
2006-11-13 배점일(behonest)- 1
-
제올라이트(zeolite)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올라이트(zeolite)의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제올라이트의 합성을 배우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1. 제올라이트를 (개인적으로) 공부하다보니 A형, P형, X형 등.. 많은 형태가 있는데 이런 형태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이러한 제올라이트에 6개의 링이 붙어 있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는데 6개의 링이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다음의 논문을 읽어 보았는데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습니다. http://www.kosen21.org/pls/kosendev/menu.report_index?vc_url=/pls/ko...
자세히 보기- zeolite
2006-11-12 엄재범(ald45)- 1
-
전극으로 ITO의 사용이 가능한가요?
전극으로 ITO의 사용이 가능한가요?
강유전체 PZT로 메모리를 만들때 산소공공을 보상하려고 산화물전극을 쓴다고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IrO2를 쓰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ITO를 쓰면 안되는건가요? ITO를 쓰면 어떤 문제가 발생을 하는건가요? 고수님들 답변 부탁드립니다...^^
자세히 보기- ITO
2006-11-11 김형섭(gtool77)- 2
-
전자기 렌즈에 관한 자료
전자기 렌즈에 관한 자료
전자나 이온들을 집속시키는 전자기렌즈에 관한 자료나 논문을 찾습니다. 전자현미경이나 집속이온빔 장치에 사용되는 렌즈에 대한 자료두요..
자세히 보기- electromagnetic
2006-11-11 박만진(jinman)- 1
-
- secondary battery
- seperate film
- thin film
2006-11-11 김홍일(jhr0523)- 1
-
폴리이미드제 다공질막에 관하여
폴리이미드제 다공질막에 관하여
2차전지용 내열성 분리막에 쓰이는 폴리이미드제 다공질막에 관한 최신 리뷰논문이나 동향을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세여~~~
자세히 보기- secondary battery
- polyimide
- leachy film
2006-11-11 김홍일(jhr0523)- 1
-
living polymerization(리빙 중합)의 종류에는 무엇인 있나요??
living polymerization(리빙 중합)의 종류에는 무엇인 있나요??
living polymerization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고 각각의 중합에 대해서 설명좀 해주세요..^^
자세히 보기- living polymerization
2006-11-10 강호연(3kang3)- 1
-
미국에서 기계번역 분야를 연구하시는 한인 교수님
미국에서 기계번역 분야를 연구하시는 한인 교수님
미국에서 박사과정에 진학하려고 하는 분의 부탁을 받았습니다. 기계번역, 자연어처리 분야를 전공하고 가능하면 한인 교수님이 계시는 곳을 선호한다는군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
자세히 보기- 기계번역
- machine translation
- artificial intelligence
2006-11-10 한선화(shhah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