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구조공학 Curved Bridge(곡교) 분야 세계 1인자“ - 유재홍 미 오번대학교(Auburn University) 명예교수

유재홍 미국 오번대학교 명예교수 겸 고려대학교 초빙교수를 처음 만났을 때 가장 궁금한 것은 ‘지금, 그가, 왜, 서울에 있는가’ 하는 점이었다. 세계 구조공학 분야 최고 권위자이며 특히 그의 이름을 거론하지 않고는 Curved Bridge(곡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수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곡교 연구 분야 세계 제1인자로 불리는 학자. 미국토목공학회(ASCE) Fellow(특별회원). 그리고 학계로부터 곡교 분야 Bible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 유 교수가 정년 제한이 없는 오번대학교 교수직을 스스로 퇴직하고 1/7밖에 되지않는 연봉을 받으며 고려대학교에서 ‘고급구조론 안정론’을 가르치고 있는 이유를 말이다.
그것도 가족까지 미국에 두고 혼자 외롭게 한국에 있는 까닭을 제일 먼저 물었다.

“누가 시켜서라면 했겠습니까? 학문적 동료들도 다 말렸었죠. 하지만 집사람만은 이해해줬습니다. 한국에서 후학을 가르치고 싶다는 평생의 열망을 집사람은 알고 있었거든요. 더 일찍 오고 싶었는데, 고희의 나이가 돼서야 오게 됐네요.”

이어서, 유재홍 교수는 뜬금없이 고려청자 얘기를 꺼냈다.
“고려청자의 오묘한 아름다움이 후대에 이어지지 않고 당대 장인들 사이에서 끝난 것은 정말이지 아까운 일입니다. 마찬가지로, 제가 평생 동안 일궈온 학문적 성과가 논문집이나 이론서에서 끝난다면 세상을 떠날 때 참 아쉬울 것 같았어요. 지금껏 강단에 35년 서왔으니 미국에도 제자야 많지요. 하지만 기왕이면 한국에서, 한국 제자들에게 학문을 전수해서 구조공학 분야 최고 학자의 대를 잇게 하고 싶었습니다.”


한국 나이로 이제 고희가 된 노학자의 표정에서는 온화함과 강직함이 동시에 엿 보였다. 나이 서른에 미국으로 유학 가 한국말보다 영어가 더 익숙한 그였지만 한국에 대한, 한국 과학기술에 대한 애정은 그 어느 국내 학자보다 뜨거웠다.

“초등학교 때 일제침략을 성토하며 선생님과 함께 끌어안고 울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후로는 목숨 사리지 않고 목화씨를 숨겨 들어왔던 문익점 선생을 가장 존경해 왔구요. 아마도 그 시절의 기억이 한국에 대한 애끓는 애정을 만들었던 것 같애요.”
그러나 한국에서의 학창시절은 유 교수에게 그리 행복하지만은 않았다. 찢어지게 가난한 피난민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던 탓이다.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입주 가정교사를 시작해 고학으로 당대 최고 명문이던 경복고등학교까지 나왔지만 감히 대학교에 들어갈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자포자기 하고 있을 때, 우연히 한 기업의 장학금을 받아 서울대 토목공학과에 수석으로 입학하게 됐다는 유 교수. 그의 소원은 오로지 ‘원 없이 공부하는 것’이었다고 한다.

“그렇게 대학까지는 장학금으로 나올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또 유학이 가고 싶은 거에요. 돈 한 푼 없는 고학생이 말이죠. 그래서 선택한 것이 월남전이었습니다. 13개월 동안 월남전에 참전해 생사를 오가며 월급을 모으니 간신히 비행기 값과 약간의 학비는 나오더군요. 돈이 모여지자마자 한국에 들를 것도 없이 곧바로 미국 메릴랜드 대학에 입학을 했습니다. 돈이 없으니 졸업도 빨리해야 했지요. 연구조교로 일하면서 3년 만에 석·박사를 끝내버렸습니다. 아직도 그 기록은 전무후무하다고 하더군요.”

유 교수의 입에선 드라마에서나 나올법한 이야기가 술술 풀어져 나왔다.
그래서 원하는 만큼 공부를 다 하셨냐는 질문에, 유 교수는 ‘난 Lucky한 사람’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잘하는 게 공부밖에 없었고, 그걸 지금껏 원 없이 하고 있으니 참 Lucky한 인생 아닙니까? 지금껏 SCI급 논문 70여개, 프로시딩 300여개를 남겼어요. 그 가운데 모든 구조공학자들이 벤치마킹할 만한 것이라고 스스로 생각되는 것도 4개가 있구요. 30~40년을 밤새워 공부하며 끙끙 앓던 연구과제에 대한 해답이 바로 그것들이죠. 이 솔루션들을 얻은 기쁨을 로또에 당첨된 것과 비교하겠습니까? Lucky 그 자체죠.“

유 교수는 코센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표현했다. 더불어 ‘대가’다운 충고도 잊지 않았다.
“한민족 학자들이 서로 고품격 정보를 나누며 성장하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습니다. 저처럼 애국심도 많이 키울 수 있을 것 같아요. 코센 회원들에게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정말 ‘죽을 만큼’ 치열하게 ‘목숨을 걸고’ 연구에 올인 해 달라는 겁니다. 그렇게 하면 1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래야만 제 나이가 돼서 인생을 되돌아 볼 때 ‘참 Lucky했구나’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더불어 유 교수는 ‘모든 구조공학자들이 벤치마킹할 만한 결과물’이라고 말했던 4개의 솔루션이 다 60세 이후에 얻은 성과물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연구의 해답을 얻고 그 분야 대가가 되는 것은 그만큼 끈질긴 인내와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사실을 후배 학자들이 꼭 얘기해주고 싶다는 것이다.

유 교수의 연구실에는 마치 작은 도서관을 연상시킬 만큼 책이 많았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책들은 유 교수가 평생 연구에 활용해 온 귀한 것들이며 동시에 후학을 위해 고려대학교에 기증한 것들이라고 했다.
사비를 들여 미국에서부터 실어 온 책들은 하나같이 모서리가 낡아 있었고, 손때가 묻어있었다. 그리고 그 속에는 평생의 연구를 한국 후학에게 남기고자 하는 노교수의 열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오며, 우연히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에서 한 학기 수업을 마치던 유 교수의 종강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모든 학생이 감사의 기립박수를 쳤다는 이야기였다.

짧은 만남이었지만, 유재홍 교수의 인생에는 기립박수를 치고 싶은 감동이 있었다.

유 교수의 ‘four bench mark work'
1. ‘AASHTO Guide Specifications for Horizontally Curved Steel Girder Highway Bridges 2003 with Design Examples for I-Girder and Box-Girder Bridges,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Inc. Washington, DC.Horizontally Curved Steel Girder Highway Bridges 2003'(구조공학 곡교분야 연구의 Bible로 불린다.) 2. “Soil-Structure Interaction and Imperfect Trench Installations for Deeply Buried Concrete Pipes,“ 3. “Mechanics of Web Panel Postbuckling Behavior in Shear,“ 4. “Stiffness Requirements for Longitudinally Stiffened Box Girder Flanges,“

글, 사진_김희정·자유기고가·khj@kisti.re.kr
  • 좋아요
김형신(hsk04) 2008-01-08

이런분이 계셨군요. 모든것 버리고 귀국해 후학들의 교육을 위해 애쓰시는 박사님께 감사를 드립니다. 저도 60세 이후까지 연구를 계속할 수 있는 열정유지 비법을 깨닳아야 할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