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ECD는 2030년경 IT에 버금가는 바이오경제(Bioeconomy)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바이오산업 세계 시장규모는 연간 9.9%의 속도로 성장하여 2024년 7,75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 미국, EU 등 세계 주요국은 바이오경제의 실현을 미래 어젠다로 설정하고 다양한 재정적·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음
□ 특히 산업바이오 또는 바이오화학으로도 불리는 화이트바이오는 지속가능한 바이오경제 구축에 있어 핵심적인 분야임
- 바이오산업은 크게 레드바이오(의약분야), 그린바이오(농업분야), 화이트바이오(화학분야)로 나눌 수 있음
- 화이트바이오는 소재, 연료 등 전통적인 화석연료 기반 화학제품을 바이오공정을 통해 생산함으로써 지속적인 화석연료 사용에 의한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을 저감하는데 기여
□ 최근 파리 협약(2015년)을 비롯하여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범지구적인 노력이 강화되는 추세이므로 화이트바이오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요구됨
- 선진국에서는 R&D 지원뿐만 아니라, 탄소배출권 거래제, 친환경 바이오제품 인증제도 및 우선구매제도, 세제지원 등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을 펼치고 있음
- 우리나라의 경우「바이오화학 육성전략(2012)」에서 종합적인 화이트바이오 지원정책을 발표하였고, 「제1차 기후변화대응 기본계획(2016)」에서 바이오연료 사용 확대를 위한 의무혼합제도 시행을 제시
□ 최근 기술발전으로 화이트바이오의 사업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나, 우리나라는 단기 수익성이 낮고 정부의 재정적·제도적 지원이 부족하여 민간 참여와 연구개발이 미진한 상태
- 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 등 신기술의 실제 적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전통적 발효기술에 의존했던 화이트바이오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경제성이 향상되는 추세임
- 우리나라는 화이트바이오 관련 정부R&D 투자가 매우 낮으며 주요국에 비해 정책 지원이 한정적이어서, 기업들의 화이트바이오 진출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육성 및 지원 정책이 필요한 시점임
□ 본 issue weekly에서는 국내외 화이트바이오 산업·정책 현황, 정부의 R&D·인프라 투자 현황 및 국내 관련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출처-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그린수소 연구개발 정책 동향
-
[동향보고서] 2020년 주요국 과학기술정책 동향 및 시사점
-
[동향보고서] 2020-기상기술정책정보동향(5월2호)
-
[동향보고서] 노르웨이 DNV-GL, 선박 대체연료 기술백서 발간
-
[코센리포트] 수소 사회 실현을 위한 기술개발 동향 및 향후 전망
-
[동향보고서] Microalgal cultivation with biogas slurry for biofuel production
-
[코센리포트] 자동차용 수소충전소 : 국제적 현황
-
[코센리포트] 다이옥신의 발생원과 처리기술
-
[코센리포트] 폐기물 소각 처리 기술 현황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