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도형 R&D로 국가 혁신역량의 체질 개선을 위한 창의적인 연구개발 성과는 대부분 첨단 연구장비를 통해 분석한 것으로 새로운 분석기술·장비 개발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
- 최근 과기정통부에서 발표한 「연구산업 혁신성장전략」에 연구장비산업이 주요 추진전략의 하나로 포함되어 정부 R&D 생산성 제고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
□ 본 이슈위클리에서는 혁신시스템 관점에서 연구장비산업을 조망해보고 관련 혁신시스템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여러 정책 기능들 중 혁신시스템 내 역량의 개발과 혁신 주체 간 네트워킹 활성화 관점에서 논의를 진행
- 국내 주력산업 등 타 분야 산업정책의 틀로는 연구장비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기 어려우므로 기존 정책의 틀에서 벗어나 최근 혁신정책 분야에서 널리 활용 중인 혁신시스템 이론의 틀에 기반해 국내 성공사례를 분석
- 사례는 분석용품 개발 판매업, 연구장비 개발 판매업, 연구장비 위탁 운영 서비스업, 연구장비 유지보수 및 대여 서비스업, 연구장비 교육·훈련 서비스업 등 세부 분야에 따라 제시
□ 이러한 사례로부터 얻은 시사점을 통해서 국내 연구장비산업 육성 핵심과제로 ①분석과학 관련 기초과학 역량에 대한 투자, ②상용화 개발 역량 제고, ③산·학·연 등 혁신주체 간 네트워킹 촉진 사업 확대, ④분석서비스업의 활성화를 통한 혁신시스템의 연결성 강화 측면의 정책 제언
출처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추천 리포트
-
[동향보고서] [보건산업브리프 Vol.417] Virus Nanoparticles (VNPs) 기술동향 및 전망
-
[동향보고서] 2025 바이오산업 전망 K바이오 핫이슈
-
[동향보고서] [이슈 브리핑] 한국 특허권 존속기간 연장제도 개정
-
[동향보고서] 2024 K바이오 핫이슈
-
[동향보고서] 바이오산업 매출 및 국내시장 현황과 전망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