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로나19 위기 대응 OECD의 분야별 정책 권고 주요내용

분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발행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발행일

2020.06.10

URL


o OECD는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고, 재정?통화에서부터 혁신, 지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책분야에 대한 권고사항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발표

o 기업 및 주요 경제, 지역, 거버넌스, 디지털화 및 혁신 등 4개 분야의 5개 보고서를 분석하고 국내 현황과의 비교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

o (기업 유동성 위기) 위기 시나리오 하에서 코로나19 위기가 기업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부 지원 유무에 따라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 제시

 - 한시적 임금 보조가 기업의 유동성 부족 및 연쇄 도산 위험 감소에 가장 큰 효과

o (지역의 경제 및 고용 위기) 지역 경제 및 고용에 미치는 코로나19 위기의 영향을 분석하고, 지역의 위기 대응 정책 시행에서의 고려사항 권고

 코로나19는 기업, 노동뿐만 아니라 지역개발에서도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으므로 향후 변화를 고려한 지역 차원의 대응 요구

o (위기로부터의 체계적 회복을 위한 정책 접근법) 시스템적 사고를 기반으로 위기를 이해하고 선택적이며 적응적인 방식의 정책 개입 지점 고찰

 경제?사회 시스템의 상호연계성이 복잡하게 변화함에 따라 미래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위험 관리뿐만 아니라 복원력 구축이 필수적

o (리스크 관리와 경제?사회 회복을 위한 규제 환경 조성) 코로나19 대응과 이후 경제?사회 회복을 위한 규제 환경 조성과 관련된 이슈를 분석하고 권고사항 제시

 과학적 전문성, 국제 공조, 시행력, 불필요한 행정 부담 철폐, 신기술 활용, 행태적 동인 인지, 경제활동 변화 고려 등에 기반한 규제 환경 조성 필요

o (코로나19 관련 정책에 대한 과학자문) 효과적이고 신뢰성 높은 과학적 자문 절차 수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과학적 자문 제공 역량 강화, 국제협력 제고, 상호 이해 및 신뢰 구축 등 필요성 제시

o 우리 정부는 코로나19 위기 대응을 위해 다양한 긴급 조치를 시행 중이며, 향후 또 다시 다가올 수 있는 위기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복원력을 고려한 중장기적 관점의 정책 방향 설정의 필요성 제기

※ 참조 : http://www.kiat.or.kr/site/contents/public/index8_read.jsp?menuID=001002002&boardTypeID=310&boardID=75671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