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보건의료,정보/통신
발행기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발행일
2020.07.07
URL
가. 정의
나. 대두배경
2. 디지털 헬스 시장 동향
가. 세계 시장 동향
나. 투자 동향
다. 스타트업 동향
라. 국내 시장 동향
3. DNA 활용 동향
가. Data 분야
나. Network 분야
다. AI 분야
4. 결론 및 시사점
□ 디지털 헬스는 의료비 절감과 의료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
ㅇ 디지털 헬스는 의료와 ICT 산업이 융합된 신산업으로, “의료 질 향상과 의료비 절감을 위해 의료와 ICT가 융합해 개인 건강과 질병을 관리하는 新산업?기술”로 정의
ㅇ 각국 정부의 지원과 규제완화, 의료비 절감 필요성 대두, 의사 수 부족, ICT 기술의 발전 등 촉진요인들로 인해 최근 디지털 헬스가 주목
□ 디지털 헬스는 ICT 융합 시장 중 가장 큰 시장
ㅇ 세계 디지털 헬스 시장 규모는 2018년 1,697억 달러에서 2024년 3,92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ㅇ 업계 특성상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서비스의 비중이 높고, 북미+유럽 등 서구권 시장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
ㅇ 국내 시장은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의료기기 시장 사례로 볼 때 세계 시장의 약 1% 정도라고 가정한다면, 2018년 1.9조 원 수준으로 어림 추산 가능
□ D.N.A. 분야별로 우리나라 디지털 헬스 성과가 점차 확산
ㅇ 우리나라는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보급률 세계 1위를 자랑
- 우리나라는 전국민 의료보험제도 시행과 함께 1990년대부터 의료 정보화를 조기 추진해 현재 세계적인 높은 보급률을 기록
- 국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업체들은 중소 병의원?개원가용 제품을 주로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내수에 집중
ㅇ 디지털 헬스에서 앞으로 성장성이 높은 원격의료와 모바일 헬스
- 최근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혈압 측정 모바일 헬스케어 디바이스+앱 의료기기 허가를 취득
- 국내 중소기업들은 주로 심전도 측정기에 주력하고 있는데, 휴이노, 메쥬, 에이티센스 등이 대표적
ㅇ 국내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글로벌 수준으로 도약하기 용이한 AI 헬스케어
- 루닛, 뷰노, 스탠다임 등 국내 AI 헬스케어 기업들은 기술적으로 세계적 수준에 근접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국내 AI 헬스케어 스타트업들은 주로 영상 진단 분야에 집중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특히 폐질환 진단 비중이 높은 편
□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ㅇ 의료 빅데이터 개방/공유/활용에 정부와 기업이 적극 나서야 하며, 의료 데이터를 이용한 신규 사업 활성화를 위해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한 실증 실험 추진도 필요
ㅇ 원격 모니터링과 원격진료는 별개로 구분하여 도입하기 용이한 부분부터 단계적 추진이 바람직
ㅇ 의학과 ICT 지식을 겸비한 융합형 인재 육성이 필요하며, 독창적 아이디어와 사업모델로 글로벌 AI 헬스케어 스타트업 육성 추진이 필요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2세대 한국형 스마트팜과 정책 현황
-
[동향보고서] 차세대 콘텐츠를 위한 AI 기술 활용 동향 및 전망
-
[동향보고서] 시·공간의 자유: 실감협업
-
[코센리포트] 인공지능과 전쟁
-
[코센리포트] 최신 비대면 인증 기술의 현황 및 보안 고려사항
-
[코센리포트] [해외 연구소]미국 재료과학 분야 연구기관 조사 보고서
-
[코센리포트] [해외 연구소]미국 생명과학 분야 연구기관 조사 보고서
-
[코센리포트] [해외 연구소]미국 기초과학 분야 연구기관 조사 보고서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