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ICT와 자동차 산업의 대표적인 융합 산업인 자율주행차는 자동차의 부가가치를 높여 새로운 신산업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
ㅇ 또한 삶의 질 개선과 교통사고 감소, 환경오염 감소, 교통약자 이동 편의성 제고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효과를 창출
□ 자율주행차 시장은 2025년경 100만 대 규모로 시장 형성 전망
ㅇ 여전히 기술 미성숙, 규제/제도 미비, 비싼 가격 등으로 상용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지만, 2022년부터 드디어 레벨 3 자율주행차가 상용화 되기 시작할 전망
ㅇ 우리나라 자율주행 기술은 비록 미국·중국보다는 뒤처지고 있지만 최근 기술 수준이 향상되고 있으며, 자율주행 준비도 수준도 세계 7위권으로 상승
□ 우리나라 자율주행차 생태계는 완성차 관련 업체, 스타트업, ICT 대기업으로 구성되며, 완성차 업체들이 시장을 주도
ㅇ (데이터 분야) 비록 초기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견고한 산업 가치사슬이 구축되어서 후발 업체들의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며, 기술력이 뛰어난 토종 스타트업들이 시장에 도전하고 있으나, 아직 내세울만한 공급 실적은 없는 편
ㅇ (네트워크 분야) 시장에서는 당분간 DSRC와 C-V2X가 함께 공존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국내 업체들은 주로 내수 시장에서 하드웨어 중심으로 사업화를 추진 중
ㅇ (인공지능 분야) 레벨 3 자율주행차 및 커넥티드카 보급 확산에 발맞춰 자동차용 AI 시장은 성장세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나, 기술력을 인정받는 토종 자율주행 풀스택 스타트업들이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 프로토타입 테스트 단계에 머물러 있는 상황
□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ㅇ 이제부터라도 우리나라 자율주행차 개발 기업은 분명한 비즈니스 모델과 목표 시장을 가지고 기술을 개발해야 하며, 자율주행차 이외 용도로 사업 다각화를 검토하는 것도 필요
ㅇ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정부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것은 관련 법·제도 및 인프라의 정비
ㅇ 5G·V2X 네트워크, 고정밀 지도, 고성능 GPS 구축 등 일반 기업이 하기 어려운 자율주행 인프라를 다른 국가들보다 선제적으로 디지털화하기 위한 과감한 투자가 요구
ㅇ 자율주행차의 안전성을 제도적으로 담보하는 동시에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한 실험실증/시범운행 같은 정부 차원의 지원 노력도 병행하는 것이 필요
CONTENTS ///////////////////////////////////
1. 자율주행차 개요
가. 정의와 기술 개요
나. 자율주행차 유형과 도입 기대효과
2. 자율주행차 산업 동향
가. 시장 동향
나. 투자 동향
다. 기술 동향
라. 정책 동향
3. 국내외 자율주행차 DNA 활용 동향
가. 데이터 분야
나. 네트워크 분야
다. 인공지능 분야
4. 국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ITFIND ICT SPOT ISSUE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암모니아 가스 합성
-
[동향보고서] AI Index 2022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동향보고서] [KISTEP 브리프] 미래 스마트 팩토리 유망 서비스
-
[동향보고서] ICT Brief (2021-05호) - AI 역량 평가, 세계 스마트폰 시장, 전기차, 자율주행차
-
[동향보고서] 미국, 전기차 개발 전성시대
-
[코센리포트] 마이크로 LED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
[코센리포트] 자율주행차의 최신 기술 동향 및 상용화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