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필리핀, 공공서비스법(PSA) 개정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팬데믹으로 침체된 경제 회복을 위해 외국인 자본의 통신, 항공 및 해운 소유 등 공공서비스법을 개정했다. 2022년 3월 21일 자로 서명된 공공서비스법(Public Service Act, 이하 PSA)은 1935년 제정된 법안으로 기존 통신과 항구, 해운, 철도, 지하철 등 기간 산업에서 외국인 지분을 40%로 제한해왔다. 이에 따라 소수의 기업들이 사업을 독점하게 되었으며 필리핀 정부는 이번 개정을 외국인 자본 진출 증가로 사업 간 경쟁이 활성화되길 기대하고 있다.

2023-03-14


日기업, 전기차 배터리 주도권 전쟁에 참전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최근 세계적인 반도체 부족으로 인해 일본 산업계가 큰 어려움에 봉착한 가운데, 최근 전 세계적인 탈탄소 움직임에 따른 차량 전동화 추진이 가속화되면서 전기차(EV)를 비롯한 전동차의 핵심부품이 새로운 '산업의 쌀'로 대두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국가 경제의 기반을 이루는 산업의 핵심 품목를 '산업의 쌀'이라고 일컫는데, 이는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생산의 기반이 되는 필수불가결한 핵심식량인 쌀'과 같이 중요한 자원이라는 의미다. 고도 경제성장기 일본에서는 '산업의 쌀'은 철강을 지칭했으나, 현재는 철강을 대신해 반도체를 지칭하고 있다.반도체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연료(저장 탱크)에 해당하는 배터리나 동력원에 해당하는 모터 등의 핵심 부품이 제2, 제3의 산업의 쌀에 비견될 수 있을 것이다. 반도체 공급난처럼 배터리나 모터도 코로나19 등의 예기치 못한 사태를 계기로 세계적인 공급 위기에 놓일 가능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전동차 부품 중에서 특히 최근 성장이 두드러지는 차량용 리튬 이온전지에 초점을 맞춰 일본 제조사들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2023-03-14


호주 신재생에너지의 트렌드를 한 눈에, Smart Energy EXPO 2022 참관기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에너지/자원

호주 Smart Energy Expo 2022가 5월 4~5일 이틀에 걸쳐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Smart Energy Expo는 시드니에서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현지 신재생에너지 관련 국내외 제조사, 공급사, 유통사들이 모여 새로운 제품들을 확인하고 네트워킹 하는 기회를 가지는 행사로 알려져 있다. 전시장 각 코너 4곳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콘퍼런스를 통해 주정부, 에너지 관련 기관 및 협회, 컨설팅사, 해외 기업들이 다수 참여해 수소를 비롯한 재생에너지 시장 동향,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신재생에너지 저장 및 활용 등에 대해 토론했다.

2023-03-14


사례로 보는 日기업의 스마트팩토리 도입 현황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스마트팩토리란 AI나 IoT(Internet of Things)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장을 말한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설계부터 제조, 유지보수까지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체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실현하고, 고품질·고부가가치 제품을 낮은 비용으로 단기간에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이 높고 효율적이다. 스마트팩토리는 기존의 로봇을 활용한 생산라인의 기계화·자동화와는 달리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한다. IoT 센서 등에서 실시간으로 취득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및 서버에 보내고, 그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현장에 반영하여 제조 라인을 효율화한다.스마트팩토리 시장 규모는 2021년 801억 달러에서 2026년에는 1,349억 달러로 증가하며 연평균 성장률은 11%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3-03-14


태국 지식재산권 관련 주요 법률 및 규정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태국 내 지식재산권은 상표권, 특허, 영업비밀, 지리적 표시, 직접회로 배치설계, 그리고 저작권 관련법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 그 중 태국에서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지식재산권 문제는 상표권, 특허권, 저작권과 관련돼 있다.지식재산권 출원 및 등록은 지식재산국(DIP)을 통해 가능하며, 침해 발생 시 지식재산국, 특별수사국, 세관 등 관련기관을 통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2023-03-14


싱가포르의 디지털 결제 시장 현황 및 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글로벌 통계 사이트인 Statista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디지털 결제 부문의 총 거래액은 2022년에 180억4,800만 미국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간 성장률(CAGR 2022-2026)은 21.53%로 2026년까지 393억7,400만 미국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결제 시장에서 거래액 기준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문은 디지털 커머스(Digital Commerce)이며, 2022년 예상 총 거래액은 113억5,300만 미국달러이다. 이어 모바일 POS 페이먼트(Grabpay, Google Pay, Apple Pay 등)가 60억2,300만 미국달러, 디지털 송금(Wise, SingX 등)이 6억7,200만 미국달러로 뒤를 이었다.

2023-03-14


뜨거운 이커머스 시장, 아마존 캐나다 진출지원 웨비나 참관기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전 세계적으로 이커머스 시장이 활발해진 상황 속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아마존에 진출하고자 하는 수요가 뜨거워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KOTRA 밴쿠버 무역관에서는 “아마존 캐나다 진출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해 아마존 캐나다 진출 시 알아야할 다양한 참고 사항을 소개하는 웨비나를 마련했다

2023-03-14


중국 양회를 통해 보는 세부정책 분석: ④ 강소기업 육성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전정특신(?精特新)'이란 전문화, 정밀화, 특성화, 혁신성을 갖춘 중소기업을 의미하며, 한국의 '강소기업' 정도로 해석하면 된다. 해당 용어는 지난 2021년 1월 23일 중국 재정부와 공업정보화부가 공동으로 <전문·특화·신규 중소기업의 고품질 발전 지원에 관한 고시(?于支持“?精特新”中小企?高?量?展的通知)>를 발표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했고, 중앙정부에서 중소기업 고품질 발전을 적극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중요한 정책적 목표로 부상했다. 2021년은 중국이 14차 5개년 계획 기간 '고품질 발전'을 목표로 두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중국산 브랜드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표현했던 한 해였다. 이는 2015년 처음 제기된 '중국 제조'에서 한층 더 나아가 '고급수준의 중국 브랜드 구축'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려는 발전 목표다. 중국 내 중소기업은 경제주체 중 그 숫자가 가장 많고, 이에 따라 실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크며, 국민경제 발전 촉진과 고용 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022년 열린 중국 양회 업무보고에서는 처음으로 '전정특신(?精特新)'이라는 용어가 사용돼 이슈가 되었다.

2023-03-14


떠오르는 유럽 전기차 시장을 잡아라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건설/교통

스톡홀름 Friends Arena에서 미래 먹거리 산업인 전기차 박람회가 열렸다. 2022년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개최된 해당 박람회는 ‘eCar Expo’라는 브랜드명으로 6년째 개최되는 행사로서, 금년 행사는 역대 개최된 박람회 중 가장 성공적이었다고 자평할만큼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주최측에 따르면, 3일간 13,545명이 박람회장에 방문하였고, 현장 세미나의 온라인 생중계는 3000여명이 시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3-03-14


말레이시아 로봇 청소기 시장 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코로나19 이후 청소 및 위생 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말레이시아에서 로봇 청소기를 비롯한 진공 청소기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집안일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스마트 가전 제품에 대한 구매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로봇 청소기의 경우 청소, 걸레질, 소독 등 멀티 기능을 보유하고 있어 더욱 효율적임에 따라 시장 성장의 뒷받침을 하고 있다.Euromonitor International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의 로봇 청소기 판매 가치는 2017년 2,240만 MYR에서 2021년 2,520만 MYR으로 지난 5년간 12.5% 증가했으며, 금년도에는 1.6% 성장한 2,560만 MYR 규모의 판매가치를 지닐것으로 예상된다.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