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중국 정부 자동차 소비 진작 시동, 그 효과는?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중국 정부가 급격히 침체된 자동차 수요를 살리기 위해 자동차 구매 제한을 완화하고 구매세를 600억 위안 감면해주는 경기 부양책을 꺼냈다. 각 지방정부도 농촌지역 자동차 소비, 신에너지차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강화하면서 자동차 소비 진작에 나섰다.지난 5월 23일 리커창 총리는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경제를 정상궤도로 되돌리고 합리적 구간에서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6개 분야, 33개 경기안정 종합대책을 수립했는데 이 중 ‘자동차 구매제한 완화 및 자동차 구매세 600억 위안 감면’ 등 자동차 소비진작책이 담겨져 있었다. 재정부와 세무총국은 6월 1일부터 연말까지 7개월간 판매가(부가가치세 미포함) 30만 위안 이하, 배기량 2.0ℓ 이하 차량의 구매세를 50%* 감면하기로 했다.주*: 중국의 자동차 구매세율은 10%

2023-03-14



유럽 그린딜에서의 인공지능 역할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 유럽 그린딜(European Green Deal)은 유럽 사회와 경제의 근본적인 녹색 전환을 목표로 하며 사회 전 분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심도 높은 고찰이 선행돼야 함ㅇ 유럽 그린딜은 유럽의 효율적, 경쟁적, 더 지속 가능한 경제를 촉진하고자 하며 환경 부문에서 2050년까지 온실가스 무배출을 목표로 함ㅇ 인공지능(AI)는 이러한 유럽 그린딜의 환경 목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지만, 많은 에너지와 자원 소모를 수반함- 유럽 그린딜이 실현하고자 하는 AI 역량 개발과 관련된 규제와 정책은 이러한 양면적 속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 특히 효율적인 AI 정책 수립과 시행은 사회?기술적 메커니즘에 대한 견고한 이해를 기반으로 추구해야 인공지능 도입의 의도를 충분히 실현할 수 있음

2023-03-14


[호주 22-02호] 2022년 호주 게임산업 현황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호주 게임시장은 게임 유저의 높은 구매력에 힘입어 적은 인구 규모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10위권에 올라 있으며 2021년 전체 시장 규모는 약 23억 1,700만 달러(약 2조 8,962억 원)를 기록. 호주 게임시장은 일찍부터 가정 내에서 콘솔 게임을 기반으로 발달하여 전체 가구 90% 이상이 1대 이상의 콘솔 기기를 보유함. 게임 플레이가 주요 여가 활동으로 자리 잡고 있으므로 여성 게임 이용자 및 40대 이상 인구의 이용자 비중이 매우 높은 편. 2010년대 이후로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모바일 인터넷 인프라가 발전하면서 새로운 게임시장 성장의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여 전체 게임시장의 크기가 더욱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음. 콘솔 게임의 실물 패키지 판매를 위한 오프라인 유통 매장의 영향력이 아직도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여전히 이들 영업망을 중심으로 게임대회 개최, 신규 게임 마케팅, 전국 유통이 이루어짐.

2023-03-14


제24회 알제리 오랑 국제의료기기 전시회 참관기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알제리 최대 규모인 오랑 국제의료기기 전시회(SIMEM)가 2021년에 이어 올해도 오프라인으로 개최되었다. 전체 참가기업의 10% 이상이 한국 기업으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를 접할 수 있었다. 알제리는 아프리카 대륙 2위 규모의 의료시장으로 수요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으나, 최근 자국 내 생산 확대 및 수입규제 정책을 강력하게 실시하고 있어 의료기기 분야에도 장기적으로 영향이 예상된다. 전시회에 참여한 현지 기업과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 기업의 알제리 시장 진출의 팁을 알아보았다.

2023-03-14


요르단 스마트팜 시장 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농림수산식품

요르단은 만성적인 물 부족과 농업 분야 노동력 부족, 불리한 기후조건 등으로 인해 농업 분야 효율성 및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에 요르단 정부는 지속가능한 농업분야 발전을 위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개년 계획을 발표하는 등 농산업 생산성 향상에 나섰다. 요르단 농업 현황과 우리 기업이 진출 가능한 기회에 대해 알아본다.

2023-03-14


3년만에 다시 만난 호주 패키징 전시회, AUSPACK 2022 참관기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남반구 최대 규모이자 호주 대표 패키징 산업 전시회인 AUSPACK 2022가 지난 2022년 5월 17일~20일 멜버른 전시·컨벤션 센터(Melbourne Convention & Exhibition Centre)에서 나흘에 걸쳐 개최되었다. AUSPACK은 1985년부터 호주 시드니와 멜버른에서 격년으로 개최된 유서 깊은 행사로, 올해로 35회를 맞이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식품, 뷰티, 물류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사용되는 각종 패키징 관련 기자재의 전시와 더불어, 주관기관인 호주 패키징 및 가공기계 협회(APPMA, Australian Packaging and Processing Machinery Association)의 주도로 18일~19일 이틀 동안 All-day 컨퍼런스 행사를 진행하는 등 국내외 제조사, 유통사 간 네트워킹의 장으로서 기능하기도 했다. 코로나 확산으로 3년만에 개최된 이번 전시회에는 총 250여 업체가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2023-03-14


코로나19, 고령화 영향으로 성장하는 중국 농업용 드론 시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코로나 유행 이후 중국 내 여러 분야에서 무인화 작업에 대한 수요가 확산되었는데, 농업 분야도 마찬가지로 무인화 수요가 증가하면서 농업용 드론이 부상하였다. 최근 코로나 재확산으로 인해 인력을 직접 투입하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농업용 드론의 사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농작지가 대형화되면서 적은 인력으로도 넓은 지역에 효율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있어 농업용 드론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다.고령화 역시 농업용 드론 도입을 촉진하였다. 중국 사회과학원농촌발전연구소가 발표한 연구 보고에 따르면 2021년 중국 농촌인구 중 60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이며,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은 13.82%로 고령화 사회 기준에 도달했다. 중국 농촌지역의 고령화는 중국 전역과 비교하였을 때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농업용 드론은 이러한 농촌지역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감소 문제의 해결책이 될 것으로 보인다.

2023-03-14


2022년 도미니카공화국 E-Commerce 시장 동향 및 전망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도미니카공화국 E-Commerce 시장은 2021년 기준 약 US 8억6천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2년에는 전년대비 13.7% 성장한 US 9억8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E-Commerce 시장 규모는 금융위기를 벗어난 2008년 이후 2019년까지 연평균 33.6%의 고성장을 이어오다 2020년 들어 Covid19의 영향으로 성장률이 정체되었다. 향후 경기회복과 E-Commerce 확산에 힘입어 2026년까지 연평균 12.7%의 성장을 유지하여 E-Commerce 시장 규모는 2026년에 US 15억8천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