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8

글쓰기
전체 46908
글쓰기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87(2023.09.11)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87(2023.09.11)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 ◈ 포커스   - 보건 부문 내 AI 기반스마트 솔루션 확장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미국 DexCom과 Abbott, 제2형 당뇨환자의 혈당 모니터링 웨어러블 매출 증가   - 영국 정부-Kindeva, 차세대 저탄소 호흡기 제조 위해 공동 투자   - 독일 Beiersdorf, ’23년 상반기 매출 전년대비 12.3% 상승   - Novo Nordisk, 체중 감량 약물 개발업체 Inversago 인수   - 일본의 차세대 의료기반법이 의료기기 산업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헬스케어 제품 시장 동향 분석   - 통합의학, COVID-19 예방 및 관리에 대한 대안적 이점을 제공   - CGT 제조업체들, 일부 공정에서 로봇을 통합해 자동화 시도 ◈ 의료서비스   -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 ’22 ESG 보고서 발표   - 미국 노년층을 위한 의료서비스 혁신   - 일본 의성회 등, 인도네시아 부유층 대상으로 선진 의료관광 서비스 제공   - 중국 국가의료보장국, ’22년 의료보장사업 관련 통계 발표   - 의료관광의 부활로 인도 병원산업 활성화   - 이집트, 튀르키예와 의료관광 협력 강화를 위한 MOU 체결   - 나이지리아, 국민의 기본적인 의료서비스를 강화할 계획   - 글로벌 의료관광, ’28년 535억 1천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FDA, 비후성 심근증 감지하는 ‘Viz HCM’에 드 노모 승인 결정   - 미국 Jefferson Health 등, 행정 업무 부담 완화 위해 가상 간호 프로그램 운용   - 영국, 의료 현대화를 위한 새로운 자금 발표와 함께 AI 안전 정상회담 준비   - 중국 항저우 온라인 병원, 노인 친화적 의료 환경 조성   - 디지털 건강 분야에서 태국의 잠재력   - 호주 스타트업, 독립형 전자 처방 플랫폼을 출시   - 인공지능이 의료서비스를 변화시키는 방법   - 디지털 기술을 통한 정신건강 서비스 향상과 이슈

2023-09-11


[보고서] [이슈 브리핑] 미국 ARPA-H, 2400만 달러 규모 mRNA 프로그램 지원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2023년 8월 23일, 미국 보건첨단연구계획국(ARPA-H)는 Open BAA를 통한 첫번째 지원 과제로 mRNA 플랫폼을 통해 우리 면역체계가 암 및 기타 질병과 더 잘 싸울 수 있도록 면역 체계를 훈련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인 CUREIT(Curing the Uncurable via RNA-Encoded Immunogene Tuning)에 2400만 달러를 지원한다고 밝힘. - 현재 2천 5백만명 이상의 미국인이 자가면역 질환을 갖고 있으며, 2백만명 이상은 암으로 진단받고 있음. 면역 조절 장애는 암 및 자가면역질환 뿐만 아니라 전염병, 이식 거부 및 기타 일반적인 질병의 기본 구성 요소임. - 이러한 병태를 치료하고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현재의 면역 조절 방법은 종종 비용이 많이 들거나 완전히 효과적이지 않음. - 이번에 선정된 기술은 면역 세포가 종양을 표적으로 삼고 공격하도록 유도하도록 하는 것과 같은 유용한 면역 반응을 “켜는데(turn on)” 사용될 수 있음. 종양 이외의 응용 분야는 자가면역 질환, 이식 및 전염병 등으로 확장될 수 있음. - ARPA-H를 이끌고 있는 Renee Wegrzyn 박사는 “CUREIT 프로젝트는 현재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 부족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유전자 조절 및 mRNA 전달과 같은 최신의 발전을 활용하는 다목적 도구상자(toolbox)의 개발을 강조하고 있다“고 말함.  

2023-09-11


[9월 1주] 국방 기술 산업, 새로운 투자처로 급부상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지난해 말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 스타트업 안두릴(Anduril)이 15억 달러의 시리즈E 투자를 마무리하며 전 세계의 관심을 받았음. 당시 가장 주목받았던 점은 방산 및 보안회사가 거액의 투자를 받았다는 점임. 국방 기술분야는 다른 기술 산업과 비교해 많은 투자를 유치하지 못한 분야였음. 크런치베이스(Crunchbase)에 따르면, 미국의 국방 기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53건에 불과했으며, 거래금액은 21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음.이 중 15억 달러가 안두릴에 대한 투자인 것을 생각하면 지금까지 얼마나 투자규모가 작았는지 알 수 있음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09-08



[보고서] [이슈 브리핑] 네이처 인덱스로 본 항암 연구 글로벌 리더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9월 6일, 네이처는 네이처 인덱스를 통해 항암 분야 연구를 주도하는 대학, 기업, 기관 등 200개 기관에 대한 점유율 결과를 공개함. - 2018년~2022년 항암 분야 최고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기관은 하버드대학교였으며,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이 두 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보였음. 이 기간에 하버드대학교는 항암 연구 논문 2605개가 게재되었으며, 중국과학원은 2081개가 게재됨. - 기관별 항암 분야에 대한 연구집중 비율을 보면 역시 전문 암센터들이 높았음. 특히, 미국의 휴스턴 텍사스 대학교 MD 앤더슨 암센터와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 센터 두 곳은 각각 1116건과 963개의 논문을 게재해 다른 기관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음.   □ 지역별로 항암 연구 분야에 가장 많이 지원한 기관 현황 - (북미) 2018년-2022년 사이 131억 달러가 10,280개의 연구에 지원되었음. 가장 많은 지원을 한 기관은 미국 국립암센터(NCI) 였으며, 상위 5개 지원 기관 모두가 미국이었음. - (유럽) EU의 ‘Horizon’ 펀딩 프로그램을 통해 항암 분야 연구를 지원하고 있는 벨기에에 소재한 유럽집행위원회(EC)가 가장 큰 지원기관으로 2018년-2022년 기간 25억 달러를 약 1300개 항암 연구에 지원했음. - (아시아태평양) 일본의 일본과학진흥회(Japan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ience)가 20018년-2022년 사이 8억 6000만 달러를 15,665개 항암 연구에 지원해 가장 많이 지원한 기관임.

2023-09-08


[9월 1주] 중국, 로봇 산업 투자 개발 확대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최근 인공지능과 모션제어 기술이 급성장함에 따라 휴머로이드 로봇이 로봇 기술 분야의 가장 최신 트렌드로 자리잡 고 있음. 지난 8월 16일부터 22일까지 일주일간 베이징에서 개최된 '2023 월드로봇컨퍼런스(WRC)'에서는 총 160개 업체가 참가해 600여 개의 제품을 전시했음. 이번 컨퍼런스에서도 단연 주목 받은 것은 휴머노이드 로봇임. 이번 행사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에는 사람과 비슷한 피부나 정교한 표정을 묘사한 로봇이 다수 소개되었음 .이 중에서도 사람의 이목을 끈 것은 당나라 시인인 리바이(LiBai)와 두보(Dufu)를 본따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으로,당시 사람들의 피부와 헤어스타일, 목소리 등을 거의 완벽하게 구현해냈음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09-08


월간 SW 중심사회 2023년8월호 스크랩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
  • 정보/통신

ISSUE 인공지능의 혁신 특성과 글로벌 경쟁구조 - 미·중 AI 경쟁의 동향과 시사점FOCUS  플랫폼 상품과 비즈니스 모델 재정립 제안 인더스트리 5.0을 이끌어 가는 인공지능 기술챗GPT(생성형 AI)와 실업: 혁신과 고용 간 선행연구를 통한 고찰미국 저작권청의 AI 생성물 등록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2023-09-07


월간 ICT 산업 동향 2023-8호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에너지/자원

Ⅰ. 수출 동향① 개요 ② 반도체 ③ 디스플레이 패널 ④ 휴대폰 ⑤ 컴퓨터 및 주변기기 ⑥ 이차전지 ⑦ SWⅡ. 트레이드 GPS1. UAE-무선통신시스템2. 디스플레이 장치(모니터)3. Ex-BriefingⅢ. 부록1. ICT 생산 통계2. 2023년 7월 ICT 산업 수출입 통계(잠정)3. 주요국 ICT 수출입 통계4. ICT 부분별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구매 금액5. ICT 부문별 수출입 금액 및 물량 지수ㅁ ’23.7월 ICT 수출은 146.1억 달러(△24.3%), 수입은 114.2억 달러(△13.7%) 기록○ (수출)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 IT제품 수요 부진 장기화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4.3% 하락한 146.1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13개월 연속 내림세? 품목별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 및 주변기기, 이차전지, 휴대폰 등 주요 품목이 감소했으며, 국가별로는 일본을 제외한 중국(홍콩 포함), 베트남, 미국, EU 등 주요 교역국 수출이 감소○ (수입) 전년 동월 대비 13.7% 감소한 114.2억 달러를 기록하며 8개월 연속 하락? 휴대폰(7.7억 달러, 28.2%↑), 이차전지(7.7억 달러, 24.9%↑) 등은 증가한 반면 반도체(51.8억 달러, △22.8%), 컴퓨터 및 주변기기(12.0억 달러, △20.2%), 디스플레이(4.4억 달러, △5.2%) 등은 감소

2023-09-07



KEIT 이슈리뷰 2023-8월호 1. 지속가능한 비목질계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소재 개발동향 스크랩

  • KEIT
  • |
  • 재료

 *환경위기 심화에 따라 섬유업계에서도 지속가능한 생분해 소재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너무나 완벽했던 석유계 난분해성 섬유 소재를 대체할 생분해성 섬유 소재를 발굴하는 일은 쉽지 않다. 난분해성 섬유와 같이 연속방사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는 현재 개발된 생분해성 섬유 중에서 그나마 비슷한 강도를 기대할 수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는 셀룰로오스 고유 특성으로 인해 가공 난이도가 높아 오랜 개발 역사에도 불구하고 상용화에 성공한 소재는 한정적이다. 그 결과 세계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산업은 여전히 초기 시장 선점에 성공한 기술 우위 국가들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국내 섬유업계의 수입 의존도는 굉장히 높고, 美ㆍ中 패권 경쟁과 EU의 목재 사용 감축 계획에 따른 공급망 위기는 이미 예견되고 있었다.* 이러한 와중에 '비목질계'라는 키워드가 새롭게 등장했다. 이는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의 주원료인 목재를 지속가능한 비목질계 자원으로 대체하자는 것이다. Canopy와 같은 비영리단체가 이끌어 오던 새로운 흐름은 이제는 오스트리아의 친환경 섬유 기업 Lenzing, 인도의 대표적 섬유·의류업체 Aditya Birla 등 글로벌 업체들이 뛰어들 만큼 개발 수요가 높아졌다. 비목질계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시장이 새롭게 오픈되었지만, 다행히 아직까진 시장 선점에 성공한 업체는 없다.* 본고에서는 비목질계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비목질계 원소재, 펄프화 공정 및 방사 공정에 대한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고를 통해 비목질계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소재 개발에 대한 국내 투자가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2023-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