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8

글쓰기
전체 46908
글쓰기

KEIT 이슈리뷰 2023-8월호 2. 생분해성 플라스틱 탄소순환기술 및 표준인증 동향 스크랩

  • KEIT
  • |
  • 에너지/자원

*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은 선형경제(Linear Economy)의 틀을 넘어 원료부터 수거·회수 후 탄소순환까지 긴밀한 체계가 필수적인 순환경제(Circular Economy)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현재 탄소순환기술에 이르는 전(全)주기적 관점에서의 관리가 요구되는 시점으로, 이와 연관된 해외 선도 국가들의 모범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일회용품 위주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생산에서 벗어나 고기능성, 고기능화, 고물성(高物性)이 필요한 고부가 가치 제품으로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소재의 확보-응용 제품-최종 분해에 이르는 전주기적 관점에서의 저변 확대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지속적인 단점 개선과 가격 경쟁력 극복, 고기능화, 순환경제 이행을 위한 탄소순환시스템의 구축을 통해 진정한 친환경성을 구축해야 한다. * 유럽, 미국 등 선도 국가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탄소순환을 위해 소각이나 매립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탄소순환(물리적·화학적·유기적) 시스템을 도입하여 확대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폐플라스틱 재활용 위주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다만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재활용 불가능한 소재로 구분하고 있어서 관련 산업의 육성이 어려운 상황이다.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은 원료부터 수거·회수 후 탄소순환까지 긴밀한 순환체계가 필수적이다. 또 다양한 탄소순환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 원료와 제품화 및 이를 회수·처리·탄소순환하는 기술 개발과 실증화 사업이 시급히 요구된다.* 최종 소비에서 끝날 것이 아니라 기계적·화학적으로 재활용하여 업사이클링을 통한 탄소순환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는 정책적·기술적·표준화 등 시스템 간의 긴밀한 협조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 기존의 소재 확보를 통한 기술 선점에서 벗어나 리빙랩(Living Lab) 시스템 등에서 획득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시장과 정책적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나아가 기업들의 기술 경쟁력 향상과 대내외 규제를 개혁함으로써 부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2023-09-07


KEIT 이슈리뷰 2023-8월호 3. 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기술 스크랩

  • KEIT
  • |
  • 에너지/자원

*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37%씩 성장하여 2030년에는 3,364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글로벌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은 2025년부터 2040년까지 연평균 33%씩 성장하여 2040년에는 574억 달러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미국은 전기차 배터리 소재의 자국 생산이 제한적이어서 미국 내 '전기차 관련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원자재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 재활용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EU는 배터리 재활용 산업을 탈탄소 에너지 전환과 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강하며, 글로벌 규제 및 표준 선점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재사용은 폐배터리를 기능이 유지되는 상태로 다시 사용하는 것이며, 재활용은 폐배터리에서 유용한 재료를 회수하여 재생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다. 두 가지 접근 방법은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떤 접근 방식을 선택할지는 폐배터리의 상태와 용도, 재사용 가능성, 재료 회수의 효율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재활용은 폐배터리로부터 유용한 원재료(니켈, 리튬, 망간, 코발트 등)를 추출·회수·정제하 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재료의 매장 및 생산은 특정 국가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일부 지역은 정치적·경제적 여러 문제로 인해 생산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원재료 조달 및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보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재활용 기술개발을 통해 대용량 리튬이온전지의 신공정을 확립함으로써 리튬이온전지 제조원가 경쟁력을 높이고, 리튬이온전지 시장 확대에 따른 원료 수급을 재활용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2023-09-07


KEIT 이슈리뷰 2023-8월호 4. 폐자원을 활용한 친환경 마그네슘 제련기술 스크랩

  • KEIT
  • |
  • 에너지/자원

*마그네슘은 구조 재료 중에서 가장 가벼운 금속으로 수송기기의 연비 향상을 통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이 요구되는 탄소 중립 시대에 수요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는 금속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사용되는 마그네슘의 경우 전량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어서 공급망 안정성이 매우 취약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일본발 전략물자 수출 제한, 중국발 요소수 파동, 및 2021년 세계 마그네슘 원소재 공급 대란을 겪으면서 국내 전방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마그네슘 제련 기술의 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 현재 세계 마그네슘의 약 90%는 열환원법인 피전(Pidgeon)법을 이용하여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무수염화마그네슘 원료를 사용한 전해법으로 마그네슘 금속을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피전법은 전해법 대비 환경오염이 큰 제련법으로 중국 내에서도 전해법을 이용한 마그네슘 생산을 시도하고 있다. 다만 상용 전해법 역시 전해 시 독성의 염소가스가 생성되는 등 환경 부하(Environmental Load)가 큰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기존 제련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화마그네슘 원료를 이용한 친환경 마그네슘 제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 친환경 마그네슘 신제련법은 액체금속 음극을 이용한 산화마그네슘의 용융염 전해 및 진공 증류에 의해 초고순도 마그네슘 금속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이는 산화마그네슘 원료 사용, 높은 전류 효율, 불활성 양극 사용 시 산소 발생 등 다양한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마그네슘 신제련법의 친환경성 향상 및 공정 비용 저감을 위해 페로니켈 슬래그(Ferronickel Slag) 및 폐내화물(廢耐火物) 등 국내에서 대량 발생되는 산화마그네슘 함유 폐자원의 원료 사용 기술이 개발 중에 있다. 본고에서는 상용 마그네슘 제련법 및 산화마그네슘 함유 폐자원을 이용한 친환경 마그네슘 신제련법의 현황, 그리고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2023-09-07


써맥 2023: 첨단재료의 가공 및 제조 스크랩

  • 이수빈 이수빈
  • |
  • 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
  • |
  • 재료

Thermec은 재료과학, 그중에서도 특히 구조재료에 초점을 둔 국제 학회로, 올해로 12번째를 맞이하였다. 1988년 일본에서 시작하였으며, 호주, 미국, 스페인, 캐나다, 독일 등을 거쳐 2~3년 마다 꾸준히 개최되고 있다. Thermec 2023은 유럽,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인도 등 다양한 나라에서 1,000명이 넘는 인원이 참가하였고, 한국에서도 많은 참가자들이 방문하였다. 학교, 연구소와 같은 학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체에서도 활발히 참가하였으며, 첨단소재의 가공, 제조에 대한 과학 및 기술 전반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2023-09-07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블록체인 메커니즘 스크랩

  • 정태호 정태호
  • |
  • 노터데임대학교
  • |
  • 정보/통신

블록체인 기술은 시작 이후 크게 발전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가장 혁신적인 발전 중 하나는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으로 PoUW(Proof-of-use-Work)를 도입한 것이다. PoUW는 블록체인과 실제 유틸리티를 결합함으로써 기존의 작업증명(PoW) 및 지분증명(Proof-of-Stake) 시스템에서 탈피하여 작업증명에 쓰이는 에너지를 재사용하는 블록체인의 합의 메커니즘이다. PoUW의 핵심 원리는 실제 계산 작업을 합의 프로세스에 통합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2023-09-07


[보고서] [이슈 브리핑] 일본 아스텔라스, 미국 IRA 법률 소송 철회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9월 6일, 일본의 상위 제약사인 아스텔라스(Astellas)는 성명서를 통해 미국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IRA 소송을 철회한다고 밝힘.    - 아스텔라스의 IRA 소송 철회는 8월 29일 미국 정부가 발표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적용 대상 첫 번째 10개 약가 인하 의약품에서 자사의 전립선암치료제 Xtandi가 제외되고 나서 나온 입장 변화임.   □ 한편, 노바티스는 자사의 심부전치료제 Entresto가 약가 인하 대상에 포함된다고 발표된 3일 후 미국 정부를 상대로 IRA 법률 소송을 제기함.   □ 지금까지 영국 AstraZeneca, 일본 Astellas Pharma, 미국 BMS, 미국 Johnson & Johnson, 미국 Merck, 독일 Boehringer Ingelheim을 비롯해 미국상공회의소, 미국제약협회(PhRMA) 등이 개별적으로 소송을 제기하였으나,  9월 1일 스위스 노바티스가 추가로 소송을 제기하고, 9월 6일 일본 Astellas는 철회하면서 총 8건의 소송이 제기된 상황임.

2023-09-07


국내 인공지능(AI) 도입기업 현황 분석 및 시사점 스크랩

  •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
  • 정보/통신

AI 융합이 강조됨에 따라 기업의 AI 도입·활용 촉진 및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 개발·추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AI 기술을 도입·활용 중인 국내 기업(즉, AI 도입기업)들을 조사·분석한 객관적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AI 기술을 도입·활용하는 주요 산업분야를 제시한 국내·외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주요 AI 활용산업’을 선정하였다. 둘째, 주요 AI 활용산업에 속한 국내 AI 도입기업을 대상으로 AI 기술 도입·활용 현황 및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AI 융합 확산 관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Executive Summary As AI convergence is emphasized, policy development and promotion are being actively pursued to promote the introduction and use of AI by companies and to improve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few research on companies adopting AI. In this study, we first reviewed literature and selected major AI-utilization industries. Second,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Korean companies adopting AI within the selected industries. Finall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iffusion of AI convergence in Korea were derived.

2023-09-06


2023 국제약물방출제어학회 스크랩

올해 CRS 2023은 COVID-19가 팬데믹에서 엔데믹으로 가는 넘어가는 시점에 “The Future of Delivery Science”라는 주제로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진행되었다. 2019년 스페인 발렌시아에서 오프라인 학회가 열린 이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3년간 온라인 학회로 이어오다 올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오프라인 학회를 개최하게 된 것이다. CRS 2023은 7월 24일부터 28일까지 열렸는데, 24일은 committee meeting, 28일은 자유 시간으로 채워져 실질적인 학회 session은 25일부터 27일 총 3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올해 의장으로는 Johns Hopkins University의 Laura Ensign이 선정되었고, MIT의 Daniel G. Anderson, Stanford 대학교의 Joseph M. DeSimone 교수, UNSW Sydney의 Maria Kavallaris 교수, 그리고 University of Toronto의 Alan Aspuru-Guzik 교수를 포함한 총 4명의 Plenary session 연자가 순서대로 발표하였다.

2023-09-05


유럽 대화형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스크랩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은 최근 몇 년간 관련 기술과 컴퓨터 처리용량의 급격한 발달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였다. 이러한 가운데 유럽에서는 대화형 인공지능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지역적 특수성과 다양성을 보존하고, 인간 중심의 가치와 윤리를 강조하는 전통을 고수하면서도 혁신을 이루어내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인공지능과 관련한 여러 제반 기술의 발전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대화형 인공지능은 현재와 같이 사용자의 말이나 글의 의미만을 해석하는 단계에서 발전하여 사용자 개개인이 처한 상황이나 느끼고 있는 감정까지 인식하게 되어 현재보다 훨씬 개별화되고 맞춤화된 서비스의 형태로 진화하게 될 것이다.

2023-09-05


2023-기상기술정책정보동향(9월1호) 스크랩

  • 국립기상과학원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 CONTENTS >1. 기상기술·정책 전략   가. [호주] 향후 40년 사회변화 예측2. 해양   가. [중국] 화산과 산불이 지구온난화를 억제?3. 위험기상/재해   가. [미국] 앙상블 기법으로 장기 폭염 전망4. 관측/장비   가. [영국] 해양연구선박, 대체에너지 사용 시험5. 지진/지진해일/화산   가. [일본] 긴급지진속보 개선   나. [일본] 도쿄 도심, 새로운 강진관측시설 설치6. 융합기상   가. [영국] 빈곤층, 대기질 나쁜곳에 거주   나. [미국] 부유할수록 더 많은 탄소 배출에 관여

2023-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