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08-16
org.kosen.entty.User@b2efa15
배준태(mipali)
- 5
방부제 관련 자료를 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 preservation
- antimicrobia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이성일님의 답변
2004-08-16- 0
> 참고 문헌을 원한다니 올려 드리겠습니다.. 10개정도면 되는지..제가 40개 정도는 가지고 있지만 정리를 잘못하는 성격이라 어디에 있는지 일단 20개정도만 올려 드립니다.. 참고 잘하세요..그리고 추천 도 같이 해주심 정말로 감사한데.^^ 좋은 하루 되세요..[1] D.B. Davis, R. Dulbecco, N.H. Eisen, S.H. Ginberg, Microbiology, 4th ed. (1990) Lippincott company, Philadelphia, PA. [2] G. Reid, J. Burton, Use of Lactobacillus to prevent infection by pathogenic bacteria, Microbes Infect. 4 (2002) 319-324. [3] Federal register. Nisin preparation: affirmation of GRAS status as a direct human food ingredient, Fed. Regist. 54 (1988) 11247-11251. [4] J.W. Hastings, M. Saitoer, K. Jhonson, K.L. Ray, J.C. Vederas, M.E. Stiles, Characterization of leukocin A-UAL 187 and cloning of the bacteriocin gene from Leuconostoc gelidum, J. Bacteriol. 173 (1994) 7491-7500. [5] R.W. Jack, J.R. Tagg, B. Ray, Bacteriocins of Gram-positive bacteria, Microbiol. Rev. 59 (1995) 171-200. [6] S.-H. Lee,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 Kor. J. Life Sci. 13 (2003) 712-717. [7] D.-G. Lee, S.-I. Lee, J.-O. Lee, D.-H. Shim, S.-H. Lee, J.-H. Lee, Antibacterial activity of yeast transformed with leucocin A, Korean J. Biotechnol. Bioeng (in press) [8] C.R.C. Calado, C. Almeida, J.M.S. Cabral, L.P. Fonseca, Development of a Fed-Batch Cultivation Strategy for the Enhanced production and Secretion of Cutinase by a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SU50 Strain, J. Biosci. Bioeng. 96 (2003) 141-148. [9] H.P. Seo, C.H. Chung, S.K. Kim, R.A. Gross, D.L. Kaplan, J.W. Lee, Mass production of pulluan with optimized concentration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by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in a 100-L bioreactor with the inner pressure, J. microbiol. biotechnol. 14 (2004) 237-242 [10] J.-H. Lee, N.-S. Kim, T.-H. Kwon, M.-S. Yang, Effects of osmotic pressure on production of recombinant huma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 plant cell suspension culture. Enzyme Microb.l Tech. 30 (2002) 768-773. [11] S. Sestak, V. Farkas, In situ assays of fungal enzymes in cells permeabilized by osmotic shock. Anal. Biochem. 292 (2001) 34-39. [12] R.A. Battaglino, M. Huergo, A.M.R. Pilosof and G. Bartholoma, Culture requirement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by Aspergillus oryzae in solid state ferment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35 (1991) 292-296. [13] T.R. Klaenhammer, Genetics of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Rev. 12 (1993) 39-85. [14] C.A. Van Reenen, M.L. Chikindas, W.H. Van Zyl, L.M.T. Dicks, Characterization and heterologous expression of a class IIa bacteriocin, plantaricin 423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423, in Saccharomyces cerevisiae, Int. J. Food Microbiol. 81 (2003) 29-40. [15] H. Zhang, K. Shimizy, S. Yao, Metabolic flux analysi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grown on glucose, glycerol or acetate by 13C-labeling experiments, Biochem. Eng. J. 16 (2003) 211-220. [16] D.J. Erasmus, G.K. van der Merwe, H.J.J. van Vuuren, Genome-wide expression analyses: Metabolic adapt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to high sugar stress, FEMS Yeast Res. 3 (2003) 375-399. [17] S.K. Yalçin, Z.Y. Özbas, Effects of different substrates on growth and glycerol production kinetics of a wine yeast strain Saccharomyces cerevisiae Narince 3, Process Biochem. 39 (2004) 1285-1291. [18] C.-I. Cheigh, H.-J. Choi, H. Park, S.-B. Kim, M.-C. Kook, T.-S. Kim, J.-K. Hwang, and Y.-R. Pyun, Influence of growth conditions on the production of a nisin-like bacteriocin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A164 isolated from kimchi, J. Biotech. 95 (2002) 225-235. [19] J. Bordallo, R. Cueva, P. Suärez-Rendueles,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yeast vacuolar aminopeptidase yscI encoding gene (APE1) by carbon sources, FEBS Lett. 364 (1995) 13-16, [20] H. Holzer, Catabolite inactivation in yeast, Trends Biochem. Sci. 1 (1976) 178-181. [21] L. Nilsson, Y. Chen, M.L. Chikindas, H.H. Huss, L. Gram, T.J. Montville, Carbon dioxide and nisin act synergistically on Listeria monocytogenes, Appl.Environ. Microbiol. 66 (2000) 769-774.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2004-08-16- 0
아마도 방부제를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국가가 중국입니다. 식품,재료,환경,생물등에서 거의 사용하다 시피합니다. 중국의 방부제를 망라한 사이트입니다. 주요 논문 및 방부제의 현황 및 분야별 주요방부제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중국말로 되어 있어서 구체적인 필요를 알려주시면 몇개 번역하여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방부제 전문 보고서도 있지만 어던 것을 원하는지 다시 알려주시면 도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한번 보시고 한자를 대략 보시고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http://www.china-anticorrosion.com/ 주요논문 관련 사이트입니다. http://www.china-anticorrosion.com/content/abstract/2000%20coating%20abstract.htm >방부제 관련 자료를 부탁합니다. > >감사합니다. -
답변
이성일님의 답변
2004-08-16- 0
>제가 쓴 박테리오신 관련 논문을 일부 발제 하여 올립니다,..관련 참고 문헌 을 원하신면은 다시 올려 드릴께요... 인간은 오랜전부터 식품의 변질을 막고 저장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 끊임 없이 다양한 방법을 시도 하여 왔으며 식품을 보존 하기 위한 방법도 많이 연구 되어 왔다.가열,동결 및 건조등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외 미생물의 발효에 의한 방법,식품의 산성화나 소금이나 설탕에 의한 절임 방법 및 benzoic acid, sodium benzoate, sorbic acid, propionate,sulfite 및 epoxide등과 같은 화학합성 방부제 첨가등의 방법들은 사용 하였다. 그 밖에도 sulfamethazine, oxytetracycline, tylosin, chlorotetracline과 같은 항생 물질을 사용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모든 식품에 적용 되지 않고 특히 화학 합성 방부제의 사용은 대부분이 자체 독성 때문에 사용량이 제한되고 있고 이용 범위가 좁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기피하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보다 효울적인 대체 방안이 없으므로 인해 지금까지 계속 사용하고 있다. 항생물질의 사용 역시 항생제가 식품에 전이 되어 안정성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화학합성 방부제 및 항생제 등은 장기간 식품에 전이 되어 사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공중 보건상의 위해 문제로 인해 계속 논란이 되어 오고 있다. 실제로 이들 물질들은 그 자체의 독성 때문에 식품 위생법과 식품 공전에 의하여 사용 용도와 사용 한계량이 엄격하게 제한되어 왔다. 박테리오신은 미생물이 생산하는 천연의 항균 물질로, 많은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이 생산하며, 무독성 방부제로 사용이 가능하고, 주로 단백질 또는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는 항균성단백질이다.단백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에 섭취 면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잔류성이 없다는 점에서 식품 등에서의 천연방부제로서의 효용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항생제가 2차대사산물인데 반하여 자신의 유전자로부터 직접 생합성(ribosomal translation)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직접적인 유전자 조작 등에 의한 생물 공학적 응용이 용이하고 그결과 산업현장의 소요에 보다 다양하게 반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섭취되는 즉시 소화기관의 단백질가수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leucocin A는 분자량이 매우 작고,매우 소수성(hydrophobic)이어서 보통 20개 정도의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transmembrane helix를 분자내에 가지고 있으며,따라서 그 살균(bactericidal),혹은 정균(bacteriostatic)기작이 주로 상대 균주의 세포막에 이러한 소수성 분자가 작용하여 그 생리적 기능을 파괴함으로써 이루어짐이 특징이다[10]. 이 박테리오신은 세포막에 작용하여 생리적 기능, 즉 transmemenbrane potential을 파괴함으로써 세포의 에너지 대사와 물질의 이동을 저해하고 그 결과 세포를 치사(cidal), 혹은 정체(static)상태가 되도록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세포막에 박테리오신이 작용한다는 속성은 박테리오신의 산업적 응용에 있어 가외의 장점을 부가하고 있는 바, 박테리오신의 틈입에 의해 구조적으로 이미 취약해진 세포막은 해당 세포 혹은 해당 세포의 포자로 하여금 열처리에 아주 민감하도록 만들어 결국 세포는 박테리오신 자체의 작용 및 외부에서 가래진 열에 의해 치명적인 타격을 받게 된다, 또한 박테리오신은 그 자체가 고온에서의 활성을 유지하고 광범위한 pH에서의 안정성, 무독, 무색, 무취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학 합성 방부제를 대체할 수 있는 천연 방부제로서의 개발을 기대할 수 있다.대표적인 박테리오신인 Nisin은 미국의 FDA에 의해 식품 첨가물로서의 안정성을 인정 받았고,현재 47개국이상에서 식품 첨가제로 이용 되고 있다. 하지만 Nisin조차도 매우 고가 이기 때문에 식품 응용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박테리오신을 상업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균주의 성장 뿐만 아니라 박테리오신 역가에 미치는 요인들을 규정해야 할 것이다. 현재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대분분의 균주는 유산균이므로 박테리오신 이외의 부산물이 제품의 풍미를 변화시키는 악영향을 미친다. 여기에 주목하여 박테이오신의 일종인 leuco A 유전자를 효모에서 발현 시켰다. 효모에서 생산되는 박테리오신은 효모의 성장을 저해하지 하지 않으며, 제품에서의 풍미를 손상시키지 않으며 세포막에서 분비되게 하였으므로 정제를 용이 하게 하였다[8]. 현재 국내에서의 박테리오신에 관한 연구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나 특히 식품에의 응용 등 그 산업적 효용의 방대함을 감안할 때 그 개발의 잠재력은 지대하다고 판단된다. -
답변
배준태님의 답변
2004-08-16- 0
방부제 관련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관련 참고문헌을 가지고 계시면 올려주십시요. 공부하는데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4-09-19- 0
>방부제 관련 자료를 부탁합니다. > >감사합니다. ================================================ 제 목 식품 보존제로서 천연 항균 물질 소개 저 자 안봉전 발행기관 한국식품영양과학회 발행정보 식품산업과 영양, 4권, 2호, P5-16쪽 발행년도 1999년 http://society.kisti.re.kr/~society/image/kfn/1999/S05601106015.tif 제목 : 화장품 관련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저자 : 조춘구 발행기관 : 한국 화장품 학회지 25권, 3호, 87-99쪽 http://society.kisti.re.kr/~society/image/scsk/1999/T00502256396.tif 제 목 천연 물질의 항균 효과 저 자 조춘구 발행기관 한국정보과학회 발행정보 정보과학회논문지., 25권, 3호, 시작 87쪽, 전체 13쪽 제 목 식품용 천연보존제의 정제 및 용도개발 Purification and Development of Its Application of a Natural Preservative for Foods 저 자 전병수 발행기관 ㈜썬트바이오 발행정보 전체 47p.쪽 발행년도 2003년 자료유형 국내연구보고서 (보건복지부) http://pp.emimg.empas.com/kisti/T1/2004/la9200312041807.pdf 제 목 식품보존제의 개발과 현상 저 자 Sakai, S. 발행기관 食品化學新聞社 발행정보 フ-ドケミカル, 8권, 4호, P95-99쪽 발행년도 1992년 제 목 식물유래 천연보존제 저 자 遠藤隆和 발행기관 光琳書院 발행정보 食品工業, 36권, 16호, P23-33쪽 발행년도 1993년 앞에서 질문하셨던 건데...다시 덧 붙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