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효소가 bare electrode에 직접 접촉할 경우 활성도 및 안정성의 변화?

효소를 전극의 표면에 고정시켜서 안정적인 enzmye based electrode를 만들고 electron mediator를 이용하여 전기화학 센서를 제작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부분은 1. 효소를 bare electrode와 직접 접촉 시킬 경우 효소의 안정성/활성도에 변화가 있는가? 2. 효소가 전극과 접촉된 상태에서 전극에 전류를 on/off 상태로 반복적으로 흘려줄 때 효소의 인정성/활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 자료가 있는가? 입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 enzyme
  • bare electrode
  • inactiv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효소를 전극의 표면에 고정시켜서 안정적인 enzmye based electrode를 만들고 electron mediator를 이용하여 전기화학 센서를 제작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습니다. > >제가 궁금한 부분은 >1. 효소를 bare electrode와 직접 접촉 시킬 경우 효소의 안정성/활성도에 변화가 있는가? 보통 membrane을 매개로 하여 enzyme을 붙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붙이는 방식은 계속 upgrade되고 있고요. >2. 효소가 전극과 접촉된 상태에서 전극에 전류를 on/off 상태로 반복적으로 흘려줄 때 효소의 인정성/활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 자료가 있는가? >입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Biosenser로 사용할 때 voltage는 0.7V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더군요. 미세한 voltage의 변화를 detect하는 식으로.. 이렇게 낮은 voltage로는 열이 발생하는 것이 매우 적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실제 enzyme의 stability에 관한 논문을 하나 찾았네요. 이 논문에 의하면 굉장히 stable하는 군요..^^ 상당히 재미있는 분야를 연구하시는 군요..저도 잘 모르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효소를 전극의 표면에 고정시켜서 안정적인 enzmye based electrode를 만들고 electron mediator를 이용하여 전기화학 센서를 제작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습니다. > >제가 궁금한 부분은 >1. 효소를 bare electrode와 직접 접촉 시킬 경우 효소의 안정성/활성도에 변화가 있는가? 보통 membrane을 매개로 하여 enzyme을 붙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붙이는 방식은 계속 upgrade되고 있고요. >2. 효소가 전극과 접촉된 상태에서 전극에 전류를 on/off 상태로 반복적으로 흘려줄 때 효소의 인정성/활성의 변화에 대한 연구 자료가 있는가? >입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Biosenser로 사용할 때 voltage는 0.7V를 많이 사용하는 것 같더군요. 미세한 voltage의 변화를 detect하는 식으로.. 이렇게 낮은 voltage로는 열이 발생하는 것이 매우 적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여집니다. 실제 enzyme의 stability에 관한 논문을 하나 찾았네요. 이 논문에 의하면 굉장히 stable하는 군요..^^ 상당히 재미있는 분야를 연구하시는 군요..저도 잘 모르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