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etastasis에 관한 질문입니다.

졸업논문연구주제로 metastasis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현재 cancer의 metastasis의 연구진척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cancer therapy에서 metastasis를 막는것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도 궁금하네요.. 마지막으로 metastasis에 관한 자료가 있는 좋은 사이트나 훌륭한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두들 행복하세요^^*
  • metastas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Cancer는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genetic disease로 유전자 손상이 축적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olon cancer에서 암진행의 모델이 가장 잘 정립되어 있는데 hyperplasia-> adenoma -> dysplasia -> carcinoma in situ -> invasive carcinoma의 단계를 거치는 데 각 단계별로 특정 유전자의 변이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ancer는 두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unregulated cell growth와 tissue invasion/metastasis 입니다. 침윤없이 Unregulated cell growth만되는 것은 benign neoplasm의 특징입니다. 그러므로 cancer를 malignant neoplasm이라 칭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기본적인 설명만으로도 tissue invasion/metastasis를 억제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이지는 확실해 질 것으로 봅니다. 침윤은 크게 암세포가 기저막(basement membrane)에 부착되는 과정, 기적막을 부분적으로 proteolysis시키는 과정, 이 틈을 통해 세포가 이동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암조직을 이루는 암세포 모두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지 아니면 암이 진행되는 동안 clonal variation을 통해 특정 암세포들만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지는 정확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유전자가 관여해서 metastatic potential을 얻게 되는지 침윤에 필요한 유전자들이 어떻게 발현이 조절되고 어떤 식으로 기능을 담당하는 지 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는 신약에 대한 target identification, validation의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신약개발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는 중요한 일이 되겠지요... 참고로 matrix metalloprotease (MMP) 종류들이 extracellular matrix의 modeling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암전이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많이 연구되었습니다. 또한 이 효소에 대한 억제제를 개발하여 많은 임상시험이 진행되었지만 아직 성공한 경우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MMP 억제제들이 심각한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방향과 좋은 모델시스템을 잘 확립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졸업논문연구주제로 metastasis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 >현재 cancer의 metastasis의 연구진척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cancer therapy에서 metastasis를 막는것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도 궁금하네요.. > >마지막으로 metastasis에 관한 자료가 있는 좋은 사이트나 훌륭한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모두들 행복하세요^^*
    Cancer는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는 genetic disease로 유전자 손상이 축적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olon cancer에서 암진행의 모델이 가장 잘 정립되어 있는데 hyperplasia-> adenoma -> dysplasia -> carcinoma in situ -> invasive carcinoma의 단계를 거치는 데 각 단계별로 특정 유전자의 변이가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Cancer는 두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unregulated cell growth와 tissue invasion/metastasis 입니다. 침윤없이 Unregulated cell growth만되는 것은 benign neoplasm의 특징입니다. 그러므로 cancer를 malignant neoplasm이라 칭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기본적인 설명만으로도 tissue invasion/metastasis를 억제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일이지는 확실해 질 것으로 봅니다. 침윤은 크게 암세포가 기저막(basement membrane)에 부착되는 과정, 기적막을 부분적으로 proteolysis시키는 과정, 이 틈을 통해 세포가 이동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암조직을 이루는 암세포 모두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지 아니면 암이 진행되는 동안 clonal variation을 통해 특정 암세포들만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지는 정확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유전자가 관여해서 metastatic potential을 얻게 되는지 침윤에 필요한 유전자들이 어떻게 발현이 조절되고 어떤 식으로 기능을 담당하는 지 등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는 신약에 대한 target identification, validation의 기초 지식을 제공하고 신약개발의 논리적 근거를 마련하는 중요한 일이 되겠지요... 참고로 matrix metalloprotease (MMP) 종류들이 extracellular matrix의 modeling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암전이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많이 연구되었습니다. 또한 이 효소에 대한 억제제를 개발하여 많은 임상시험이 진행되었지만 아직 성공한 경우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MMP 억제제들이 심각한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구방향과 좋은 모델시스템을 잘 확립하셔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졸업논문연구주제로 metastasis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 >현재 cancer의 metastasis의 연구진척상황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cancer therapy에서 metastasis를 막는것이 실질적으로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도 궁금하네요.. > >마지막으로 metastasis에 관한 자료가 있는 좋은 사이트나 훌륭한 논문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모두들 행복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고은진님의 답변

    http://www.cancer.gov에 들어가서 metastasis로 서치를 하면metastasis의 기본적인 내용이 있는 paper와 연구 방향에 관한 논문들의 list를 찾을 수 있습니다. 관심있는 논문들을 찾아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ccr.cancer.gov/faculties/mwg/ClassicPapers.asp --> Historical Perspective: Classic Papers on Metastasis http://ccr.cancer.gov/faculties/mwg/NewDirections.asp --> New Directions in Metastasis Research 등등
    http://www.cancer.gov에 들어가서 metastasis로 서치를 하면metastasis의 기본적인 내용이 있는 paper와 연구 방향에 관한 논문들의 list를 찾을 수 있습니다. 관심있는 논문들을 찾아 읽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http://ccr.cancer.gov/faculties/mwg/ClassicPapers.asp --> Historical Perspective: Classic Papers on Metastasis http://ccr.cancer.gov/faculties/mwg/NewDirections.asp --> New Directions in Metastasis Research 등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