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iO2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해?

제가 일 관련해서 몇가지 특허를 읽어봤는데요.. 폴리카보네이트에 TiO2를 컴파운딩할 경우에, TiO2의 함량이 20% 정도로 과량이 첨가되면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켜서 성형품의 물성이 확 떨어 진다고 나와있더군요. TiO2가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키는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거죠? 주변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사용하시는 분들도 잘 모르던데요..
  • TiO2
  • 폴리카보네이트
  • 분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TiO2는 빛을 받으면 전자와 전자가 빠져나간 양공이 생깁니다. 전자는 음전하를 띠고 있어서 물질을 환원시키고 반대로 양공은 양전하를 띠게 되어 전자가 부족하므로 산화력을 가집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는 방향족과 C=O 의 이중결합이 있는데 양공이 여기에 있는 전자를 빼앗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결합이 끊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고분자의 사슬은 유지가 되더라도 방향족이나 C=O 이중결합에 의한 고분자의 물성은 저하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첨가량이 20%가 넘으면 분해가 된다는 것은 20%가 넘기 전까지는 전자와 양공이 발생되어도 폴리카보네이트에 영향을 줄 만큼 양이 많지 않지만 20%가 넘으면 많은 양의 전자와 양공이 발생되기때문에 전자와 양공이 재결합되기도 하지만 여분의 전자와 양공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TiO2는 빛을 받으면 전자와 전자가 빠져나간 양공이 생깁니다. 전자는 음전하를 띠고 있어서 물질을 환원시키고 반대로 양공은 양전하를 띠게 되어 전자가 부족하므로 산화력을 가집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는 방향족과 C=O 의 이중결합이 있는데 양공이 여기에 있는 전자를 빼앗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결합이 끊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고분자의 사슬은 유지가 되더라도 방향족이나 C=O 이중결합에 의한 고분자의 물성은 저하가 되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첨가량이 20%가 넘으면 분해가 된다는 것은 20%가 넘기 전까지는 전자와 양공이 발생되어도 폴리카보네이트에 영향을 줄 만큼 양이 많지 않지만 20%가 넘으면 많은 양의 전자와 양공이 발생되기때문에 전자와 양공이 재결합되기도 하지만 여분의 전자와 양공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런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재훈님의 답변

    TiO2는 대표적인 광촉매입니다. 광, 특히 UV영역의 빛을 받으면 자신이 환원되며, 폴리카보네이트를 산화시킵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기계적인 물성이나, 내 가수분해성 은 아주 우수하나 산화/환원 반응에는 그리 강하지 않은 물질입니다.
    TiO2는 대표적인 광촉매입니다. 광, 특히 UV영역의 빛을 받으면 자신이 환원되며, 폴리카보네이트를 산화시킵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경우 기계적인 물성이나, 내 가수분해성 은 아주 우수하나 산화/환원 반응에는 그리 강하지 않은 물질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주웅님의 답변

    ->TiO2가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키는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거죠? TiO2의 다른 메카니즘 자료를 첨부해드립니다. 참고될지는 모르겠지만, 유용하게 활용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연구결과 만드시기 바랍니다.. PS) 첨부파일 코센 자료 - 암호 : www.kosen21.org
    ->TiO2가 폴리카보네이트를 분해시키는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거죠? TiO2의 다른 메카니즘 자료를 첨부해드립니다. 참고될지는 모르겠지만, 유용하게 활용되었으면 합니다. 좋은 연구결과 만드시기 바랍니다.. PS) 첨부파일 코센 자료 - 암호 : www.kosen21.org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