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배양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저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에 대해서 연구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제가 한국미생물 보존센터에서 Gluconacetobacter hansenii균을 분양받아 실험을 하고 있는데요. 논문에 언급되어 있는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습니다. 배지조성으로는 glucose 10g, peptone 7g, yeast extract 10g을 기본으로 하여 acetic acid 1.15ml를 첨가하였습니다. 그리고 pH조절을 위해 3N HCl로 조절하였는데 균주는 1백금이 취해서 배양액 50ml에 첨가하였고 본배양시 배양액을 5%로 하여 접종하였습니다. 교반배양및 정치배양에서 둘다 배양이 안됩니다. 박테리아 셀룰로오스의 생산에 있어서 균주에 문제가 있는지.. 저의 실험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bacterial cellulose
  • acetobacter
  • gluconacetobacter hansenii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배우철님의 답변

    Gluconacetobacter hansenii를 포함해서 Bacterial Cellulose의 생산배지조성으로 적으신 1L에 glucose 10g, peptone 7g, yeast extract 10g을 기본으로 하여 acetic acid 1.15ml는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비율에 차이가 있지만 생육의 기본인 탄소, 질소원이 모두 갖추어져 있고, 균체 생육을 촉진해주는 acetic acid도 적당하게 들어간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니까 잘못자랄 수는 있지만 아예 안자라는 것은 생각할 수 없네요.. 접종양도 별 문제가 없는데요...pH에 대해서는 정확히 적혀있지 않네요.. 발효기에서 자동 조절해주는 것인가요? pH의 영향도 한번 생각해보세요..4-7사이에서는 생육의 차이가 있지만 자라기는 할 것입니다. 다른 cellulose 생산균주로 연구가 많이된 Acetobacter xylinum에서는 1L에 glucose 20g, peptone 5g, yeast extract 5g, Na2HPO4 2.7g, sucinic acid 1.15g이 들어갑니다. 여기서는 Na2HPO4는 P공급원으로 cellulose 생산에, sucinic acid는 acetic acid 처럼 균체 생육을 돕는 역활을 합니다.. pH나 온도 및 배지를 만드실 때 실수를 하신 것이 아닌 것이 확실하다면 균주의 상태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Gluconacetobacter hansenii를 포함해서 Bacterial Cellulose의 생산배지조성으로 적으신 1L에 glucose 10g, peptone 7g, yeast extract 10g을 기본으로 하여 acetic acid 1.15ml는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비율에 차이가 있지만 생육의 기본인 탄소, 질소원이 모두 갖추어져 있고, 균체 생육을 촉진해주는 acetic acid도 적당하게 들어간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니까 잘못자랄 수는 있지만 아예 안자라는 것은 생각할 수 없네요.. 접종양도 별 문제가 없는데요...pH에 대해서는 정확히 적혀있지 않네요.. 발효기에서 자동 조절해주는 것인가요? pH의 영향도 한번 생각해보세요..4-7사이에서는 생육의 차이가 있지만 자라기는 할 것입니다. 다른 cellulose 생산균주로 연구가 많이된 Acetobacter xylinum에서는 1L에 glucose 20g, peptone 5g, yeast extract 5g, Na2HPO4 2.7g, sucinic acid 1.15g이 들어갑니다. 여기서는 Na2HPO4는 P공급원으로 cellulose 생산에, sucinic acid는 acetic acid 처럼 균체 생육을 돕는 역활을 합니다.. pH나 온도 및 배지를 만드실 때 실수를 하신 것이 아닌 것이 확실하다면 균주의 상태에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