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아사히글라스의 제품

아사히글라스 제품 중 반사방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굴절 재질과 저굴절재질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업체들의 횡포로 국산화 하려고 합니다.
  • anti glar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정상훈님의 답변

    아사히글래스의 제품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 책과 첨부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사 방지막·필름의 성막·트러블 대책과 응용 사례 (Technical Information Institute Co., Ltd., 2006, 일본어판, 84,000엔) 제1장 반사 방지막의 설계 1.처음에 2.matrices 계산법 3.설계상의 유의점 4.반사 방지막설계법에 관한 보유  4.1.등가막설계 이론에 이른 배경  4.2.반사 방지막계에의 불균질(경사) 막의 도입  4.3.편광 해석법(VASE)에 따르는 불균질(경사) 막의 해석예  4.4.AR콘테스트(OIC)에서 밝혀진 여러 가지 점 5.끝에 제2장 반사 방지막재료 제1절 반사 방지막재료에 요구되는 특성 1.처음에 2.광학 특성 3.기계 특성 4.상항 이외의 형성 도막에의 요구 특성 5.생산성 6.도공성 7.끝에 제2절 졸-겔·하이브리드 재료 1.졸-겔법 2.졸-겔·하이브리드 기술을 응용한 굴절률 제어   (1) 저굴절 재료   (2) 유기 무기 복합화에 의한 고굴절 재료   (3) 고굴절 산화물막의 저온 형성 3.초저굴절률 단층 반사 방지막   (1) 초저굴절률화의 수법   (2) 에어로 겔의 적용 제3장 반사 방지막의 성막 기술과 오모적화·내찰과상성 향상 기술 제1절 드라이 프로세스에 의한 AR코트 기술의 현상과 응용예 1.처음에 2.반사 방지법 3.광학 박막 제작 방법과 막재료 4.AR코트 기술의 적용예   4.1.CRT용 반사 방지막   4.2.LCD용 반사 방지막   4.3.PDP용 반사 방지막 5.정리 제2절 진공 증착법에 따르는 대찰과상성 향상을 위한 성막 조건·최적 설계 1.진공 증착법   1.1.진공 증착 장치   1.2.전자빔 증착   1.3.저항 가열 증착 2.대찰과상성의 향상   2.1.성막 조건   2.2.성막 재료   2.3.막설계 제3절 스패터링법에 따르는 성막 기술 및 트러블 대책 1.스패터링의 원리 및 장치의 기본 구성 2.각종 스패터링 방식 3.각방식의 이해 득실 4.로르트로르스팟타의 목적과 성막의 특징 5.트러블 대책 6.향후의 과제 제4절 표면파 플라스마와 CVD 응용 기술 1.처음에 2. 표면파 플라스마 장치의 구성요소   2.1.도파관내의 평면파   2.2.슬롯 안테나   2.3.유전체 3.표면파 플라스마의 생성 4.표면파 플라스마의 특성 5.어레이·슬롯 안테나 6.SWP-CVD에 의한 질화막의 형성 7.결말 제5절 Cat-CVD(HW-CVD) 법에 따르는 성막 기술 1.처음에 2.Cat-CVD법의 원리와 특징 3.장치의 개요 4.실리콘 질화막의 특성 5.실리콘 질화막의 응용예 6.정리 제6절 도포형 반사 방지막의 성막 기술과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트러블 대책 1.도포형 반사 방지막의 성막 기술 2.반사 방지막에 이용되는 재료 3.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나노 입자의 거동과 막구조 4.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트러블과 대책 제7절 졸-겔법에 따르는 성막과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트러블 대책 1.졸-겔법에 따르는 성막   1.1.막구성   1.2.성막 프로세스 및 코팅 방법   1.3.스핀 코팅으로의 관리 항목    1.3.1.용액 물성    1.3.2.코팅 환경    1.3.3.코팅 조건 2.오모적도포의 과제와 대책   2.1.결점의 종류   2.2.이물 결점의 발생과 대책   2.3.막후 얼룩짐 결점의 발생과 대책    2.3.1.방사 스지장 결점    2.3.2.코너 부분의 막후 얼룩짐 결점 3.막강도   3.1.졸­겔법에 의해 형성되는 막의 강도   3.2.강도 향상책 제4장 반사 방지막에 있어서의 특성 및 기능 부여 제1절 반사 방지(AR) 필름용의 방오막의 설계 1.방오제의 분자 구조와 접촉각 2.불소계 시란캅링제의 분자 설계 3.방오제의 도포   3.1.막후와 도포 농도   3.2.도포 용매가 도포 특성에게 주는 영향   3.3.도포 속도가 도포 특성에게 주는 영향 4.발수성 발현 메카니즘 5.표면 분석 수법     5.1.FTIR(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5.2.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선광전자 분광)     5.3.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 오 제이 전자 분광) 제2절 대전 방지 기능 1.처음에 2.도전성 고분자의 기재에의 적층 및 복합화 기술 3.PAS의 고분자 바인더와의 복합화   3.1.PAS에 대해   3.2.PAS의 고분자 바인더와의 복합화   3.3.PAS/PEs 복합체의 제특   3.4.PAS/PEs 복합체의 도전 기구 4.도전성 고분자의 반사 방지막의 대전 방지제에의 응용의 가능성에 대해 제3절 도전성 반사 방지막 1.반사 방지막의 설계와 반사 방지막구조 2.디스플레이 반사 방지막에 요구되는 특성 3.반사 방지막의 구성   3.1.하드 코트층   3.2.고굴절률층   3.3.저굴절률층 4.AR 및 LR막의 막특성 제4절 초저반사 특성을 가지는 반사 방지막 1.처음에 2.초저반사 방지막의 설계   2.1.좁은 휴대지역 2층 설계   2.2.광대역 4층 설계   2.3.광대역 8층 설계 3.초저반사 방지막의 제조 방법 4.초저반사 방지막의 평가방법 5.초저반사 방지막의 측정예   5.1.좁은 휴대지역 2층 설계   5.2.광대역 4층 설계   5.3.광대역 8층 설계 6.초저반사 방지막의 신뢰성 7.정리 제5절 레이저 손상성·내환경성 1.레이저 손상성   1.1.레이저 손상 기구    (1) 흡수에 의한 손상    (2) 전자 눈사태 기구에 의한 손상    (3) 다광자 흡수에 의한 손상    (4) 기판 표면이 영향을 주는 손상    (5) 내부 정재파 전계에 기인하는 손상    (6) 내부 응력과 부착력에 기인하는 손상   1.2.단층막   1.3.반사 방지막 2.내환경 특성 3.레이저 내력의 사용 분위기 의존성(경시 변화) 제5장 반사 방지막의 측정·평가 및 막의 제어 제1절 반사 방지막의 막질·신뢰성 평가 1.처음에 2. 반사 방지막의 막질평가   2.1.막질의 평가 항목   2.2.막의 형태 평가   2.3.막의 결정 구조 평가   2.4.막의 조성 평가   2.5.막의 불순물 평가   2.6.막으로부터의 원소 이탈   2.7.막의 결합 상태 평가 3.반사 방지막의 신뢰성 평가   3.1.내습성 평가   3.2.내열성 평가 제2절 막후와 막질의 제어 1.막후의 제어   1.1.수정 막후 제어   1.2.광학 막후 제어 2.막질의 제어   2.1.광학용 유리 기판   2.2.수지 기판   2.3.결정 기판 및 특수 재질 기판 제6장 각 분야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의 응용 사례 제1절 디스플레이용 오모적반사 방지 필름 1.반사 방지 필름 「RealookR(리아룩크)」   1.1.반사 방지층의 설계   1.2.광학 성능   1.3.물리 성능    1.3.1.표면 강도    1.3.2.표면 저항    1.3.3.방오성   1.4.신뢰성   1.5.내약품성 2.복합화 3.개발품 4.AR가공제품 제2절 PDP용 반사 방지 필름의 성막과 요구 특성 1.처음에 2.PDP의 구조와 광학 기능 필터 3.반사 방지 기능 4.유기 박막 재료 5.AR필름「아크 톱」 6.아크 톱의 표면 특성 7.화질 향상 기능 8.향후의 전개 제3절 LCD용 플라스틱 기판에의 반사 방지막의 응용 1.LCD용 플라스틱 기판의 상세 2.광학막성막 조건 3.디지털 스팩터 프로세스 상세 4.터보 디지털 스팩터의 특징 5.광학막코팅례 제4절 터치 패널의 광학 특성 1.투명 터치 패널의 개요   1.1.투명 터치 패널의 방식   1.2.저항막식 투명 터치 패널의 구조   1.3.저항막터치 패널의 동작 원리 2.저항막식 터치 패널의 광학 특성에 대해   2.1.광선 투과율   2.2.헤이즈   2.3.광선 반사율   2.4.색상   2.5.글로스 3.반사 방지막을 이용한 시인성 향상   3.1.편광판을 이용한 반사 방지   3.2.스모크를 이용한 반사 방지   3.3.저반사 재료 설계에 대해 제5절 광픽업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의 생각 1.머릿말 2.픽업 사양 3.반사 방지막의 효과 4.파장 의존성, 입사각도 의존성  4.1.파장 의존성  4.2.광학적으로 접합되고 있는 부품으로의 생각  4.3.입사각 의존성 5.그레이 팅 6.수지 재료의 반사 방지막처리 7.수광 소자 표면에의 반사 방지막처리 8.광학 부품으로서의 디스크 제6절 카메라 렌즈에의 반사 방지 코팅 1.역사 2.카메라 렌즈 반사 방지 코팅의 역할 3.반사 방지 코팅의 종류와 역할   3.1.단층 코팅   3.2.멀티 코팅 4.코팅 재료 5.코팅 수법 6.렌즈·코팅 반사율의 평가 제7절 광석판 인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기술의 동향 1.처음에 2.광석판 인쇄 기술 1)의 진척과 반사 방지막기술개발의 필요성 3.석판 인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4.레지스터의 박막화와 다층막프로세스 5.액침노광 장치 6)과 레지스터 보호막 6.향후의 박막 기술개발 제8절 광통신 용도 1.광통신으로 사용하는 빛의 특징과 반사 방지막의 사양 2.일반적인 광통신용 모듈과 반사 방지막 3.반사 방지막의 설계
    아사히글래스의 제품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 책과 첨부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반사 방지막·필름의 성막·트러블 대책과 응용 사례 (Technical Information Institute Co., Ltd., 2006, 일본어판, 84,000엔) 제1장 반사 방지막의 설계 1.처음에 2.matrices 계산법 3.설계상의 유의점 4.반사 방지막설계법에 관한 보유  4.1.등가막설계 이론에 이른 배경  4.2.반사 방지막계에의 불균질(경사) 막의 도입  4.3.편광 해석법(VASE)에 따르는 불균질(경사) 막의 해석예  4.4.AR콘테스트(OIC)에서 밝혀진 여러 가지 점 5.끝에 제2장 반사 방지막재료 제1절 반사 방지막재료에 요구되는 특성 1.처음에 2.광학 특성 3.기계 특성 4.상항 이외의 형성 도막에의 요구 특성 5.생산성 6.도공성 7.끝에 제2절 졸-겔·하이브리드 재료 1.졸-겔법 2.졸-겔·하이브리드 기술을 응용한 굴절률 제어   (1) 저굴절 재료   (2) 유기 무기 복합화에 의한 고굴절 재료   (3) 고굴절 산화물막의 저온 형성 3.초저굴절률 단층 반사 방지막   (1) 초저굴절률화의 수법   (2) 에어로 겔의 적용 제3장 반사 방지막의 성막 기술과 오모적화·내찰과상성 향상 기술 제1절 드라이 프로세스에 의한 AR코트 기술의 현상과 응용예 1.처음에 2.반사 방지법 3.광학 박막 제작 방법과 막재료 4.AR코트 기술의 적용예   4.1.CRT용 반사 방지막   4.2.LCD용 반사 방지막   4.3.PDP용 반사 방지막 5.정리 제2절 진공 증착법에 따르는 대찰과상성 향상을 위한 성막 조건·최적 설계 1.진공 증착법   1.1.진공 증착 장치   1.2.전자빔 증착   1.3.저항 가열 증착 2.대찰과상성의 향상   2.1.성막 조건   2.2.성막 재료   2.3.막설계 제3절 스패터링법에 따르는 성막 기술 및 트러블 대책 1.스패터링의 원리 및 장치의 기본 구성 2.각종 스패터링 방식 3.각방식의 이해 득실 4.로르트로르스팟타의 목적과 성막의 특징 5.트러블 대책 6.향후의 과제 제4절 표면파 플라스마와 CVD 응용 기술 1.처음에 2. 표면파 플라스마 장치의 구성요소   2.1.도파관내의 평면파   2.2.슬롯 안테나   2.3.유전체 3.표면파 플라스마의 생성 4.표면파 플라스마의 특성 5.어레이·슬롯 안테나 6.SWP-CVD에 의한 질화막의 형성 7.결말 제5절 Cat-CVD(HW-CVD) 법에 따르는 성막 기술 1.처음에 2.Cat-CVD법의 원리와 특징 3.장치의 개요 4.실리콘 질화막의 특성 5.실리콘 질화막의 응용예 6.정리 제6절 도포형 반사 방지막의 성막 기술과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트러블 대책 1.도포형 반사 방지막의 성막 기술 2.반사 방지막에 이용되는 재료 3.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나노 입자의 거동과 막구조 4.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트러블과 대책 제7절 졸-겔법에 따르는 성막과 성막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트러블 대책 1.졸-겔법에 따르는 성막   1.1.막구성   1.2.성막 프로세스 및 코팅 방법   1.3.스핀 코팅으로의 관리 항목    1.3.1.용액 물성    1.3.2.코팅 환경    1.3.3.코팅 조건 2.오모적도포의 과제와 대책   2.1.결점의 종류   2.2.이물 결점의 발생과 대책   2.3.막후 얼룩짐 결점의 발생과 대책    2.3.1.방사 스지장 결점    2.3.2.코너 부분의 막후 얼룩짐 결점 3.막강도   3.1.졸­겔법에 의해 형성되는 막의 강도   3.2.강도 향상책 제4장 반사 방지막에 있어서의 특성 및 기능 부여 제1절 반사 방지(AR) 필름용의 방오막의 설계 1.방오제의 분자 구조와 접촉각 2.불소계 시란캅링제의 분자 설계 3.방오제의 도포   3.1.막후와 도포 농도   3.2.도포 용매가 도포 특성에게 주는 영향   3.3.도포 속도가 도포 특성에게 주는 영향 4.발수성 발현 메카니즘 5.표면 분석 수법     5.1.FTIR(푸리에 변환 적외 분광)     5.2.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선광전자 분광)     5.3.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 오 제이 전자 분광) 제2절 대전 방지 기능 1.처음에 2.도전성 고분자의 기재에의 적층 및 복합화 기술 3.PAS의 고분자 바인더와의 복합화   3.1.PAS에 대해   3.2.PAS의 고분자 바인더와의 복합화   3.3.PAS/PEs 복합체의 제특   3.4.PAS/PEs 복합체의 도전 기구 4.도전성 고분자의 반사 방지막의 대전 방지제에의 응용의 가능성에 대해 제3절 도전성 반사 방지막 1.반사 방지막의 설계와 반사 방지막구조 2.디스플레이 반사 방지막에 요구되는 특성 3.반사 방지막의 구성   3.1.하드 코트층   3.2.고굴절률층   3.3.저굴절률층 4.AR 및 LR막의 막특성 제4절 초저반사 특성을 가지는 반사 방지막 1.처음에 2.초저반사 방지막의 설계   2.1.좁은 휴대지역 2층 설계   2.2.광대역 4층 설계   2.3.광대역 8층 설계 3.초저반사 방지막의 제조 방법 4.초저반사 방지막의 평가방법 5.초저반사 방지막의 측정예   5.1.좁은 휴대지역 2층 설계   5.2.광대역 4층 설계   5.3.광대역 8층 설계 6.초저반사 방지막의 신뢰성 7.정리 제5절 레이저 손상성·내환경성 1.레이저 손상성   1.1.레이저 손상 기구    (1) 흡수에 의한 손상    (2) 전자 눈사태 기구에 의한 손상    (3) 다광자 흡수에 의한 손상    (4) 기판 표면이 영향을 주는 손상    (5) 내부 정재파 전계에 기인하는 손상    (6) 내부 응력과 부착력에 기인하는 손상   1.2.단층막   1.3.반사 방지막 2.내환경 특성 3.레이저 내력의 사용 분위기 의존성(경시 변화) 제5장 반사 방지막의 측정·평가 및 막의 제어 제1절 반사 방지막의 막질·신뢰성 평가 1.처음에 2. 반사 방지막의 막질평가   2.1.막질의 평가 항목   2.2.막의 형태 평가   2.3.막의 결정 구조 평가   2.4.막의 조성 평가   2.5.막의 불순물 평가   2.6.막으로부터의 원소 이탈   2.7.막의 결합 상태 평가 3.반사 방지막의 신뢰성 평가   3.1.내습성 평가   3.2.내열성 평가 제2절 막후와 막질의 제어 1.막후의 제어   1.1.수정 막후 제어   1.2.광학 막후 제어 2.막질의 제어   2.1.광학용 유리 기판   2.2.수지 기판   2.3.결정 기판 및 특수 재질 기판 제6장 각 분야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의 응용 사례 제1절 디스플레이용 오모적반사 방지 필름 1.반사 방지 필름 「RealookR(리아룩크)」   1.1.반사 방지층의 설계   1.2.광학 성능   1.3.물리 성능    1.3.1.표면 강도    1.3.2.표면 저항    1.3.3.방오성   1.4.신뢰성   1.5.내약품성 2.복합화 3.개발품 4.AR가공제품 제2절 PDP용 반사 방지 필름의 성막과 요구 특성 1.처음에 2.PDP의 구조와 광학 기능 필터 3.반사 방지 기능 4.유기 박막 재료 5.AR필름「아크 톱」 6.아크 톱의 표면 특성 7.화질 향상 기능 8.향후의 전개 제3절 LCD용 플라스틱 기판에의 반사 방지막의 응용 1.LCD용 플라스틱 기판의 상세 2.광학막성막 조건 3.디지털 스팩터 프로세스 상세 4.터보 디지털 스팩터의 특징 5.광학막코팅례 제4절 터치 패널의 광학 특성 1.투명 터치 패널의 개요   1.1.투명 터치 패널의 방식   1.2.저항막식 투명 터치 패널의 구조   1.3.저항막터치 패널의 동작 원리 2.저항막식 터치 패널의 광학 특성에 대해   2.1.광선 투과율   2.2.헤이즈   2.3.광선 반사율   2.4.색상   2.5.글로스 3.반사 방지막을 이용한 시인성 향상   3.1.편광판을 이용한 반사 방지   3.2.스모크를 이용한 반사 방지   3.3.저반사 재료 설계에 대해 제5절 광픽업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의 생각 1.머릿말 2.픽업 사양 3.반사 방지막의 효과 4.파장 의존성, 입사각도 의존성  4.1.파장 의존성  4.2.광학적으로 접합되고 있는 부품으로의 생각  4.3.입사각 의존성 5.그레이 팅 6.수지 재료의 반사 방지막처리 7.수광 소자 표면에의 반사 방지막처리 8.광학 부품으로서의 디스크 제6절 카메라 렌즈에의 반사 방지 코팅 1.역사 2.카메라 렌즈 반사 방지 코팅의 역할 3.반사 방지 코팅의 종류와 역할   3.1.단층 코팅   3.2.멀티 코팅 4.코팅 재료 5.코팅 수법 6.렌즈·코팅 반사율의 평가 제7절 광석판 인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기술의 동향 1.처음에 2.광석판 인쇄 기술 1)의 진척과 반사 방지막기술개발의 필요성 3.석판 인쇄에 있어서의 반사 방지막 4.레지스터의 박막화와 다층막프로세스 5.액침노광 장치 6)과 레지스터 보호막 6.향후의 박막 기술개발 제8절 광통신 용도 1.광통신으로 사용하는 빛의 특징과 반사 방지막의 사양 2.일반적인 광통신용 모듈과 반사 방지막 3.반사 방지막의 설계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정호님의 답변

    >아사히글라스 제품 중 반사방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굴절 재질과 저굴절재질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업체들의 횡포로 국산화 하려고 합니다. > 굳이 아사히글라스 제품의 것을 모방할 필요는 없습니다. 글라스 위에 사용 가능한 물질은 많습니다. 아마도 산화물/질화물 계통의 어떤 것을 쓰겠지요. 여기에 굴절율 조절이 가능한 원소의 함량을 조절하여 굴절률을 제어하면 됩니다. 꼭 아사히글라스 제품과 같은 구조로 하고 싶다면, 샘플을 분석해 보시기 바랍니다. RBS나 SIMS 등을 이용하면 1% 이내 정밀도로 원소의 함량을 알 수 있습니다. Depth profile이 가능하니 고굴절 층 저 굴절층에 대한 정보를 다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반사방지 필름이 poly crystal형태라면 간단하게 박막 XRD를 찍어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제 생각에는 정확한 굴절률 제어를 위해 비정질 막으로 판단은 되지만요..)
    >아사히글라스 제품 중 반사방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굴절 재질과 저굴절재질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업체들의 횡포로 국산화 하려고 합니다. > 굳이 아사히글라스 제품의 것을 모방할 필요는 없습니다. 글라스 위에 사용 가능한 물질은 많습니다. 아마도 산화물/질화물 계통의 어떤 것을 쓰겠지요. 여기에 굴절율 조절이 가능한 원소의 함량을 조절하여 굴절률을 제어하면 됩니다. 꼭 아사히글라스 제품과 같은 구조로 하고 싶다면, 샘플을 분석해 보시기 바랍니다. RBS나 SIMS 등을 이용하면 1% 이내 정밀도로 원소의 함량을 알 수 있습니다. Depth profile이 가능하니 고굴절 층 저 굴절층에 대한 정보를 다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 반사방지 필름이 poly crystal형태라면 간단하게 박막 XRD를 찍어도 알 수 있지 않을까요?? (제 생각에는 정확한 굴절률 제어를 위해 비정질 막으로 판단은 되지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상훈님의 답변

    >아사히글라스 제품 중 반사방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굴절 재질과 저굴절재질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업체들의 횡포로 국산화 하려고 합니다. > ST사에서 용도에 맞는 제품을 만들고 있는지 모르겠는데 필요하시면 한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www.southwall.com
    >아사히글라스 제품 중 반사방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굴절 재질과 저굴절재질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업체들의 횡포로 국산화 하려고 합니다. > ST사에서 용도에 맞는 제품을 만들고 있는지 모르겠는데 필요하시면 한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www.southwall.com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아사히글라스 제품 중 반사방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굴절 재질과 저굴절재질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업체들의 횡포로 국산화 하려고 합니다. 아사히글라스 필름필터의 구성요소는... 고굴절물질에는 TiN(질화티탄), 저굴절물질에 SiO2(산화규소)를 스퍼터링법으로 코팅합니다. >
    >아사히글라스 제품 중 반사방지 필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굴절 재질과 저굴절재질을 >어떤 재질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일본업체들의 횡포로 국산화 하려고 합니다. 아사히글라스 필름필터의 구성요소는... 고굴절물질에는 TiN(질화티탄), 저굴절물질에 SiO2(산화규소)를 스퍼터링법으로 코팅합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