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05
org.kosen.entty.User@170f337d
박갑수(ph3427)
- 1
암세포와 정상세포간의 생리학적인 차이를 이용한 drug 타겟팅을 위한 방법으로 온도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암세포와 정상세포간 온도차이에 대한 정보 바랍니다...
thermally sensitive micelle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체온이 LCST(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보다 낮으면 micelle이 spherical shape를 형성하다가 체온이 LCST보다 높으면 micelle의 구형 모양이 붕괴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관련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thermal
- target
- cancer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변해미님의 답변
2006-09-08- 0
첨부파일
- 1). 0908040743Thermally sensitive micelles.pdf (0 KB)
- 2). 0908040743Incorporation and in vitro release of doxorubicin in thermally sensitive micelles.pdf (0 KB)
- 3). 0908040743Cholesterol grafted functional amphiphilic.pdf (0 KB)
- 4). 0908040743Incorporation and in vitro release of doxorubicin in thermally sensitive micelles.pdf (0 KB)
-
1). 0908040743Thermally sensitive micelles.pdf
(0 KB)
-
2). 0908040743Incorporation and in vitro release of doxorubicin in thermally sensitive micelles.pdf
(0 KB)
-
3). 0908040743Cholesterol grafted functional amphiphilic.pdf
(0 KB)
- 4). 0908040743Incorporation and in vitro release of doxorubicin in thermally sensitive micelles.pdf (0 KB)
>암세포와 정상세포간의 생리학적인 차이를 이용한 drug 타겟팅을 위한 방법으로 온도를 이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 >암세포와 정상세포간 온도차이에 대한 정보 바랍니다... > >thermally sensitive micelle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체온이 LCST(lower critical solution temperature)보다 낮으면 micelle이 spherical shape를 형성하다가 체온이 LCST보다 높으면 micelle의 구형 모양이 붕괴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관련한 정보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 첫번째 첨부한 논문이 가장 관련있는 정보를 다룬 게 아닌가 싶습니다. 이 논문에 실린 참고문헌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두번째 첨부한 논문에서는 DOX가 anticancer drug의 모델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다른 관련 논문들도 참고하여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