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2
org.kosen.entty.User@4006d9c0
엄재범(ald45)
- 1
제올라이트의 합성을 배우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1. 제올라이트를 (개인적으로) 공부하다보니 A형, P형, X형 등.. 많은 형태가 있는데 이런 형태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2. 그리고 이러한 제올라이트에 6개의 링이 붙어 있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는데 6개의 링이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다음의 논문을 읽어 보았는데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습니다.
http://kosen.kr/pls/kosendev/menu.report_index?vc_url=/pls/kosendev/kosen_reports_board.main?n_board_seq=36
ㅠㅠ.. 무기화학실험 과목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화학을 부전공하고 있는 물리학과 학생인데 화학과 대학원생분들이나 교수님과 친분이 없어서 이곳에 도움을 청합니다.관심 감사합니다. (__)
- zeolit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태환님의 답변
2006-11-14- 0
>제올라이트의 합성을 배우고 있는 학부생입니다. > >1. 제올라이트를 (개인적으로) 공부하다보니 A형, P형, X형 등.. 많은 형태가 있는데 이런 형태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2. 그리고 이러한 제올라이트에 6개의 링이 붙어 있다는 식으로 말하고 있는데 6개의 링이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 > >다음의 논문을 읽어 보았는데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습니다. >http://www.kosen21.org/pls/kosendev/menu.report_index?vc_url=/pls/kosendev/kosen_reports_board.main?n_board_seq=36 > >ㅠㅠ.. 무기화학실험 과목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화학을 부전공하고 있는 물리학과 학생인데 화학과 대학원생분들이나 교수님과 친분이 없어서 이곳에 도움을 청합니다.관심 감사합니다. (__) 에너지기술연구원의 김 태환 입니다. 제올라이트 보고서의 일부분을 아래 file1에 첨부시켰습니다. 사연이 길어 글로 답하기는 힘들고, 보고서의 일부분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제올라이트는 SiO4와 AlO4 사면체들이 산소를 공유하면서 3차원적으로 무한히 연결된 결정성 구조이며, 무정형 실리카와는 구별됩니다. 형태의 기준은 처음개발한 과학자가 명명한 것입니다만 나름대로 규칙이 있습니다. (예: A형과 X형의 차이) 6개의 링이란 예기는; Single 6-ring(S6R)를 뜻하는 것으로 보고서 그림 처럼 각각의 꼭지점에는 Al과 Si가 번갈아 가며 위치하고, 두 꼭지점을 연결하는 선은 산소원자를 뜻합니다. 그래서 A형 제올라이트는 겹사각형고리(double 4-ring:D4R) 과 Sodalite unit(육각형과 사각형이 축구공 처럼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제올라이트 A형은 8개의 Sodalite unit를 정사면체의 D4R이 연결되어 이루는 형태입니다. 전문 서적을 찾아 숙지하시고 문의하시는 방법이 가장 이해를 빠르게 할것입니다. 좋은 성과가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