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ACS 실험 관련 control에 관해

FACS 실험 셋팅중입니다. animal cell에 permeabilization 시킨 후 1st Ab, 2nd Ab 를 붙여 FACS로 발현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control을 잡을때 2nd Ab만 사용했는데 일부 문헌이나 실험자들은 isotype Ab를 사용하더라구요 형광이 붙어있는 Ab를 사용할때 isotype Ab를 사용하고 1st, 2nd Ab 따로 붙일때는 2nd Ab로 control을 사용하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잘못된 점이 있으면 알려주십시요. 그리고 control peak이 10^1에 해당되게 조절해준다는데 왜 그런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FACS
  • isotype
  • contro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FACS 실험 셋팅중입니다. > >animal cell에 permeabilization 시킨 후 1st Ab, 2nd Ab 를 붙여 >FACS로 발현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 >저는 일반적으로 control을 잡을때 2nd Ab만 사용했는데 >일부 문헌이나 실험자들은 isotype Ab를 사용하더라구요 > >형광이 붙어있는 Ab를 사용할때 isotype Ab를 사용하고 >1st, 2nd Ab 따로 붙일때는 2nd Ab로 control을 사용하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잘못된 점이 있으면 알려주십시요. > >그리고 control peak이 10^1에 해당되게 조절해준다는데 >왜 그런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sotype Ab가 non-specific binding을 확인하려는 목적이므로, 2nd Ab를 사용해 주면 이를 확인 할 수 있기때문에 굳이 isotype Ab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피크를 10^1로 하라는 것은 이렇게 하였을 경우 10^0과 10^2 사이에 피크의 양끝이 오게되므로 해서 x축에 피크가 붙어 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분리되는 피크(파지티브)를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분리만 확실하게 되어졌다면 대조구(control)이 오른쪽으로 shift하였어도 무관합니다.. 단지 조건을 잡을때 모든이들이 당연히 네가티브를 왼쪽끝 (10^1 정도에 피크가 오게)으로 정렬을 하는 것은 맞습니다. 특히 한번 한 세팅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여야 합니다. 좋은 실험되세요..
    >FACS 실험 셋팅중입니다. > >animal cell에 permeabilization 시킨 후 1st Ab, 2nd Ab 를 붙여 >FACS로 발현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 >저는 일반적으로 control을 잡을때 2nd Ab만 사용했는데 >일부 문헌이나 실험자들은 isotype Ab를 사용하더라구요 > >형광이 붙어있는 Ab를 사용할때 isotype Ab를 사용하고 >1st, 2nd Ab 따로 붙일때는 2nd Ab로 control을 사용하는걸로 >알고있었는데 잘못된 점이 있으면 알려주십시요. > >그리고 control peak이 10^1에 해당되게 조절해준다는데 >왜 그런지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sotype Ab가 non-specific binding을 확인하려는 목적이므로, 2nd Ab를 사용해 주면 이를 확인 할 수 있기때문에 굳이 isotype Ab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피크를 10^1로 하라는 것은 이렇게 하였을 경우 10^0과 10^2 사이에 피크의 양끝이 오게되므로 해서 x축에 피크가 붙어 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분리되는 피크(파지티브)를 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분리만 확실하게 되어졌다면 대조구(control)이 오른쪽으로 shift하였어도 무관합니다.. 단지 조건을 잡을때 모든이들이 당연히 네가티브를 왼쪽끝 (10^1 정도에 피크가 오게)으로 정렬을 하는 것은 맞습니다. 특히 한번 한 세팅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일하여야 합니다. 좋은 실험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