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EM 촬영을 위한 powder 시료 준비

FE-SEM을 이용하여 nano-sized powder의 morphology를 관찰할때 시료준비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먼저 입자의 평균입경은50~60nm이며 inorganic material입니다. 입자가 작다보니 입자간 인력으로 인해 입자의 응집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Stub위에 podwer를 loading 한 후 유리판 같은 것으로 살짝 누르지 않으면 SEM 촬영시 입자가 전자빔과 접촉시 자꾸 굴러 떨어지네요..ㅡ.ㅜ 그런데 문제는 powder를 살짝 누르게 되면 마치 분체를 press한것과 같은 현상 때문에 정확한 입자의 크기의 확인이 어렵습니다. SEM은 시료준비도 간단하고 해서 TEM보다는 SEM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네요..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ㅡ.ㅜ
  • SEM
  • powder
  • sampl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 FE-SEM을 이용하여 nano-sized powder의 morphology를 관찰할때 시료준비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 >먼저 입자의 평균입경은50~60nm이며 inorganic material입니다. >입자가 작다보니 입자간 인력으로 인해 입자의 응집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Stub위에 podwer를 loading 한 후 유리판 같은 것으로 살짝 누르지 않으면 SEM 촬영시 입자가 전자빔과 접촉시 자꾸 굴러 떨어지네요..ㅡ.ㅜ >그런데 문제는 powder를 살짝 누르게 되면 마치 분체를 press한것과 같은 현상 때문에 정확한 입자의 크기의 확인이 어렵습니다. > >SEM은 시료준비도 간단하고 해서 TEM보다는 SEM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네요.. >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ㅡ.ㅜ 소량의 에탄올에 sample을 suspension시켜서 약 30도 정도에서 완전히 건조시킨후에 측정을 해보세요..샘플들이 겉보기에 aggregation되어 보이고 실제로도 흩어지지는 않습니다. 이 방법외에 패치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고 코팅법도 있습니다. 적당한 방법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 FE-SEM을 이용하여 nano-sized powder의 morphology를 관찰할때 시료준비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 >먼저 입자의 평균입경은50~60nm이며 inorganic material입니다. >입자가 작다보니 입자간 인력으로 인해 입자의 응집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Stub위에 podwer를 loading 한 후 유리판 같은 것으로 살짝 누르지 않으면 SEM 촬영시 입자가 전자빔과 접촉시 자꾸 굴러 떨어지네요..ㅡ.ㅜ >그런데 문제는 powder를 살짝 누르게 되면 마치 분체를 press한것과 같은 현상 때문에 정확한 입자의 크기의 확인이 어렵습니다. > >SEM은 시료준비도 간단하고 해서 TEM보다는 SEM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네요.. >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ㅡ.ㅜ 소량의 에탄올에 sample을 suspension시켜서 약 30도 정도에서 완전히 건조시킨후에 측정을 해보세요..샘플들이 겉보기에 aggregation되어 보이고 실제로도 흩어지지는 않습니다. 이 방법외에 패치 테이프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고 코팅법도 있습니다. 적당한 방법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 FE-SEM을 이용하여 nano-sized powder의 morphology를 관찰할때 시료준비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 >먼저 입자의 평균입경은50~60nm이며 inorganic material입니다. >입자가 작다보니 입자간 인력으로 인해 입자의 응집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Stub위에 podwer를 loading 한 후 유리판 같은 것으로 살짝 누르지 않으면 SEM 촬영시 입자가 전자빔과 접촉시 자꾸 굴러 떨어지네요..ㅡ.ㅜ >그런데 문제는 powder를 살짝 누르게 되면 마치 분체를 press한것과 같은 현상 때문에 정확한 입자의 크기의 확인이 어렵습니다. substrate를 무엇을 쓸 것인지 모르겠으나,substrate에 silane을 분무하여 도포한후 밀폐 용기(4각형이면 좋음)에 넣고 nano입자를 분무하여 부리게 되면 sbstrate위에 조용히 덮히게 됩니다. 이를 꺼집어 내어서 부착이 자 되지않은 nano입자는 불어내어 털어버리면 쉽습니다. > >SEM은 시료준비도 간단하고 해서 TEM보다는 SEM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네요.. >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ㅡ.ㅜ
    > FE-SEM을 이용하여 nano-sized powder의 morphology를 관찰할때 시료준비에 대해 몇가지 궁금한 사항이 있습니다. > >먼저 입자의 평균입경은50~60nm이며 inorganic material입니다. >입자가 작다보니 입자간 인력으로 인해 입자의 응집이 되는 문제가 있으며 >Stub위에 podwer를 loading 한 후 유리판 같은 것으로 살짝 누르지 않으면 SEM 촬영시 입자가 전자빔과 접촉시 자꾸 굴러 떨어지네요..ㅡ.ㅜ >그런데 문제는 powder를 살짝 누르게 되면 마치 분체를 press한것과 같은 현상 때문에 정확한 입자의 크기의 확인이 어렵습니다. substrate를 무엇을 쓸 것인지 모르겠으나,substrate에 silane을 분무하여 도포한후 밀폐 용기(4각형이면 좋음)에 넣고 nano입자를 분무하여 부리게 되면 sbstrate위에 조용히 덮히게 됩니다. 이를 꺼집어 내어서 부착이 자 되지않은 nano입자는 불어내어 털어버리면 쉽습니다. > >SEM은 시료준비도 간단하고 해서 TEM보다는 SEM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네요.. > >혹시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ㅡ.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