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LS에서 PDI 계산방법

DLS로 측정한 nanoparticle의 volume, number, intensity에 의한 diameter distribution curve를 얻었습니다. 여기서 PDI가 자동적으로 계산될 줄 알았는데, 값이 안나옵니다.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논문에 보면 유사실험의 경우, 1보다 작은 값이 많아서, GPC에서 처럼 그냥 weight average mean diameter/number average mean diameter가 아닐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 polydispers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배훈님의 답변

    >DLS로 측정한 nanoparticle의 volume, number, intensity에 의한 diameter distribution curve를 얻었습니다. 여기서 PDI가 자동적으로 계산될 줄 알았는데, 값이 안나옵니다.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논문에 보면 유사실험의 경우, 1보다 작은 값이 많아서, GPC에서 처럼 그냥 weight average mean diameter/number average mean diameter가 아닐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 >미리 감사드립니다.^^ P polymers: Most will possess a distribution of molecular mass: Mw/Mn 항상 1이상 Particles: Most manufactured particles will possess a wide distribution of size, surface area and mass PDI 보통 1 이하 Wikipedia에서 보시면 the cumulant method 이용하여 the second order polydispersity index 를 계산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복잡하네요. http://en.wikipedia.org/wiki/Dynamic_Light_Scattering (보통 기계에서 다 계산해 나오지요) Thin-films: Most thin-films will possess a varied distribution of film thickness.
    >DLS로 측정한 nanoparticle의 volume, number, intensity에 의한 diameter distribution curve를 얻었습니다. 여기서 PDI가 자동적으로 계산될 줄 알았는데, 값이 안나옵니다.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요? >논문에 보면 유사실험의 경우, 1보다 작은 값이 많아서, GPC에서 처럼 그냥 weight average mean diameter/number average mean diameter가 아닐것 같아서 여쭤봅니다. > >미리 감사드립니다.^^ P polymers: Most will possess a distribution of molecular mass: Mw/Mn 항상 1이상 Particles: Most manufactured particles will possess a wide distribution of size, surface area and mass PDI 보통 1 이하 Wikipedia에서 보시면 the cumulant method 이용하여 the second order polydispersity index 를 계산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복잡하네요. http://en.wikipedia.org/wiki/Dynamic_Light_Scattering (보통 기계에서 다 계산해 나오지요) Thin-films: Most thin-films will possess a varied distribution of film thickness.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