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마그네슘 분진 폭발 방지 방법에 대하여....

마그네슘이 약 40% 포함되어 있는 산업용 분진의 폭발 방지에 대한 방법을 찾고자 합니다. 주로 집진설비에서 휘발된 마그네슘과 타 분진이 혼합되어 집진되는데, 수거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즉, 공기와의 접촉+ 헤머링)에서 폭발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는 마그네슘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키는 방법이 없을까요?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 마그네슘
  • 분진
  • 폭발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강형님의 답변

    첨부파일

    공기 중 수분때문에 미립화한 마그네슘 분진이 산화열로 불붙으면서 화재가 발생하므로 수분이 분진에 스며들지 않도록 방지하면 될 것 입니다.환기통 등에 분진이 두텁게 쌓이지 않도록 자주 청소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간단한 방법이지만 실제로는 현장에서 자주 청소하기가 어려워 화재로 이어집니다. 환기덕트를 청소할 때도 철해머를 사용하지말고 플라스틱 해머 등을 이용하여 헤머링에서 불꽃이 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겠지요.미세분진은 표면에너지가 높아 쉽게 발화하고 한 번 불붙으면 끄기 어려운 특징이 있습니다.(마그네슘이 불붙었을 때 물을 부으면 더 불이 번지는 특징)이런 특징은 마그네슘만이 아니라 알루미늄분진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만약 현장에서 철강재를 가공하여 철강재 칩이 발생한다면 철강재 칩이 마그네슘분진과 뒤섞이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만들면 효과가 있을 것 입니다.아니면 모래를 공급하여 마그네슘 분진 위에 덮이게 하는 시스템도 효과가 있습니다.일단 마그네슘분진이 뭉쳐서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공기 중 수분때문에 미립화한 마그네슘 분진이 산화열로 불붙으면서 화재가 발생하므로 수분이 분진에 스며들지 않도록 방지하면 될 것 입니다.환기통 등에 분진이 두텁게 쌓이지 않도록 자주 청소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간단한 방법이지만 실제로는 현장에서 자주 청소하기가 어려워 화재로 이어집니다. 환기덕트를 청소할 때도 철해머를 사용하지말고 플라스틱 해머 등을 이용하여 헤머링에서 불꽃이 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겠지요.미세분진은 표면에너지가 높아 쉽게 발화하고 한 번 불붙으면 끄기 어려운 특징이 있습니다.(마그네슘이 불붙었을 때 물을 부으면 더 불이 번지는 특징)이런 특징은 마그네슘만이 아니라 알루미늄분진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만약 현장에서 철강재를 가공하여 철강재 칩이 발생한다면 철강재 칩이 마그네슘분진과 뒤섞이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만들면 효과가 있을 것 입니다.아니면 모래를 공급하여 마그네슘 분진 위에 덮이게 하는 시스템도 효과가 있습니다.일단 마그네슘분진이 뭉쳐서 쌓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김종철(jckim1) 2009-07-15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집진기에서 dust를 떨어내기 위한 hammering과정에 마그네슘(알미늄 포함)분진의 작은 폭발이 항상 문제가 되는게 현실인데,일반적인 사항은 kimsimon님께서 말씀을 하여 주시었고,실제의 운전에서 집진기의 설계시에 내부를 non-stkck 내열 코팅을 하여줌이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집진기 내부로 Na2CO3분말을 불어 넣어주어서 마그네슘 dust와 같이 혼합 분진이 되도록하면 폭발 한계를 낮추어 주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외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전기 스파크를 피하고,철저한 접지로써 대전방지 조치를 취하고 하는 사항이외는 근본적으로 hammering과정에서의 소폭발을 피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는 것이 정론입니다.(참고 자료 한가지를 첨부합니다)
    집진기에서 dust를 떨어내기 위한 hammering과정에 마그네슘(알미늄 포함)분진의 작은 폭발이 항상 문제가 되는게 현실인데,일반적인 사항은 kimsimon님께서 말씀을 하여 주시었고,실제의 운전에서 집진기의 설계시에 내부를 non-stkck 내열 코팅을 하여줌이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집진기 내부로 Na2CO3분말을 불어 넣어주어서 마그네슘 dust와 같이 혼합 분진이 되도록하면 폭발 한계를 낮추어 주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외는 일반적인 사항으로 전기 스파크를 피하고,철저한 접지로써 대전방지 조치를 취하고 하는 사항이외는 근본적으로 hammering과정에서의 소폭발을 피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보는 것이 정론입니다.(참고 자료 한가지를 첨부합니다)
    김종철(jckim1) 2009-07-15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추가해서 분진을 안전하게 연소하는 방법은 없을까요? (폭발의 위험성을 분산시키자는 의미에서 작은 폭발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방법 또는 버너를 사용한 연소방법 등)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폭발한계 농도 및 각 푹발위험 금속을 요약하고 그 대책을 보고한 내용을 소개한다. 기체폭발과 같이 분진폭발에 있어서도 일정한 농도한계 밖에서는 화염이 전파되지 않는다. 분진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고유의 폭발한계농도(공기 중)가 있지만 확실한 수치는 얻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분진의 폭발하한 농도는 20~60g/㎥, 폭발상한농도는 2,000~6,000g/㎥의 범위에 든다고 하는데 입도나 입도 분포, 그 밖의 요인에 의해서 상당히 변동이 크다. 가장 폭발을 일으키기 쉬운 농도는 대개의 경우 200~500g/㎥의 범위이며 이 농도는 분체중의 가연물이 공기중의 산소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완전연소 하는 것과 같은 농도보다 수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분진폭발의 규모는 주로 최대폭발압력 상승속도로 나타내나 이것도 분진의 입도, 농도, 밀폐도에 따라서 변동된다. 보통 알루미늄, 마그네슘은 각종 분진 중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밖에 폭발성이 강한 분진으로는 지르코늄, 다우메탈, 티탄 등이 있고 그 다음으로는 환원철, 카보니철, 망간, 아연, 주석, 안티몬, 바나듐, 카듐, 타듐 등이 있다. 이중에 마그네숨과 타 분진과 혼합되어 집진될 때도 마찬가지이다. 폭발 방호대책은 보고서에서 참고할 수 있다. 보고서명: "분진폭발의 현상과 방지대책에 관한 고찰(최영상, 대구보건대학) >마그네슘이 약 40% 포함되어 있는 산업용 분진의 폭발 방지에 대한 방법을 찾고자 합니다. 주로 집진설비에서 휘발된 마그네슘과 타 분진이 혼합되어 집진되는데, 수거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즉, 공기와의 접촉+ 헤머링)에서 폭발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는 마그네슘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키는 방법이 없을까요?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폭발한계 농도 및 각 푹발위험 금속을 요약하고 그 대책을 보고한 내용을 소개한다. 기체폭발과 같이 분진폭발에 있어서도 일정한 농도한계 밖에서는 화염이 전파되지 않는다. 분진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고유의 폭발한계농도(공기 중)가 있지만 확실한 수치는 얻을 수 없다. 일반적으로 분진의 폭발하한 농도는 20~60g/㎥, 폭발상한농도는 2,000~6,000g/㎥의 범위에 든다고 하는데 입도나 입도 분포, 그 밖의 요인에 의해서 상당히 변동이 크다. 가장 폭발을 일으키기 쉬운 농도는 대개의 경우 200~500g/㎥의 범위이며 이 농도는 분체중의 가연물이 공기중의 산소에 의하여 이론적으로 완전연소 하는 것과 같은 농도보다 수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분진폭발의 규모는 주로 최대폭발압력 상승속도로 나타내나 이것도 분진의 입도, 농도, 밀폐도에 따라서 변동된다. 보통 알루미늄, 마그네슘은 각종 분진 중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밖에 폭발성이 강한 분진으로는 지르코늄, 다우메탈, 티탄 등이 있고 그 다음으로는 환원철, 카보니철, 망간, 아연, 주석, 안티몬, 바나듐, 카듐, 타듐 등이 있다. 이중에 마그네숨과 타 분진과 혼합되어 집진될 때도 마찬가지이다. 폭발 방호대책은 보고서에서 참고할 수 있다. 보고서명: "분진폭발의 현상과 방지대책에 관한 고찰(최영상, 대구보건대학) >마그네슘이 약 40% 포함되어 있는 산업용 분진의 폭발 방지에 대한 방법을 찾고자 합니다. 주로 집진설비에서 휘발된 마그네슘과 타 분진이 혼합되어 집진되는데, 수거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즉, 공기와의 접촉+ 헤머링)에서 폭발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는 마그네슘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키는 방법이 없을까요?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마그네슘이 약 40% 포함되어 있는 산업용 분진의 폭발 방지에 대한 방법을 찾고자 합니다. 주로 집진설비에서 휘발된 마그네슘과 타 분진이 혼합되어 집진되는데, 수거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즉, 공기와의 접촉+ 헤머링)에서 폭발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는 마그네슘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키는 방법이 없을까요?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분진폭발 사고사례와 방지대책에 대한 상세한 자료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
    >마그네슘이 약 40% 포함되어 있는 산업용 분진의 폭발 방지에 대한 방법을 찾고자 합니다. 주로 집진설비에서 휘발된 마그네슘과 타 분진이 혼합되어 집진되는데, 수거된 분진을 제거하는 과정(즉, 공기와의 접촉+ 헤머링)에서 폭발이 발생합니다. 이를 방지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또는 마그네슘을 안정적으로 연소시키는 방법이 없을까요? 좋은 의견 부탁드립니다. 분진폭발 사고사례와 방지대책에 대한 상세한 자료 첨부합니다.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