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

첨부파일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 첨부 파일 보시고 문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UV cell 이 오염되서 그런건가요? 혹시 그런거라면 세척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UV
  • UV cell 이 오염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보통은 이동상으로 20~30분 정도 돌려주면 베이스라인이 안정화되는데..... 그게 않되는가 봅니다.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단을 셀 오염은 가능성이 없는건 아니지만 낮아 보입니다. 바이너리 펌프를 사용하셨을 것 같은데....펌프의 피스톤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압력요동과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밸브가 있습니다. 이물질이 끼거나 손상이 생기면 밸브가 이상작동을 하게되고, 이로인해 압력이 마구 오르내립니다. 당연히 설정치데로 유량이 나오지 않죠. 이런 경우 베이스라인이 마구 흔들립니다. 유량이 흔들리는 원인으로는 펌프의 플런저실 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사용하다보면 마모되서 약간씩 새게됩니다. 이 도한 유량이 제대로 않나오는 원인이구요. 펌프의 문제가 아니라면......UV램프가 수명을 다해 노이즈가 증가하는 경우일 수 있는데..... 크로마토그램만 봐서는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네요. 램프 사용사간도 한번 점검해 보싶시요. 권장사용시간이 지났다면 교체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직접 해결이 힘드신 경우라면 엔지니어를 요청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보통은 이동상으로 20~30분 정도 돌려주면 베이스라인이 안정화되는데..... 그게 않되는가 봅니다. 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단을 셀 오염은 가능성이 없는건 아니지만 낮아 보입니다. 바이너리 펌프를 사용하셨을 것 같은데....펌프의 피스톤이 움직일 때 발생하는 압력요동과 역류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밸브가 있습니다. 이물질이 끼거나 손상이 생기면 밸브가 이상작동을 하게되고, 이로인해 압력이 마구 오르내립니다. 당연히 설정치데로 유량이 나오지 않죠. 이런 경우 베이스라인이 마구 흔들립니다. 유량이 흔들리는 원인으로는 펌프의 플런저실 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이 사용하다보면 마모되서 약간씩 새게됩니다. 이 도한 유량이 제대로 않나오는 원인이구요. 펌프의 문제가 아니라면......UV램프가 수명을 다해 노이즈가 증가하는 경우일 수 있는데..... 크로마토그램만 봐서는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네요. 램프 사용사간도 한번 점검해 보싶시요. 권장사용시간이 지났다면 교체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직접 해결이 힘드신 경우라면 엔지니어를 요청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종석님의 답변

    첨부파일을 보니 6~-10mAU범위에서 fluctuation이 보이는데요. 실제 분석시에는 0.1~5AU정도 범위에서 peak이 보입니다. 즉 지금 보고계시는 결과는 실제분석결과와 비교하자면 대략 10~500배 확대해서 보는것과 같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미세한 노이즈도 크게 보이겠지요. 컬럼 equilibrium을 좀 길게하고 분석하시면 문제없을것 같습니다.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 > >첨부 파일 보시고 문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UV cell 이 오염되서 그런건가요? > >혹시 그런거라면 세척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첨부파일을 보니 6~-10mAU범위에서 fluctuation이 보이는데요. 실제 분석시에는 0.1~5AU정도 범위에서 peak이 보입니다. 즉 지금 보고계시는 결과는 실제분석결과와 비교하자면 대략 10~500배 확대해서 보는것과 같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미세한 노이즈도 크게 보이겠지요. 컬럼 equilibrium을 좀 길게하고 분석하시면 문제없을것 같습니다.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 > >첨부 파일 보시고 문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UV cell 이 오염되서 그런건가요? > >혹시 그런거라면 세척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첨부 파일 보시고 문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UV cell 이 오염되서 그런건가요?>>혹시 그런거라면 세척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원래 저렇게 단위를 선택후 보셨는데 그전에는 그렇지 않았다는 전제조건에서요) 첫째, 이동상을 1시간 이상 흘려주고 체크하세요 둘째, 디텍터의 수명을 확인하세요(디텍터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기기마다 다 있습니다.) 셋째, 첫째하고 비슷한 경우지만 라인들을 세척하세요 이러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료를 한번 찍어보세요 그럼 S/N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단위를 꼭 확인하시고, 그럼 스스로 본인이 느끼실 겁니다.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첨부 파일 보시고 문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UV cell 이 오염되서 그런건가요?>>혹시 그런거라면 세척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원래 저렇게 단위를 선택후 보셨는데 그전에는 그렇지 않았다는 전제조건에서요) 첫째, 이동상을 1시간 이상 흘려주고 체크하세요 둘째, 디텍터의 수명을 확인하세요(디텍터의 수명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기기마다 다 있습니다.) 셋째, 첫째하고 비슷한 경우지만 라인들을 세척하세요 이러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료를 한번 찍어보세요 그럼 S/N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단위를 꼭 확인하시고, 그럼 스스로 본인이 느끼실 겁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첨부 파일 보시고 문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UV cell 이 오염되서 그런건가요?>>혹시 그런거라면 세척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 scale을 보니깐 abs가 안정화되지 않은거 같습니다. 원인은 여러가지일 수 있는데, 우선 먼저 체크해 보실 것이, 펌프의 압력이 일정한지 확인해 보시구요. 두번째로, 사용하는 컬럼이 contamination이 되었거나 제대로 washing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세번째로, LC가 최신 기종이라면 혹시 software에 detector calibration 기능이 있는지 확인해 보십시요. 만약 있을 경우, calibration을 check한 후에 사용해 보세요.
    >LC 분석시 UV파장이 심하게 요동치는데요>>첨부 파일 보시고 문제 점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UV cell 이 오염되서 그런건가요?>>혹시 그런거라면 세척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Y scale을 보니깐 abs가 안정화되지 않은거 같습니다. 원인은 여러가지일 수 있는데, 우선 먼저 체크해 보실 것이, 펌프의 압력이 일정한지 확인해 보시구요. 두번째로, 사용하는 컬럼이 contamination이 되었거나 제대로 washing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이런 현상이 나타납니다. 세번째로, LC가 최신 기종이라면 혹시 software에 detector calibration 기능이 있는지 확인해 보십시요. 만약 있을 경우, calibration을 check한 후에 사용해 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