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GC는 왜 적은 분자량만 가능할까요?

GC와 LC 차이점을 찾아보면 이동상이 기체와 액체인것을 제외하고도 GC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LC는 분자량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GC는 왜 분자량이 작은물질에 사용이 적합한가요? 휘발이 유리해서인가요? 아시는 분, 명쾌하게 설명 좀 해주세요~
  • GC
  • small Mw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기본적으로 GC가 LC보다 감도가 조금 더 뛰어나고요.말씀대로 이동상이 다릅니다. 또 GC가 감도가 뛰어나다보니 분자량이 아주 작은 물질도 미량감지가 가능하고요. LC도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의 양이 있어야 감지가 가능합니다. LC는 많은 물질들의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의 컬럼으로 많은 종류의 물질을 분석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자량이 어느정도 넘어가면 분리분석이 어렵습니다. 즉 한계가 있습니다. 고분자 분석 LC는 GPC라고하며 차이가 있으며 컬럼도 분야가 다릅니다. GC는 말씀하신대로 휘발성이 좋아야 합니다. 휘발성이 안 좋으면 컬럼이 막히거나 등의 문제가 발생할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저분자량이나 단일물질 등의 순도 분석에 이용됩니다. 이동상이 가스인 만큼 가스를 타고 고온에서 같이 이동을 해야하므로 휘발성이 좋을수록 분석이 잘 되겠죠. 반면 LC는 고온이 아닌 상온이나 용매의 허용온도 수준에서 분석을 합니다. 어떤 물질을 분석하기에 앞서서, 샘플량이나 물성을 미리 파악해서 분석방법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GC와 LC 차이점을 찾아보면 >이동상이 기체와 액체인것을 제외하고도 >GC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LC는 분자량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GC는 왜 분자량이 작은물질에 사용이 적합한가요? >휘발이 유리해서인가요? > >아시는 분, 명쾌하게 설명 좀 해주세요~
    기본적으로 GC가 LC보다 감도가 조금 더 뛰어나고요.말씀대로 이동상이 다릅니다. 또 GC가 감도가 뛰어나다보니 분자량이 아주 작은 물질도 미량감지가 가능하고요. LC도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의 양이 있어야 감지가 가능합니다. LC는 많은 물질들의 분석이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의 컬럼으로 많은 종류의 물질을 분석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분자량이 어느정도 넘어가면 분리분석이 어렵습니다. 즉 한계가 있습니다. 고분자 분석 LC는 GPC라고하며 차이가 있으며 컬럼도 분야가 다릅니다. GC는 말씀하신대로 휘발성이 좋아야 합니다. 휘발성이 안 좋으면 컬럼이 막히거나 등의 문제가 발생할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저분자량이나 단일물질 등의 순도 분석에 이용됩니다. 이동상이 가스인 만큼 가스를 타고 고온에서 같이 이동을 해야하므로 휘발성이 좋을수록 분석이 잘 되겠죠. 반면 LC는 고온이 아닌 상온이나 용매의 허용온도 수준에서 분석을 합니다. 어떤 물질을 분석하기에 앞서서, 샘플량이나 물성을 미리 파악해서 분석방법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GC와 LC 차이점을 찾아보면 >이동상이 기체와 액체인것을 제외하고도 >GC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LC는 분자량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GC는 왜 분자량이 작은물질에 사용이 적합한가요? >휘발이 유리해서인가요? > >아시는 분, 명쾌하게 설명 좀 해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크로마토그래피는 기본적으로 분배현상(partitioning)에 의해 분리가 일어나는 분석도구 입니다. 종류에 관계 없이 공통적이죠. 기본적으로 시료가 이동상과 같은 상태로 되어야 분배가 일어날 수 있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때문에 GC의 경우 기화되지 않는 물질은 분석이 불가능합니다. 기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물질의 경우 휘발되는 시료의 양이 적기 때문에 분석이 어렵습니다. 막힘이나 오염 같은 문제도 있지만요.... 기화가 잘되는 물질이 대부분 저분자량 물질인건 아실 겁니다. 저분자량 물질이라도 기화가 잘 되지 않는 물질도 있고,... 이러한 물질들엔 GC 기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또 시료를 기화시키기 위해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열안정성이 낮은 물질 또한 안됩니다. 짧은 글로 설명드렸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겟습니다 >GC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LC는 분자량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GC는 왜 분자량이 작은물질에 사용이 적합한가요? >휘발이 유리해서인가요? > >아시는 분, 명쾌하게 설명 좀 해주세요~
    크로마토그래피는 기본적으로 분배현상(partitioning)에 의해 분리가 일어나는 분석도구 입니다. 종류에 관계 없이 공통적이죠. 기본적으로 시료가 이동상과 같은 상태로 되어야 분배가 일어날 수 있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때문에 GC의 경우 기화되지 않는 물질은 분석이 불가능합니다. 기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물질의 경우 휘발되는 시료의 양이 적기 때문에 분석이 어렵습니다. 막힘이나 오염 같은 문제도 있지만요.... 기화가 잘되는 물질이 대부분 저분자량 물질인건 아실 겁니다. 저분자량 물질이라도 기화가 잘 되지 않는 물질도 있고,... 이러한 물질들엔 GC 기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또 시료를 기화시키기 위해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분석이 이루어지므로 열안정성이 낮은 물질 또한 안됩니다. 짧은 글로 설명드렸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겟습니다 >GC는 분자량이 작은 물질. LC는 분자량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나오는데요. >GC는 왜 분자량이 작은물질에 사용이 적합한가요? >휘발이 유리해서인가요? > >아시는 분, 명쾌하게 설명 좀 해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