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chip(바이오칩)
2003-12-01
윤규식
- 3807
- 0
1. 바이오칩의 기술 동향
가. 정의 및 분류
○ 바이오칩이란 생물에서 유래한 효소, 단백질, 항체, DNA(유전자), 미생물, 동식물세포, 신경세포 등과 같은 생체 유기물과 반도체와 같은 무기물을 조합하여 기존의 반도체칩 형태로 만든 소자(device)이다. 사용 용도와 응용 분야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생체의 기능을 모방한 인위적인 소자이다. 전기적인 신호처리가 가능한 또는 전기적 신호를 유발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념이 내포되어 있다.
○ 바이오칩은 사용되는 생체물질의 용도, 시스템화 정도 등에 따라 바이오센서, DNA Chip(유전자칩), Protein Chip(단백질칩), Cell Chip(세포칩), Neuron Chip(신경세포칩), 생체삽입용 Chip, Lab-on-a-Chip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바이오칩은 많은 종류의 단백질, 유전자(DNA) 같은 물질을 고체 기질 위에 고밀도로 붙여 놓은 것으로, 생물학적 검색이나 정보 처리를 높이는 방법이다.
○ 바이오칩은 유전자 기능연구(expression profile), 질병관련 유전자 검색, 유전자 발현, 단백질 분포, 반응양상 등을 분석해 낼 수 있는 생물학적 마이크로 칩으로 과학 기술연구 및 신약개발 검출 도구, 임상진단 등의 분야에 혁신적 변화를 일으킬 것으로 주목된다.
○ 바이오칩은 고체 기질 위에 집적시키는 바이오 물질의 종류에 따라 DNA 칩, 단백질칩, 세포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 Lab-on-a-Chip을 포함한다.
○ 바이오칩의 분자 진단 분야 시장에서 최적의 마커 개발이 중요 관건이다.
○ 소규모 회사들은 칩을 제작 시스템 판매 또는 소비자 요구형 칩 제작 서비스에 사업대상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