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정보/통신
발행기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발행일
2019.11.27
URL
2. 주요국의 AI 전략 및 정책 동향
가. 미국
나. 캐나다
다. EU
라. 영국
마. 독일
바. 중국
3. 결론 및 시사점
인공지능(AI)은 알고리즘을 통해 인간의 지적능력을 모방하는 기술로 농업, 제조, 의료, 금융, 통신, 사회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와 결합해 산업 생산성 개선뿐만 아니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통해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잠재성으로 인해 미국, 중국 등 주요국에서는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각 정부도 AI의 경제?산업?사회적 편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산업 경쟁력을 기반으로 AI의 잠재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주요국의 관련 전략 및 정책을 분석하였다.
주요국들은 심화되고 있는 글로벌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대폭적으로 확대하는 한편, 정부-민간의 긴밀한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AI 기술 개발 및 사용으로 초래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력확보 및 훈련, 윤리, 지속가능성 등에 관한 제도적 프레임워크 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미국은 AI 선도국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정책 거버넌스를 정비하고 관련 R&D 예산 확대와 민관협력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으며, 최근 AI로 글로벌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캐나다는 AI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연구 및 산학협력을 시행해 생태계를 확대할 수 있는 정책을 시행 중이다. EU는 회원국에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AI 전략과 윤리 지침을 마련하고 R&D 프로그램에서 AI의 비중을 높여가고 있다. 영국은 AI 섹터딜을 중심으로 민관협력을 최대화하면서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있으며, 독일은 그동안 부족했던 AI 투자를 늘려가면서 EU 및 회원국과의 정책 공조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경제의 질적 전환을 위해 국가 전반의 AI 융합을 가속화하는 한편, 시장원리가 작동할 수 있도록 금융, 표준, 지재권 정비에 나서고 있다.
이처럼 주요국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대대적인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역시 정부의 AI R&D 예산을 확대하고 관련 연구를 선도함으로써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는 한편, 인재 육성, 스타트업?중소기업 지원 등을 통해 생태계를 조성?확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AI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선제적으로 파악? 대응함으로써 AI 기술의 포용적이며 지속가능한 개발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추천 리포트
-
[코센리포트] 무인기 스텔스 기술의 최근 동향
-
[코센리포트] AI 반도체의 글로벌 기업 기술역량 진단
-
[동향보고서] 미국의 인공지능(AI) 인력 현황 분석
-
[동향보고서] 유럽의 인공지능 윤리정책 현황과 시사점
-
[동향보고서] 인공지능 학습용 영상 데이터 기술 동향
-
[동향보고서] 미국 CSET, 인공지능 인력 보고서 발표
-
[동향보고서] 병렬 컴퓨팅 기반 인공지능 프로세서 기술 동향
-
[동향보고서] [보건산업브리프Vol.292] 디지털헬스 의료기기(SaMD)규제기준 정립 및 진료행위 코드 마련
-
[동향보고서] 캐나다, 인공지능 프로젝트 투자
-
[동향보고서] 유럽의 인공지능 정책
-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
0.0 (0개의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