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코로나19 백신 ·치료제 개발 사례로 살펴본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산업 R&D 동향 및 시사점


ㅁ 바이오의약품 매출액과 기업의 핵심 R&D 지표라고 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 중 바이오의약품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바이오의약품으로 글로벌 제약산업의 구조가 이동하고 있음

ㅁ 시장 성장 추세와 바이오의약품의 높은 임상 성공률로 인해 바이오의약품 R&D가 증가하는 가운데 신약 개발 비용 절감 및 위험 분산
을 위한 M&A, 기술(특허)이전, 아웃소싱 등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바이오의약품 R&D도 증가하고 있음

ㅁ 코로나19는 이러한 흐름을 더욱 빠르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바이오의약품을 비롯한 제약산업은 임상시험의 연기·취소, 처방 감소 등 단기적으로 단기적으로 영향은 받겠으나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 바이오의약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전세계 기업과 정부의 R&D 투자가 확대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ㅁ 코로나19 백신 개발 전과정을 제약·바이오기업 단독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아닌 연구기관·대학교· 바이오기업·제약기업간 공동 연구·특허 이전 등 협력을 통해 진행되었고, 정부도 R&D 예산 지원 및 선구매, 신속 승인 등을 통해 백신 개발에 대한 기업의 부담을 줄여주는 등 코로나19로 인해 오픈 이노베이션과 민관의 긴밀한 협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임

ㅁ 특히, 백신 개발이 통상 10년 이상이 소요되는데 비해 코로나19 백신이 약 1년만에 신속하게 개발이 가능했던 데에는 규제 당국의 신속한 승인과 수십억 달러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R&D 투자도 중요한 요인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오랜 기간에 걸친 바이러스, mRNA 관련 기초연구와 이러한 기초연구 진행이 가능하도록 오랜 기간 수입억 달러를 지원한 NIH 등 정부와 민간의 재정 지원이 핵심 요인이라고 할 수 있음

ㅁ 한편, 우리나라도 현재 8개 기업에서 코로나19 백신의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 단계적으로 임상 3상에 대한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개발이 늦어져 타 국가의 백신을 수입하고 있는 상황이며, 변이 바이러스, 부스터샷 등 글로벌 백신 수요 불안 요인과 생산 차질 등 공급 불안 요인으로 인해 백신 주권 확보 차원에서 여러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ㅁ 팬데믹이 지속되고 있고 추가 감염병 발생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어 자체 개발 백신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상 백신의 공급·확보는 외교·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 안보 차원에서 감염병 대응을 위한 백신 개발은 무엇보다 중요함

ㅁ 특히, mRNA 플랫폼 기술도 실실적인 성과는 치료법이 발견된 지 20여년이 지난 후에야 코로나19 백신으로 나타났고 현재 코로나19 백신 외에도 다수의 백신 및 면역항암제 등 치료제 개발을 위한 임상연구도 진행 중인 상황으로 핵심 바이오의약품 원천 기술 확보를 위한 중장기적인 기초연구가 무엇보다 중요함

ㅁ 일부 바이오기업들이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의 경쟁력은 선진국 대비 미흡한 실정이고 이에 정부도 바이오의약품 분야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리고 있음68)

ㅁ 코로나19 대응 관련하여, 임상시험 지원, 생산 지원, 선구매 등 범부처 차원에서 mRNA 백신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2년도에는 감염병 대응 예산에 4,881억원, 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기술 개발에 450억원을 지원하는 등 정부 R&D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지만, 여전히 미국, 독일, EU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하면 그 규모는 작으며 이마저도 여러 기업에 나누어 지원해야 하는 상황임

ㅁ 백신을 비롯해 바이오의약품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부 R&D 투자 규모 확대와 더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지속적인 기초연구 지원이 필요하며, 정부에서 모든 R&D 예산을 지원할 수는 없으므로 민간의 재원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벤처캐피탈 투자, 민관 공동 펀드 조성, 세제 지원 등 유인 정책도 필요함

ㅁ 또한 팬데믹의 종료 혹은 엔데믹화에 따라 코로나19 백신 시장 규모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항체의약품이 시장의 주도권을 형성하고 세포치료제 및 유전자치료제가 급격하게 성장하는 기존 구조로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바이오의약품 R&D 전략 수립이 필요함

ㅁ 마지막으로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비교해 규모·기술적으로 열세인 국내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R&D 주체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국내 기업간 협력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해외 기업들과 공동 연구 네트워크 구축, 유망 기술 보유 기업의 M&A 등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한 선진 기술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필요할 것으로 보임


<목차>

 I . 서론

Ⅱ. 바이오의약품 정의 및 특성

Ⅲ. 바이오의약품 산업 규모 및 전망

Ⅳ. 바이오의약품 산업 R&D 동향

Ⅴ. 결론 및 시사점

출처 : 한국복건산업진흥원 보건산업브리프 Vol.332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