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6

글쓰기
전체 46906
글쓰기









토양과 관개용수 개선을 통한 식량 증산 방법 스크랩

  • 농림수산식품

지난 100년간 농업은 기계화농업이 시작되어 단위면적당 수확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전 세계적으로 농업용 토양이 황폐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 인구는 2050년이면 100억 명에 육박하고 향후 식량 공급은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식량 수확을 늘리는 방안으로 같은 산림업과 협업하는 혼합농업 형태의 혼농임업(Agroforestry), 관계용수의 변화를 통한 방안(water harvesting)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또한 매년 가뭄과 여름철 장마와 태풍을 겪으면서 농업용수 공급에 차질을 겪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 현실에 도입할 부분이 많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리가 염두에 둘 것 중 하나는, 토질 향상을 위한 여러 방안의 시도나 관개용수 개선 사업의 경우 단기간적인 1~2년의 수확 증대를 위해 하는 것이 아닌 만큼 비용 소모도 많고 기술력 지원과 재정지원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정부의 지원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점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2024-02-26


분자생물학 기법을 활용한 이중 특이성 항체(Bispecific antibody)의 개발 스크랩

  • 이승혜 이승혜
  • |
  • Ludwig Maximilian University of Munich
  • |
  • 생명과학

새로운 표적치료제로 꼽히는 이중 특이성 항체(Bispecific antibodies)는 현재 기존 단클론항체 치료제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항원, 혹은 항원인식부위에 결합할 수 있는 인공 단백질로서 기존 항체 치료제보다 더 정교하고 효율적으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중 특이성 항체는 생성 플랫폼 형태에 따라 크게 IgG-like 혹은 Non-IgG-like 이중 특이성 항체로 분류되는데, 각 플랫폼에 따라 생성 원리, 작동 방식 그리고 치료 효과의 차이를 가져온다. 이 보고서에서는 이중 특이성 항체의 역사와 생성 플랫폼의 종류, 그리고 임상 활용 방안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202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