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08

글쓰기
전체 46908
글쓰기

ICT Brief 2023-38호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Ⅰ 주요 이슈 1. 가트너(Gartner), 2023년 10대 전략기술 트렌드 발표 2. 차세대 통신시장 우위 확보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활기 Ⅱ 주요국 동향 1. 미국, 라스트마일의 혁신 ‘드론 배송 서비스’ 상용화 속도 2. 중국, 美 반도체 추가 규제에 강경 대응…흑연 수출 통제 등 Ⅲ ICT 부문별 모니터링 Ⅳ 주요 ICT 행사 일정① 주요 이슈 ㅇ 가트너(Gartner), 2023년 10대 전략기술 트렌드 발표 ? 가트너는 IT심포지엄/엑스포 행사(10.16∼19)에서 ‘2024년 10대 전략기술 트렌드(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24)’ 발표(10.16) ? 2023년 생성 AI가 모든 전략적 논의 중심에 있었으며 2024년에는 모든 주제에 침투하고 2027년에는 AI가 국가 전략의 일부를 담당할 것으로 전망 ? 2024 전략기술 트렌드는 △투자 보호 △빌더(Builder) 부상 △가치 전달의 3가지 범주로 귀결 가트너(Gartner), 2023년 10대 전략기술 트렌드 발표 ㅁ 향후 IT산업과 기업 비즈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0대 기술 트렌드 전망 ㅇ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는 혁신적 잠재력을 갖춘 ‘2024년 10대 전략기술* 트렌드(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24)’ 발표(10.16) * 전략기술 트렌드는 초기 유망기술 수준에서 벗어나 강력하고 파괴적인 잠재력을 내재해 영향력과 사용성이 확대되고 있거나 향후 3년간 비즈니스 및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원문정보 사본 바로가기 차세대 통신시장 우위 확보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활기 ㅁ 英·美·日 등 5개국, ‘글로벌 통신연합’ 결성하며 기술·공급망 협력 ㅇ 영국·미국·일본·호주·캐나다 등 5개국은 미래 통신기술 개발과 공급망 확보, 표준정립을 위해 ‘글로벌 통신연합(GCOT: Global Coalition on Telecommunications)’을 결성(10.5) ? GCOT에는 영국 DIST를 비롯해 미국 상무부 산하 통신정보관리청(NTIA)과 일본 총무성(MIC), 호주 인프라교통·지역개발·통신부(DITRDCA),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 등 5개국 통신 정책 당국이 합류 원문정보 사본 바로가기 미국, 라스트마일의 혁신 ‘드론 배송 서비스’ 상용화 속도 ㅁ 아마존, 드론 배송 가능 서비스 및 국가 확대하며 사업 활발히 전개 ㅇ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미국 텍사스주 칼리지 스테이션(Colege Station)에서 처방약을 드론으로 배송하는 서비스 개시(10.18) ? 칼리지 스테이션에 거주하는 프라임 에어(Prime Air) 가입 고객은 아마존 약국(Amazon Pharmacy)을 통해 신청한 처방약을 드론으로 배송받기 가능 원문정보 사본 바로가기 중국, 美 반도체 추가 규제에 강경 대응…흑연 수출 통제 등 ㅁ 중국 정부, 미국의 반도체 규제는 일방적이며 강압적인 조치 ㅇ 미국 정부가 對중 수출 제한 대상을 기존 고사양 반도체 칩에서 저사양 칩까지 확대하는 등 반도체 규제를 강화하자 중국은 정당한 권익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비난 * 10.17일 美 상무부는 對중 수출통제 관련하여 △저사양 AI 칩(A80, H80 등) 수출 금지 △중국 기업의 해외(미국의 무기 수출을 금지한 21개국) 사업체에 반도체 수출 차단 등을 포함한 새로운 규정 발표(10.17) 원문정보 사본 바로가기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가) 창작한 ICT Brief 2023-38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2023-10-27


[10월 4주] 미국보다 2배 많은 중국의 AI 특허 출원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중국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글로벌 우위를 차 지 하 기 위해 특허 출원에 적극적임.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은 2022년 29,583건의 AI 관련 특허를 출원함.이는 전년도 특허 출원 건수인 29,000건 보다도 많은 것이며,미국의 출원 건수보다는 80%정도 더 많음. 현재 시장에 출시된 AI 애플리케이션의 40%는 중국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과 일본의 AI 애플리케이션 수는 약 16,700개로 알려짐. 중국은 AI 관련 논문의 수도 미국에 비해 훨씬 많음. 조사에 따르면, 전세계에서 출간된 AI 논문 건수는 2012년 25,000편에서 2021년 약 135,000편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함. 중국은 논문 양 측면에서도 꾸준히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2021년에는 미국보다 약 2배 많은 43,000편의 논문을 발간했음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10-27


미세유체 기반 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에 대한 연구 동향 스크랩

  • 이병진 이병진
  • |
  • 스탠퍼드대학교
  • |
  • 생명과학

미세유체 기반 암 면역세포치료제 연구는 현재 암 치료 분야에서 혁명적인 진전을 가져오고 있다. 이 연구는 암세포를 정교하게 공격하고 면역 시스템을 강화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한다. 미세유체 기술은 정확한 치료를 제공하고 개별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이 보고서는 다양한 질병 치료에 활용되는 세포치료제 개발에 이용되는 미세유체시스템의 기술 동향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2023-10-26


[보건산업브리프 Vol. 386] 2023년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 주요 동향과 미국 진출 시사점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2023년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 주요 동향과 미국 진출 시사점 Contents   I . 연구의 배경과 목적  Ⅱ. 미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최근 주요 동향  Ⅲ. 미국 진출 시사점 및 결론  (부록1) 미국 전문가 인터뷰  (부록2) 2023년 상반기 기업 인수 현황  참고자료

2023-10-26


[보고서] [이슈 브리핑] 한국의 첫번째 FDA 인터체인저블 바이오시밀러 스크랩

  • 한국바이오협회
  • |
  • 생명과학

□ 삼성바이오에피스,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인터체인저블 바이오시밀러 지위 획득 -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루센티스 바이오시밀러인 바이우비즈(Byooviz)가 FDA로부터 인터체인저블(Interchangeable) 바이오시밀러로 지정되었음. - 바이우비즈는 2021년 9월 FDA에서 바이오시밀러로 허가되었으며 올해 10월 3일자 FDA 변경 허가 공문을 통해 인터체인저블로 공식 지정됨.   □ 미국 FDA 허가 바이오시밀러 43개, 이중 인터체인저블 바이오시밀러 6개   □ 인터체인저블 지정이 미국 바이오시밀러 시장에서 미치는 영향 - 미국에서 바이오시밀러가 오리지널 의약품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시밀러의 약가 및 보험 등재 여부가 중요함. - 이외에 또 다른 경쟁력 요인은 의료제공자(의사)가 기존에 오리지널의약품을 처방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바이오시밀러를 처방할지 여부임.     또한, 약국 차원의 대체처방(Pharmacy-level Substitution)이 가능한지도 여부도 중요하며, 인터체인저블 바이오시밀러로 지정이 되면 약국에서 대체 처방이 가능함.

2023-10-25



환경 적응이 가능한 보행자 안전 감독 SW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스마트도시통합센터와 같은 CCTV 관제센터에서는 많은 수의 CCTV를 소수의 인력만으로 모두 관제하기 어려우므로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하여 주취자나 응급환자, 이상행동 탐지 등과 같은 특이 상황 발생 시 관제센터에 알림을 주는 보행자 안전 감독 시스템에 대한 요구 증가

2023-10-25


초거대 언어 모델과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연구 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본 고에서는 그 활용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초거대 언어 모델의 판단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어 온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Explainable AI: XAI) 기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들어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modal) 모델의 개발과 보안 위협에 대한 분석이나 의료 데이터 분석 등 주어진 태스크를 전문적으로 해결하도록 미세조정된(fine-tuned) 초거대 언어 모델들이 개발되고 있는 만큼 초거대 언어 모델의 다양성은 더욱 증가하고 있어, 현존하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법 동향 조사를 통한 새로운 XAI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고의 제 II장에서는 먼저 초거대 언어 모델의 개념과 그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해 살펴보고, 제 III장에서는 초거대 언어 모델을 설명하고자 개발된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기법을 그 분류별 대표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한다. 끝으로 제 IV장에서 본 고의 결론을 제시한다.

2023-10-25


메타버스는 미래가 될 수 있을까?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불과 2년 전에 등장한 메타버스라는 단어는 단시간에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지만, Chat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등장과 함께 단시간에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지기도 했다. 부족한 콘텐츠가 이러한 메타버스 침체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메타버스 플랫폼들은 다양한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여 부족한 콘텐츠를 개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게임 업계는 메타버스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2022년 지능정보사회 이용자 패널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메타버스 플랫폼 이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의 대부분이 게임 기반의 메타버스를 이용하였으며 이용 목적 또한 게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메타버스를 위한 새로운 디바이스도 등장하였는데, 2023년 6월 애플은 비전 프로라는 혼합현실 디바이스를 선보였으며 비전 프로에서도 게임은 높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메타버스 시장 동향 및 게임 기반의 메타버스에 대해 살펴보고, 메타버스가 미래가 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2023-10-25


지능형 무인운반차(AGV) 기술 및 산업 동향 스크랩

제조업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을 목적으로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과 무인운반차 인지제어 기술의 향상으로, 효율적인 물류와 제품의 이송/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이송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무인운반차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은 고정밀 운전제어 기술로, 현재는 라인 유도 방식인 마그네틱 방식이나 바/큐알-코드 방식이 이용되고 있고, 더불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deep learning) 기반의 영상/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주행하는 지능형(Artificial Intelli-gence, AI) 자율주행 기술과 첨단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정보통신 기술)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안전 및 편의성 기능을 강화한 새로운 형태의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진행 중이다.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