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02
org.kosen.entty.User@562a93c
표만석(enRjql)
- 1
안녕하십니까?
알츠하이머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이라고 하면 약으로 진행속도를 늦출뿐 걸리면 치료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약으로 치매지연을 할 수 있지만
뇌를 많이 쓰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뇌가소성이 이부분을 설명이 된다고 생각이 드는데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알츠하이머를 지연시킬 수 있는 뇌가소성 연구를 알고 싶습니다.
혹 허혈성 치매에 대한 뇌가소성연구가 있으면 알려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 Brain Plasticity
- potentiaton
- alzheime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진영호님의 답변
2005-10-11- 0
알츠하이머 병은 많은 종류의 치매중에서 Neurodegenerative disoreder에 의하여 발생하는 증상입니다 (다른 원인으로는 Multi-infact strocke (뇌출혈-중풍), 감염 (HIV, 매독), Neurodegenerative disoreder(Pakinson's Disesae, Huntington's disease'''), dreug and toxin (알콜중독, 중금속)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읍니다. 알츠하이머 증상은 장기간에 (몇년) 걸쳐서 증세가 악화되는 병입니다. 이에 반하여 뇌가소성은 일반적으로 기억과 관계되며 실험상으로 1-2시간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직접적인 관계가 증명되어 있지는 않읍니다. 하지만 치매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뇌를 사용할수 있게 Game, 산책, 다른 사람과의 대화 등의 기회를 주면 치매 현상의 진전을 늣출수 있다고 알려져 있읍니다. 이런 의미에서 알츠하이머 와 뇌가소성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읍니다. 그외에도 애완동물과의 접촉기회를 주거나 생선이 들어있는 식사를 하는것도 효과적이라고 하나 엄밀하게 증명되어 있지는 않읍니다. 지금까지의 치료는 약으로 진행속도를 늦출뿐 이지만 일부 동물 실험에서 Stem cell을 이용하여 파괴된 뇌세포를 복구하여 치료를 할수있는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읍니다. 허혈성 치매에 대해서는 자문을 구하지 못해서 답변을 드릴수가 없어서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