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주요국의 ICT R&D 인재양성 정책동향

1. 국내외 환경변화

2. 주요국 정책동향
가. 미국
나. EU
다. 영국
라. 중국
마. 일본
바. 우리나라

3. 결론 및 시사점
□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기술패권 경쟁으로 인한 ICT R&D 인력 수요 증가

ㅇ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격화로 반도체, AI, 양자 등 미래 핵심 분야 R&D 인재양성의 중요성 부상

ㅇ 우리나라는 R&D 인재의 양적 증가에도 주요 ICT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 부족, 장기적인 인구구조 변화 추세에 따른 인력 공급난 지속 심화 전망

□ 주요국은 ICT 핵심 인재육성 정책 및 전략을 마련하여 대응

ㅇ (미국)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한 STEM 교육과 함께 기술 패권 경쟁에 대응해 AI, 양자, 사이버 보안 등 첨단 기술 분야 인재양성 지원. 반도체 지원법 발효로 인력양성 및 인재확보 투자 본격화

ㅇ (EU) 디지털 대전환을 맞아 슈퍼컴퓨팅, AI,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디지털 유럽 프로그램 추진. 반도체법안 하 숙련 인력 확대 지원

ㅇ (영국) 민관 협력 디지털 역량 향상, 연구혁신 환경 조성 뿐 아니라 AI와 사이버보안 강국 실현을 위한 글로벌 인재양성 및 유치 전략 강화

ㅇ (중국) 과학기술인재의 혁신역량 향상을 위한 고급 인재풀 육성과 인센티브 개선, 혁신창업 생태계 최적화 추진 및 양자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 정비

ㅇ (일본) Society 5.0 실현을 위해 자연과학과 인문학을 융합한 혁신정책 하의 신진연구자 육성 및 중요 전략기술로서 반도체와 양자 인재양성 추진

ㅇ (우리나라)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교육 체제 전환 및 SW·AI 중심의 인재양성 저변 확대 추진, 주요 핵심 ICT 분야별 초격차 확보를 위한 전문인재(AI, 반도체, 사이버보안) 육성에 집중

□ 미래 핵심 ICT 분야 기술주권 확보를 위한 장·단기 인재양성 전략 필요

ㅇ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될수록 ICT 핵심 분야 기술주권 확보 중요성 증대, 산·학·연·관의 긴밀한 R&D 협력과 국제 교류 활성화 등을 통한 실무 인재양성 필요

ㅇ 사회·인구학적 구조 변화와 전략 ICT 분야의 전문 인력 수급 격차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적 관점의 다양한 인재 포용·유치 전략 마련 요구

리포트 평점  
해당 콘텐츠에 대한 회원님의 소중한 평가를 부탁드립니다.
0.0 (0개의 평가)
평가하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