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22 디스플레이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전기/전자

디스플레이혁신공정플랫폼구축- (사업목적) 혁신 소재·공정을 중심으로 LCD와 OLED에 이은 차세대·융복합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및테스트 베드용 일괄공정 라인 구축을 통한 신기술 검증 및 중소·중견기업 기술지원- 프리폼 디자인이 가능한 전장 및 스마트기기용 20% 연신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품화 기술 개발- 초고해상도 모바일 OLED용 제품을 위한 산화물 TFT 백플레인 핵심 기술 개발- OLED 유기 소재 구조 및 안정성 분석을 위한 질량 분석 시스템개발- AR용 고휘도와 고해상도를 갖는 자발광 OLED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초대형마이크로LED모듈러디스플레이- (사업목적) 초대형 마이크로 LED 모듈러 디스플레이 제조를 위한 핵심 기술 개발 및 상용화- 고이동도 유연 산화물 TFT 백플레인 제작과 타일링 공정 및 장비 개발- 능동 구동(AM) 방식의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구동기술 및 화질개선 기술 개발- 마이크로 LED 소재부품 특성 및 에너지 특성 평가법 개발- 디스플레이 응용을 위한 Nanorod LED 기반 화소 기술 개발- 고효율 양자점 색변환 잉크 뱅크 기술 및 마이크로LED용 잉크젯 모듈 기술 개발- 저비용·고해상도 마이크로 인터포저 개발 및 롤 기반 대량 고속 전사 기술 개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23. 금속재료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재료

(소재부품기술개발) 제조업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소재의 해외 의존도 완화, 기술고도화 및 미래시장선점을 위한 소재·부품기술 개발 지원(소재부품패키지형) 희소금속 폐자원 순환 기술개발, 귀금속 대체·저감 부품화 기술개발 등 희소금속공급망 안정을 위한 신규 과제 지원(전략핵심소재자립화) 고내구성 알루미늄 도금강판 개발, 금형 공구용 소재기술개발 등 국내 소재부품기술 자립화를 위한 계속 과제 지원 (철강산업재도약기술개발) 미래차·에너지 신산업 등 미래 전략산업의 수요 창출과 고부가가치 제품 시장선점을 통한 중소·중견 철강기업의 경쟁력 강화 개발과제 계속 지원 (전기로 제강공정 디지털화를 통한 고효율 조업기술 개발) 국내 전기로 산업을 AI 전기로로 탈바꿈하기위한, 전기로 제조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고효율 조업 기술 개발과제 신규 지원 (철강분야 탄소중립을 위한 무탄소 연료전환 및 에너지효율향상 기술 개발) 철강분야 하공정(쇳물생산후 제품생산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석연료를 무탄소 연료(수소·암모니아)로 전환하여 CO2 배출량감축 기술 개발과제 신규 지원 (국방무인기 초내열 엔진소재 기술개발) 국방무인항공기 체계에 필요한 5,000lbf(파운드포스)급 무인항공기용 완제 터보팬 엔진의 핵심 부품 개발 및 개발 기반 확보를 위한 R&D 과제 지원 (경량소재 혁신성장동력프로젝트) 항공용 타이타늄 부품 및 친환경 자동차용 알루미늄 판재 제조 기술개발과제 계속 지원

2023-03-31


[국가슈퍼컴퓨팅본부] 3월 4주 HPC 동향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2023년 3월 2주, 3월 3주에 조사된 HPC 동향입니다. 1. 슈퍼컴퓨팅을 이용한 신경전달물질 연구2. 2023년 HPC 주요 5가지 트렌드3. CSIC 및 BSC, 전산 지구물리학 유닛 설립4. 오하이오 슈퍼컴센터에서 찾은 장기적인 연구 데이터 스토리지 솔루션5. 핀란드 국가 슈퍼컴퓨터 센터는 디지털 지구 쌍둥이 모델 구축을 위한 데이터 레이크 기능을 수행6. Intel은 PyTorch 2.0의 AI 가속화에 기여 

2023-03-31


[국가슈퍼컴퓨팅본부] 3월 2주 HPC 동향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2023년 2월 4주, 3월 1주에 조사된 HPC 동향입니다. 1. 경계를 강화하는 Frontier 슈퍼컴: 원자로 시뮬레이션에 참여하는 노드 86%2. Fujitsu와 Atmonia, HPC 및 AI로 양자 화학 시뮬레이션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성공적으로 배포3. 고성능 스토리지 관리의 가장 큰 이슈로 전문 지식 부족이 Panasas 설문 조사에서 1위로 나타남4. 다가오는 “양자의 겨울”에 대한 걱정5. 슈퍼컴퓨팅을 위한 SYCL 소개6. SYCL의 현황 ? ECP BOF 진행사항 및 성과발표7. 퓨어스토리지사는 비정형 데이터용 플래시블레이드//E 제품을 출시8. OpenAI, ChatGPT 및 Whisper API 출시, 개발자는 이제 앱에 ChatGPT 구축 가능

2023-03-31


[국가슈퍼컴퓨팅본부] 2월 4주 HPC 동향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2023년 2월 2주, 2월 3주에 조사된 HPC 동향입니다. 1. Lenovo와 WEKA, 신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위한 협업 발표2. Koi Computers, Nvidia Quantum-2 Infiniband 네트워킹 플랫폼 통합 Nvidia 인증 GPU 서버 및 클러스터 제공3. IBM, Intel·Nvidia 기반 클라우드 AI 슈퍼컴퓨터 ‘Vela’ 소개4. NetApp사는 최신 데이터센터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저비용, 소용량 플래시 스토리지 제품을 출시5. AI 및 HPC 주제에 대한 ChatGPT 및 Eliza와의 인터뷰6. Spectra Logic사는 새로운 디지털 아카이브 솔루션을 발표7. Sway AI, 모두가 AI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AWS 파트너 네트워크에 합류8.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에 최적화된 ExaSMR 시뮬레이션 툴킷이 원자로 설계 과정을 발전시킴9. Sylabs, SingularityCE 3.11 출시 발표 

2023-03-31


[국가슈퍼컴퓨팅본부] 2월 2주 HPC 동향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2023년 1월 4주, 2월 1주에 조사된 HPC 동향입니다. 1. NSF가 이끄는 미국 국가 AI 연구 자원 태스크포스, 최종 보고서 발표2. SK하이닉스, 세계에서 제일 빠른 9.6Gbps를 지원하는 D램인 LPDDR5T 개발3. 리켄, 아마존 웹서비스에서 ‘가상 후가쿠’ 계획4. 스웨덴의 Nvidia 기반 Berzelius 슈퍼컴퓨터 확장 계획5. 슈퍼컴퓨팅을 활용한 OLED 재료 탐색 연구6. HudsonAlpha 생명공학 연구소는 대표 데이터 스토리지를 Quotbyte 사의 소프트웨어 정의 스토리지 시스템으로 전환함7. 미국 국가 AI 연구자원 구축을 위한 로드맵 발표8. 고성능 환경에서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Panasas 솔루션9. LUMI 슈퍼컴퓨터가 공식적으로 승인10. NSF,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POSE 프로그램에 대한 권유 발표

2023-03-31


[국가슈퍼컴퓨팅본부] 1월 4주 HPC 동향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2023년 1월 2주, 1월 3주에 조사된 HPC 동향입니다. 1. MemVerge사, Intel Xeon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및 CXL을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 메모리 관리 기술을 개발2. Intel, 4세대 Xeon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맥스 시리즈 CPU 및 GPU 출시3. NVIDIA, Intel, 파트너들의 AI 컴퓨팅 효율성 강화4. NSTC, 미국 양자과학 자금 지원과 우선순위를 논한 신규 보고서 발행5. 슈퍼컴퓨팅을 활용한 탄소 구조 연구6. NVIDIA와 Dell Technologies, AI 포트폴리오 확장7. 항공우주 제조 분야의 디지털 트윈 모델을 위한 새로운 HPC4EI 프로젝트8. Azure와 호환성이 있으면서 확장 가능한 Qumulo의 고성능 파일 서비스를 Azure 마켓플레이스에서 서비스하기 시작함 

2023-03-31



언어모델, 사람과 소통하다.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정보/통신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사고의 과정과 지식의 표현 및 보존에 사용되는 자연어를 기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하지만, 자연어가 갖는 무한한 표현력으로 인해 어려운 연구라 할 수 있다. 여러 접근 방법 중 하나인 언어모델의 구축은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성능이 급격히 좋아지면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시장 전망도 매우 밝다. 또한 텍스트 위주의 연구 및 활용에서 생물학적 변이 정보, 이미지, 음성 등의 다른 형태의 데이터 및 인식 기술과 조합하여 활용 범위가 매우 넓어지고 있다.본 고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언어모델들에 대한 설명 및 최신 언어 모델 개발 동향과 언어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사람만큼 자연스러운 AI의 등장과 핵심 기술의 독점화를 예상하며 이에 따른 시사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23-03-31


국가 초고성능컴퓨터 6호기 구축 방안 스크랩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국가슈퍼컴퓨팅본부(국가초고성능컴퓨팅센터, 이하 국가센터)는 핵심적 R&D 인프라인 대형 슈퍼컴퓨팅 자원을주기적으로 현대화하여 국가차원의 공공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계산과학, 고성능컴퓨터 기술, 고성능컴퓨팅(HPC)활용 응용연구 및 산업체 기술지원 분야 등에서도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2018년 12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하여 24년까지 운영될 KISTI 슈퍼컴퓨터 5호기는 평균 부하율이 74%를 넘어서면서시스템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자원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으며, 주력 계산 자원이 범용 CPU 타입이어서 가속기를 통한 성능향상이 탁월한 분야에서 활용에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로의 전환, 팬데믹 및 기후변화 등 급변하는 외부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대규모 과학·공학 계산 및 초거대 AI 분야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한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제고를 위해서도 최신 슈퍼컴퓨터 도입이 절실한 상황이다.국가센터 초고성능컴퓨터 6호기는 2024년~2028년 국가차원의 거대 계산과학 자원 수요와 초거대 AI 자원 수요 대응을목표로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초고성능컴퓨터 6호기는 현재 운영중인 5호기를 대체하여, 기존 과학 및 공학 분야와 인공지능분야의 고성능 컴퓨팅 요구 자원 수요를 충족하고 다양한 사용자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을 제공할 것이다. 이에,본고에서는 초고성능컴퓨터의 역할과 차기 시스템인 초고성능컴퓨터 6호기 구축 계획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