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2 자율주행차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건설/교통

 자동차 분야에서 최첨단 ICT 기술을 융합한 자율주행, 편의·안전, 반도체 등 전장화 및 지능화 분야기술개발- (스마트카) 자동차의 편의·안전성 향상과 지능화를 위한 자율주행 응용 기술 및 차량 부품 기술개발- (레벨4 자율주행) 레벨4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를 위한 차량 분야 핵심기술개발 지원-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 기술의 국민 수용성 향상과 자율주행 서비스 시장 창출을 위한차량·부품·서비스 핵심기술개발 지원- (차세대 인지센서) 인간의 인지능력을 초월하는 초고난도 인지예측센서 기술개발 지원- (차량용 반도체) 수요처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고신뢰성 차량용 반도체 핵심기술개발 지원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3 조선해양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건설/교통

 산업 인력대응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전환 기술 개발- (산업핵심 신규과제) 인공지능 기반의 일원화된 선박의 선형, 구획, 기본계산 설계시스템 기술개발, 디지털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선박의장품 제작/설치 정보 지원 플랫폼 개발- 자율운항선박 산업부·해수부 공동 기술개발 지속 추진(’20.4월~) * 자율운항선박에너지통합관제시스템, 기관실제어통합플랫폼및 Digital Bridge 개발, 자율운항선박성능실증센터등 환경규제에 부합하는 친환경선박 핵심기술 개발- (산업핵심 신규과제) LPG 운반선의 LPG 재액화시스템용 컴프레서 개발- (소부장 신규과제) 선박용 액화연료(LNG, LPG, LNH3) 이송용 터보형 펌프 및 핵심 부품 개발 및실증, 3000톤급 선박 전기 추진시스템 핵심 소재 및 부품 기술 개발- (예타 신규사업) 친환경선박전주기 핵심기술개발(’22~’31) * 선박배출 온실가스 70% 저감을 위한 핵심기술(암모니아 및 하이브리드 전기추진 중점) 개발을 통한 기술 실용화및 표준 개발- (비예타 신규사업) 안전기반 소형 수소추진선박 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22~’26) * 40인승 350kW급 소형 수소추진선박 건조·운항, 육상 실시간 모니터링, 정량화된 안전기준 마련 등 수소추진선박全주기 표준 모델 제시 목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4 첨단기계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기계

(건설기계)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친환경 동력시스템 및 건설현장의 스마트 화를 위해 굴착기 등의 여러종류의 건설기계 지능화 개발 지원- 친환경 저탄소 산업기계용 75hp급 순수전기 구동 가능한 Plug in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기술개발- 건설기계 상용차용 300kW급 Zero CO2 수소 연소 엔진 시스템 및 저장 공급계 개발- 전기식 건설기계용 충전인프라 및 기반기술개발- 토석운반 자동화와 트럭 협업을 위한 휠로더용 자율작업 및 운영시스템 기술개발- 비전 기반 지능형 안전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150톤급 크롤러크레인 개발- 무선다중초정밀 동기제어가 가능한 최대 작업중량 5톤급 스마트 모바일 리프트 개발 (냉동공조기계) 산업용 보일러 대체를 위한 다양한 방식의 히트펌프 기술개발- 350kW급 160°C 증기(steam) 생산용 무급유 원심식 히트펌프 개발- 복합폐열원을 이용한 염색공정수 가열용 35kW급 히트펌프 시스템 개발- EV 폐전지 Recycle 공정용 함수율 1.5% 용량 100kg급 감압 유동층 건조기히트펌프 시스템 개발 (농기계) 기계화율이 낮은 밭농업을 효율화할 수 있는 친환경 자율 농기계, 설비 부족으로 애로를 겪고있는 부숙도 규제 대응 가축분뇨 자원 자동화 기술개발- 밭 농업 솔루션용 농기계 및 스마트 운용시스템 개발- 가축분뇨 활용 500kg일급 퇴비 자동 생산을 위한 에너지 절감형 퇴비화 장치 개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5 첨단장비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기계

(신산업 제조장비) 향후 신산업에서 필요한 핵심 제조장비 시장 선점을 목표로 ‘신산업 제조장비로드맵’에 따른 과제 중점 추진 * 고종횡비 Micro Copper Pins 고속 실장 및 접합 시스템 개발, 나노 광소자 패터닝용 인라인 UV 나노 임프린터 개발 등 (장비 성능 고도화) 기존 장비의 성능에 타 에너지 요소를 융합하고, 시장요구수준 변화 대응을 위한고도화 기술 개발 * 고속 고품질 고온 액상성형 공정용 프리폼 제조 워크셀 개발, kW급 적외선 광섬유 레이저 기반 레이저 워터젯 가공기술 실증 등 (제조장비 지능화)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해 기존 제조장비에 지능화 기술을 도입한 장비 개발 * 대면적 FO-PLP 기판 가공을 위한 지능형 복합 연삭시스템 개발, 알루미늄 배터리팩 케이스 제조를 위한 지능형 용접로봇 시스템 실증 등 (탄소중립 대응) 에너지 절감 및 미활용 에너지 재활용 기술, 공작기계 효율화 관련 평가 기준 및 실증 지원 * 고품질 압연 철강재 생산을 위한 에너지 절감형 저압분사식 스카핑 장비 개발, 공작기계 운영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에너지 소비 평가기술 실증 등 (3D프린팅) 기확보된 소재·부품·공정·장비 등 국내 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협력형 패키지 기술개발 및수요기업 참여 실증 지원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6 로봇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기계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사용자 적합 로봇 요소 기술 및 제품 개발- (공동체 안전) 재난상황 및 상시적인 사회안전 시설에 대한 로봇 활용 대응 기술 개발- (제조현장 안전·편리) ‘중대재해 처벌법’의 발효에 따른 제조현장 안전에 대한 인식 증가에 대응할 수있는 로봇 기술 개발- (사회적 약자 지원) 노약자, 장애인, 아동 등의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인 책임 강화를 위한 로봇활용 기술 개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7 우주항공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지구과학(지구/대기/해양/천문)

미래항공모빌리티 기반 기술 개발 및 실증을 위한 자율비행 개인항공기(OPPAV) 축소기 비행시험 완료및 실증기 제작 완료- 1인승급 전기식 수직이착륙기 설계, 제작, 실증하여 기반 기술 확보 지원 6인승급 미래항공모빌리티 비행체 적용 가능한 핵심 부품 개발 진행- 항공용 전기모터, 배터리팩, 전기식 작동기 개발 지원 미래 유망기술인 항공기 예지적 정비를 구현하기 위한 AI 알고리즘 기반 건전성 진단 기술 개발 과제착수- 비정상 패턴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는 엣지 프로세싱 분석기 개발 지원- 항공기 실제 운영 데이터 기반하여 AI 알고리즘 개발 지원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8 바이오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생명과학

 맞춤형진단치료 바이오산업기술개발- (차세대의약품 제조 및 생산혁신) 글로벌 선도 및 제품화를 위한 융복합 차세대 의약품 개발 및제조·생산시스템 구축- (급성감염병 선제대응) 급성감염병 상시 대응을 위한 현장 맞춤형 다중 분석 및 진단, 모니터링체계 구축을 위한 핵심요소 기술 개발 - (산업적 평가플랫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진단치료제품 산업적 활용 평가 및 분석시스템 구축 첨단바이오신소재 바이오산업기술개발- (바이오매스 기반 고분자소재 제품화)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바이오매스 기반 고분자소재제품의 주력산업 활용 및 고부가가치화- (고부가가치 생리활성소재 산업화) 국민 편익 증진 및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고품질, 고효능생리활성소재 산업적 생산기술 확보- (생체친화적 의료용 소재 제품화) 바이오소재 기술 고도화를 위한 수요자 맞춤형 高생체친화적의료 소재 및 부품 제품화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9 지식서비스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목적) 지식서비스*분야 핵심 기술개발 지원을 통한 기존산업(제조업·서비스업 등)고도화 및 창의적융합BM 발굴·新서비스산업 창출 지원 * (산업발전법 제8조) 지식의 생산·가공·활용·유통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이러닝·컨설팅·패키징·전자상거래 등 36개 산업분야를 포함하는 전방위 산업 (방향) ① ICT기술 및 실감형 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 지원기술 개발, ② 제조서비스화, ③ 비대면서비스 개발 등 융합BM·新서비스 창출을 지원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0 디자인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제품과 서비스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기술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제조서비스 디자인 융합 기술을 개발- 중소·중견 제조업체의 디자인 활용도 제고(16.4%(’17년) → 30.0%(’29년))를 목표로 제조서비스 6대‘디자인 융합’ R&D 전략 분야 제시 * 6대 디자인융합 분야 : 수송기기, 바이오헬스, 스마트전자, 스마트제조, 에너지신산업, 지능정보서비스- (융합성) 신소재와 신기술을 제품과 서비스에 적용하여 기능을 최적화하고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한디자인-제조 융합 핵심기술을 개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1 의료기기헬스케어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기계

 (디지털헬스케어) 빅데이터, AI·ICT 등 융복합 기술을 활용하여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및 건강관리제품·서비스 개발- (비대면 헬스케어 서비스) 바이오헬스 빅데이터 기반 비대면 헬스케어 인프라 구축 및 관련 디바이스개발을 통한 서비스 개발- (AI 기반 혁신의료 시스템) 바이오 빅데이터와 AI를 융합하여 환자의 진단, 치료, 모니터링을고도화한 맞춤형 의료시스템 개발 (디지털치료제) 실사용 근거 기반 디지털치료제 개발 오픈플랫폼을 구축하고, 질환별 디지털치료제개발·검증·인허가·상용화를 지원- (핵심기술개발) 기존 건강관리용 웰니스 제품과 달리 임상적근거를 토대로 작용기전*을 구체화하여질환별 디지털치료제 기술개발 * SW 의료기기의 컨텐츠·알고리즘을 통해 환자의 임상적 효과 개선여부를 보여주는 근거- (개방형 개발플랫폼) 디지털치료제 공통기반기술과 주요질환에 대한 임상-기업연계 개발플랫폼*을구축하여 개발방법론 및 테스트베드 제공 * 주요 임상분야(정신·소아, 노인성 질환)에 대한 디지털치료기기 개발 협력체계- (시험평가 기술개발) SW 의료기기로서 SW 형상관리 및 식약처 인허가 준비를 위한 개발용 테스트지원 및 사전검증 기술개발

2023-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