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66(2023.03.20)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66(2023.03.20)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유럽의회, 표결 통해 ‘신규 의료기기규정’의 실행 유예    - 일본 기능성 화장품 시장, 외출 증가와 매장 홍보제한 완화로 회복기조    - 중국 쳰잔산업연구원, 의약업 전자상거래 발전 동향 분석    - 신속한 신약개발에 필요한 전임상 개발과정 잠재력 고찰 ◈ 의료서비스   - 유럽의회, 재조정된 ‘새로운 EU 글로벌 보건전략’ 의제 발표    - EC와 OECD, EU 회원국 및 노르웨이 등의 국가 암 프로파일 발표   - 중국, 자궁경부암 퇴치 가속화를 위한 행동계획(’23~’30) 시행    - ’23년 글로벌 헬스산업 M&A 전망  ◈ 디지털 헬스케어   - 영국 ‘Turing AI Felowship’ 등, 동작 캡처 기술 통해 질환진행 예측 가능    - 일본, 중복투약 등을 막는 ‘전자처방전’ 시스템 개시    - 메타버스 기술이 의료계에 가져올 혁신   - ’2년 디지털 헬스 산업 생태계 분석

2023-03-29


US S&T Briefing, 2023 March Issue-바이든 행정부 2024 회계연도 과학 예산(안) 증액 지속 등 23건 스크랩

  • KUSCO(한미과학협력센터)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1. 과학기술R&D·ICT 정책 동향 바이든 행정부 2024 회계연도 과학 예산(안) 증액 지속 미 국립표준기술연구원 CHIPS 법 첫 자금 지원 프로그램 미 의회 국립과학재단 2023 회계연도 예산 12% 증액 승인 바이든 NASA 예산안 아르테미스 달 탐사 프로그램 가속화 기대 미국 기업 연구개발 지출 중 3분의 2 이상이 인건비 미 국립과학재단(NSF) 2024 회계연도 예산 주요 투자 목표 바이든 행정부 탈탄소 프로젝트에 60억 달러 지원   2. 과학기술R&D·ICT 연구 동향 농구 경기에서 선수 위치를 최적화하는 물리학 모델 사이보그 기술을 이용한 심장 조직의 기능적 성숙도 분석 자율주행차의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하드웨어 효율성 향상 실제 환경에서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하는 로봇 탁구를 이용한 인간과 로봇 협업 가능성 연구 지구의 온도 조절기 기능을 하는 자연의 풍화 작용 미국 내 인종 간 코로나-19 증상과 발병 기간 등 차이   3. 벤처·기술사업화 동향 챗GPT 열풍 속 인공지능 스타트업 어뎁트 기록적 자금 조달 기후 기술 스타트업들이 과학자 CEO를 선호하는 이유 구글, 챗GPT 잡기 위해 전 제품 인공지능 통합 계획 아르고 AI 창업자들 새로운 자율주행 스타트업 창업 웹3 NFT 아트 플랫폼 와일드 시드 투자 700만 달러 모금 미 에너지부 배기가스 감축 및 기후 연구 6,800만 달러 지원 미 특허청 특허 출원 가속화를 위한 새 프로그램 시행   4. 인문사회과학 동향  미 국립인문재단(NEH) 초등학교 시민 교육 파일럿 프로그램 지원   5. 과학기술 외교 동향  미래 기술에 의한 주파수와 무선 기술 혁신 (SWIFT-SAT)

2023-03-24


[3월 4주] 2023년 대화형 AI 개발 트렌드 전망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많은 사람들은 모든 산업 분야에서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의 역량을 높이 평가하고 있음. 글로벌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AI에 대한 투자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산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AI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지만, 특히 챗GPT(Chat GPT)를 시작으로 대화형 AI(CAI, conversational AI)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음. 2023년 대화형 AI의 개발 방향성과 트렌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03-24


[3월 월간동향] MWC 2023에 나타난 ICT 트렌드 전망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Association)가 주최한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Mobile World Congress)가 2023년 2월 27일부터 3월 2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었음. 약 800여 개 이동통신 사업자 및 400여 개 관련 업체가 참여하였으며, 총 참석자는 거의 9만 명으로 2022년에 참석한 6만명에서 크게 증가했음.한국은 삼성,LG,SK텔레콤,KT등130여개의 업체가 참여함 올해 MWC의 슬로건은 ‘Velocity : Unleashing tomorrow’s technology today(내일의 기술을 오늘 실현하는 속도)’로 디지털 혁신이 사회와 비즈니스의 번영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중점에 두었음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03-24


[3월 4주] 필리핀 스타트업 생태계 및 투자 유치 현황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필리핀의 벤처캐피탈 펀드인 폭스몬트캐피털파트너스 (Foxmont Capital Partners)는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함께 ‘필리핀 벤처캐피털 보고서 2023’을 발표하였음. 필리핀은 2022년에 11억 달러(약 1조 4,091억 원)의 스타트업 자금을 유치하여 2021년 조달 총액인 10억 3,000만 달러(약 1조 3,192억 원)를 넘어섰음. 필리핀 스타트업은 2년 연속 10억 달러(약 1조 2,808억 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함. 스타트업 생태계 초기 형성 단계였던 2010년에 투자된 4,000만 달러(약 512억 원)와 비교하면 연간 총 거래액이 불과 12년 만에 27배 성장하는 성과를 보임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03-24


[3월 4주] EU, 글로벌 디지털 정책 표준 추진 계획 스크랩

  • 정보통신산업진흥원
  • |
  • 정보/통신

2024년 9월 유엔((UN) 미래 정상회의에서 승인될 예정인 유엔의 ‘글로벌 디지털 협약(Global Digital Compact)’은 전 세계 디지털 미래를 위한 공유 원칙을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EU는 유엔의 글로벌 디지털 협약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함. EU는 2023년 3월 외교위원회에서 ‘글로벌 디지털 협약에 대한 기여(contribution to the global digital compact)’ 기조를 채택함. EU는 글로벌 디지털 협약이 인권 존중을 기반으로 하고 인간 중심의 글로벌 디지털 전환을 위한 로드맵 역할을 하기를 기대함. 글로벌 디지털 협약은 UN 가입국 전체에 걸쳐 증가하는 활동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명확한 비전을 제시해야 하며, 인권에 대한 강력한 지원에 기반을 두어야 함. EU는 UN의 글로벌 디지털 협약이 추구하는 개방적이고, 안정적이며, 자유롭고, 포용적이며, 글로벌하고, 상호 운용이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고,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인터넷을 지원하고자 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03-24


국회입법조사처, "챗GPT 등장과 인공지능 분야의 과제" 발표 스크랩

  • 국회입법조사처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ㅇ 국회입법조사처에서 국내외 동향 및 현안에 대한 정보 소식지인 이슈와 논점에서 "챗GPT 등장과 인공지능 분야의 과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함 □ 챗GPT의 특징  ㅇ (초거대 AI) 챗GPT는 1,750억 개의 파라미터를 사용한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인 GPT-3.5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챗GPT 이외에 Google의 LaMDA와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Hyper CLOVA) 등의 생성형 AI는 초거대 AI를 지향함   - 챗GPT의 개발사인 OpenAI는 현재 100조 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GPT-4를 개발 중이며, 생성형 AI의 대형화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임 ㅇ (퓨샷러닝과 챗봇 방식) 초거대 AI의 장점은 소량(few)의 학습데이터로 원하는 결과를 얻는 ‘퓨샷러닝(few-shot learning)’이 가능하다는 점임   - 초거대 AI는 대규모 데이터를 사전에 학습시켜 공통적인 기본 AI 모델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소량의 데이터를 추가 학습시켜 정확도가 높은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음   - 챗GPT는 소량의 학습데이터 확보를 위해 챗봇 방식을 채택하여, 이용자가 입력한 간략한 지시어에 대응하는 텍스트 결과물을 제공   - 지시어가 효과적일 경우 추가적 설명과 학습 없이(zero-shot) 한 번의 입력으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음 ㅇ (생성형 트랜스포머 모델) 챗GPT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모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를 통해 특정 단어 다음에 올 가장 적합한 단어를 예측하고 연결하여 문장을 구성함   - 트랜스포머 모델은 데이터의 입력정보와 출력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이며, 입·출력 정보를 순차적으로 처리하던 방식(순환신경망 등)에 비해 계산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챗GPT 등장 이후의 국내외 동향  ㅇ (AI 공급 분야) 챗GPT는 이용자의 요구 또는 질문에 의한 텍스트 결과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검색서비스와 유사하며, 향후 검색 서비스 방식과 주요 사업자의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됨   - Microsoft와 Google 등의 해외 기업은 초거대 AI에 적극적인 투자와 대응을 진행 중으로,   - Microsoft는 자사 검색엔진 ‘bing’을 챗GPT와 결합한 신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구글은 자체 초거대 언어모델인 LaMDA와 상용 AI 서비스인 ‘Bard’를 발표함   -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서치GPT와 카카오의 KoGPT가 챗봇 형태의 서비스를 개발 중임 ㅇ (AI 이용 분야) 챗GPT는 다른 디지털 혁신과 마찬가지로 인간을 보완하는 역할이 클 것이나, AI 이용 확대에 따라 예상되는 위협요인에 대해 사회질서의 재정립과 자원의 재분배 원칙 수립 등의 제도적 고려가 필요함   - 챗GPT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보고서 초안 작성, 출판 등 실생활에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함   - 하지만 챗GPT를 활용한 과제 및 평가 수행과 분야에서 챗GPT를 오·남용하는 경우와 같이 사회적 가치와 충돌하는 문제와 위협에 대한 대책이 요구됨□ AI 정책의 과제  ㅇ(컴퓨팅파워 확보) 대규모 학습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다수의 이용자 요청을 실시간으로 처리가능한 컴퓨팅파워 확보가 요구됨   - 정부는 국가 슈퍼컴퓨터 자산을 확충하고 민간이 초거대 AI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초고성능컴퓨팅 혁신전략?에 반영   - 현재의 AI 사업 규제를 개선하여 민간이 컴퓨팅파워 구축에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 ㅇ (AI 반도체 연구개발) 고가이며 전력소모가 많은 기존 GPU를 대체할 수 있는 AI 반도체 개발 및 확산을 위한 중장기적 지원이 필요함 ㅇ (데이터 유통·거래 활성화) 민·관의 다양한 분야에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를 AI 모델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유통·거래의 활성화가 시급함   - 민간에서 직접 공급하기 어려운 학습데이터의 수요를 파악하여 정부와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학습데이터를 구축함   - ?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에 따른 민간 데이터 거래소의 역량 강화 및 학습데이터 확보의 허용조건을 명확히 하여야 함 ㅇ (AI 윤리 확립) AI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보호, 오·남용 및 편향 등에 따른 부작용을 경계하기 위해 인공지능이 활용되는 모든 영역에서 사회구성원이 준수해야 할 윤리적 기준의 제시하고 인식의 확산을 위한 교육이 필요함*    * 2023년 2월 14일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 법안소위를 위원회 대안으로 통과한 7건의 인공지능 관련 법률안은 모두 인공지능의 개발 및 이용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음* 요약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GTM230111] 국회입법조사처, "챗GPT 등장과 인공지능 분야의 과제" 발표* 파일 출처 : 국회입법조사처

2023-03-20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65(2023.03.13) 스크랩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 보건의료

글로벌 보건산업 동향 Vol.465(2023.03.13) - Global smart Healthcare Industry Trend ◈ 제약·의료기기·화장품   - 미국 McKinsey, 무균 제품의 생산 능력 증대에 대한 원칙 제안    - 미국 Amazon Pharmacy, 월 5달러에 일반 의약품 처방 서비스 출시    - 미국 바이든 대통령, 임신중절 약물에 대한 접근을 보호하는 각서에 서명    - 미국 Medicare 가입자, 인슐린 공급 상한선으로 실질적인 비용 절감 효과     ◈ 의료서비스   - 미국 보건복지부, 암 검진 및 후속 치료의 격차 해결을 위해 1,10만 달러 지원    - 영국 보건복지사회부, 의료기술 전략 발표    - 캐나다, 디지털 헬스케어를 통한 캐나다 의료 제공자의 역량 강화 방안 검토   - OECD, 탄력적 의료 시스템 구축을 통한 향후 팬데믹 위기 대비  ◈ 디지털 헬스케어   - 미국 의료기업 CVS Health, 가상 진료 서비스 시작    - 미국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OUD) 환자의 치료를 위한 디지털 격차 해소 연구    - 미국 NIH, 완전한 게놈 서열을 조립하는 소프트웨어 도구 개발·출시    - 최신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희귀 질환에 대한 치료 전략

2023-03-20


위클리글로벌 318호 (23년 03월 13일)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미국] 한국 뷰티프로그램 <겟 잇 뷰티>, 미국 포맷 계약ㅁ <겟 잇 뷰티> 포맷 계약 성사ㅇ CJENM 과 미국의 제작사 스콧 스턴버그 프로덕션이 CJENM 의 뷰티프로그램 <겟 잇 뷰티>의 포맷 계약을 맺음. 스콧 스턴버그 프로덕션은 할리우드에 본사를 둔 제작사로 리얼리티 콘텐츠를 전문으로 하며 해외 콘텐츠 포맷을 수입하며 콘텐츠 제작 및 개발을 하는 제작사로 알려짐ㅇ <겟 잇 뷰티>는 2006 년 방영을 시작해 최근까지 18 개의 시즌이 방영된 CJENM 의 인기 프로그램임. 라이프스타일과 뷰티 제품을 소개하며 뷰티브랜드 소비를 촉진하는 등 트렌드 리더 역할을 함ㅇ 현재 자세한 제작 계획, 스트리밍 플랫폼, 방송사에 대한 정보는 발표되지 않았으며, 스콧 스텐버그 프로덕션은 <겟 잇 뷰티>의 포맷과 한국의 뷰티 인프라와 함께 제작될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 내 뷰티 트렌드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 전함

2023-03-17


케냐 수출자유지역(Export Processing Zone) 동향 스크랩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
  • 정보/통신

케냐 수출자유지역(Export Processing Zone) 개요케냐 정부는 외국인 투자유치 및 수출 산업 활성화를 위해 1990년 수출자유지역법(EPZ Act CAP517)을 제정하고 산업통상부 산하에 수출자유지역청(Export Processing Zones Authority, EPZA)을 신설하였다.현재 총 14개(Athi River, Nairobi, Mombasa, Kilifi, Malindi, Voi, Kimwarer 등)의 수출자유지역이 운영되고 있으며 그중 아티리버, 나이로비, 몸바사 수출자유지역이 활성화돼 있다. 주요 혜택으로는 △첫 10년간 법인소득세, 비거주자 대상 배당금, 기타 송금에 대한 원천징수세 면제, △신규투자에 대해 투자 세액 100% 공제, △법률문서에 대한 인지세 영구 면제 등이 있다.

2023-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