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리포트

리포트는 KOSEN 회원님들이 작성하는 최신연구동향 보고서입니다.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발간하는 최신 동향보고서를 제공합니다.

전체 46913

글쓰기
전체 46913
글쓰기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2 이차전지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전기/전자

리튬기반 차세대이차전지 성능고도화 및 제조기술개발 사업- 기존 리튬이온전지와 마찬가지로 리튬이온을 통해 충방전이 이루어지는 차세대전지군(전고체전지, 리튬황전지, 리튬금속전지)의 핵심소재 및 전지제조기술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한 심층 R&D를 추진- 10개 R&D 과제 및 1개 연구지원 과제로 구성- 40개 기관(산(16), 학(13), 연(11))이 참여하여 1단계 수행(’20~’22년)이차전지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전기차용 50Ah 중대형 이차전지 제조평가 기반 인프라 및 시설구축 * (구축후) 소재부품 기업들은 성능평가 시간·비용 절감, 전지 제조사는 본연의 배터리 생산에 집중, 소재 성능중간평가 결과 조기 확보→ 소재부품 셀 적용 test 기간 단축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3 스마트제조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기계

(산업용 임베디드시스템) 산업현장에 적용 가능한 경량 인공지능이 내장(임베디드)된 시스템 및지능부품 기술개발- (임베디드인공지능시스템) 기기 말단에서 인공지능 연산 처리가 가능한 경량 시스템 기술개발- (산업용지능융합부품) 센서, 디스플레이 등과 소프트웨어를 융합하여 산업용 부품의 지능화 기술개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4 스마트전자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전기/전자

IoT기반 스마트홈 실증 및 IoT가전용 핵심부품기술개발- (사업목적) 실거주 환경에 대한 스마트홈 실증을 통한 서비스 확산도모 및 IoT가전 및 스마트홈디바이스 분야 중소·중견기업의 AI기술확산 촉진을 위한 혁신형AI가전 핵심부품 개발- IoT기반 스마트가전기술 확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이 새롭게 진입할 수 있는 IoT가전시장 확산과생태계 활성화 촉진 5G연계 가상증강현실기기 및 시스템 개발- (사업목적) 제조분야 AR기기 핵심부품 고도화, 폼팩터 및 컨텐츠 제작 플랫폼 개발을 통한 제조분야AR서비스 조기 상용화- 제조산업의 현장요구(생산성향상, 작업안전확보)와 연계한 가상증강 디바이스 및 서비스의개발·현장실증을 통해 XR 전문기업 기술경쟁력확보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5. 화학공정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화공

 글로벌 무역 환경에 흔들림 없는 화학소재부품의 경쟁력 강화 및 미래 지향적인 깨끗한 성장 전략마련을 위한 연구개발 분야 지원- 소재 개발 단계에서부터 소재-부품-시스템-수요산업 연계 관점에서의 기술개발 투자를확대하고,- 깨끗한 성장의 기반인 탄소중립을 위한 소재·공정 개발을 추진 (석유화학 분야) 화학소재 생산에 사용 중인 석유계 원료를 탄소중립형 바이오매스·폐자원 등으로대체하여 화학소재를 생산하는 공정기술개발을 지원하여 핵심주력산업인 석유화학산업의저탄소 산업구조 전환 촉진 (정밀화학 분야) 반도체, 디스플레이, 센서 분야에 사용하는 첨단소재 및 부품 제조 기술을개발하고, 핵심 재료의 국산화를 실현하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 추진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6 섬유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재료

화학재생 그린섬유 기술개발- 난분리 폐섬유와 복합재질의 유색 플라스틱을 원료로 한 화학재생 그린섬유 개발로 섬유산업순환경제 구축 * 그린뉴딜, 탄소중립 정책 실현을 위해 석유화학 원료에서 재생원료 중심의 섬유패션산업으로 구조적 전환- (기술개발) 난분리 폐섬유와 복합재질의 유색 플라스틱을 원료로 한 화학재생 섬유 및 공정 기술개발 * 하이드롤리시스 복합기술 기반 폴리에스터 화학재생섬유 개발 * 메탄올리시스 기술 기반 폴리에스터 화학재생섬유 개발 * 하이드롤리시스 기술 기반 나일론 화학재생섬유 개발- (기반구축) 화학재생 섬유 개발 실증을 위한 기반구축 * 하이드롤리시스 복합기술 기반 해중합 폴리에스터 섬유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 하이드롤리시스 해중합 나일론 섬유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7 세라믹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재료

 시멘트산업 탄소중립 기술- (사업목적) 산업부문 온실가스 주 배출분야인 시멘트 산업에서 원료대체, 이산화탄소 활용 등을 통해온실가스 배출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을 지원- 시멘트 생산 시, 석회석 원료에서 기인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원료의 일부를 철강 슬래그류, 폐콘크리트 미분말 등 비탄산염 원료로 대체하는 기술** * 시멘트산업 발생량의 약 60% 차지 ** 비탄산염 원료 전처리기술, 비탄산염 원료 적용 클링커·시멘트 제조기술 및 콘크리트 개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8 탄소나노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탄소고성능 탄소나노복합섬유 제조기술 개발사업-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대량생산 기술 및 이를 활용한 고강도·고탄성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 응용제품 제조 기술 개발* 기획과제 리스트- 고결정성, 고종횡비 이중벽 탄소나노튜브(DWCNT) 대량생산 제조기술 개발- 이중벽탄소나노튜브(DWCNT) 복합화 고강도 고탄성 다기능 탄소섬유 개발- 이중벽탄소나노튜브(DWCNT) 복합 파라아라미드 섬유 개발나노 나노융합 혁신제품 기술개발 사업- 미래 유망 신산업 수요에 대응하여 새로운 응용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나노융합 혁신제품(부품·모듈)기술 개발 * 미래자동차, 에너지·환경, 바이오·헬스, 디스플레이 등 4대 분야 전략과제(22개 세부과제) 기지원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19 뿌리기술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기계

미래 수요 대응과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공정기술의 지능화, 친환경화, 융복합화 등 제조업 전반의 기술트렌드와 환경 변화에 부합하는 분야를 중점 지원 (지능화) 고효율/고품질 레이저 하이브리드 용접 시스템 기술 등- 무결함, 고생산성 서브프레임 부품 제작을 위한 디지털 기반 용접 공정 제어 및 고속 레이저하이브리드(레이저+아크) 용접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20 시스템반도체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전기/전자

(시스템반도체) 차세대 주력산업 분야 시스템반도체 설계·제조·공정 등의 핵심기술 개발 지원을 통해주요기술 국산화 및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 (시스템반도체핵심IP개발) 핵심IP 확보를 통한 국내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와 팹리스기업의가격경쟁력 제고로 파운드리-팹리스 선순환 생태계 구축 * IoT, AI, 자동차 등 국가전략산업 중심으로 설계자산을 확보하여 국내 시스템반도체 제조환경 개선- (전략제품창출글로벌K-팹리스육성기술개발) 시스템반도체 분야 미래핵심기술 확보 및 시장선도를위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팹리스 기업 육성 * 바이오, 모바일, 스마트카 등 글로벌 경쟁이 심화된 분야의 제조기업 중심 추진- (차세대지능형반도체기술개발) 국내 주력산업과 연계된 상용화 중심 시스템반도체 및 제조공정기술개발을 통해 반도체 부품·장비 산업 국산화율 제고 * 미래차, 바이오, 스마트가전, 첨단기계·로봇 등 국내 주력산업 관련 시스템반도체 개발- (시장선도를위한한국주도형K-Sensor기술개발) 국내 주력산업에 필요한 센서기술 개발 및 제조, 검증 인프라 구축을 통해 센서기술 국산화, 고부가가치화 달성 * 수요연계형 상용화기술, 미래 핵심센서 원천기술, 공통기반 플랫폼 기술개발

2023-03-31


KEIT 이슈리뷰 2023-1~2월호 연구개발 주요성과 및 2023년도 추진계획 21 반도체공정장비 스크랩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
  • 기계

(차세대 반도체 제조장비) 차세대 반도체용 박막 성장공정, 식각공정, 생산성 고도화를 위한 고성능 장비및 핵심기술 개발- Si, SiGe 단일 및 적층 에피택시 박막 성장용 공정 장비, 초저온 식각 공정용 웨이퍼 서셉터 시스템, 고밀도 플라즈마 소스를 이용한 고생산성 Hard Mask PR Strip 장비 등 (소재·부품·장비 기술개발) 해외 의존도 개선과 공급망 안정을 위한 반도체 공정 소재·부품 연계 R&D- EUV 블랭크 마스크 자동결함 분석 및 리페어 시스템, 고종횡비 컨택홀 세정 및 부산물 제거용 장비, CIS용 300mm 웨이퍼 제조기술 개발 등

2023-03-31